【목마른 물고기】 7-견견지시(見見之時)에 견비시견(見非是見)이니 견(見)이 오히려 이견(離見)이다

혜범 원주 송정암 주지 승인 2021.07.28 00:22 의견 0

동암(東庵)의 전통은 묵언이었다. 천문만답(千問萬答)이 필요 없었다. 문(問)으로 돌고 돌아봐야 일거수일투족만 못했다. 동암은 ‘할(喝)’이요, 서암(西庵)은 ‘방(棒)’. 중암(中庵)은 ‘할’과 ‘방’을 다 쓰는 자미산의 3대 문파가 모두 모인 것이다.

“봐라. 저 해골이 국시를 눈구멍으로 먹는다. 맛있나?”

서암 노스님이 중암 노스님을 보고 궁시렁거렸다. 중암의 노스님이 서암 노스님보다 한 살 더 어리다고 했다.

“동암 시님요, 서암의 해골이 국시가 맛있다 캅니다. 이제 겨우 ‘오(悟)’한 거 같심더.”

동암 노스님이 피식 웃었다.

“개코나, ‘오’한 소리 하고 자빠졌다. 아이고, 이 해골아. 구상유취다. 이제 겨우 ‘견(見)’하고 ‘문(聞)’하고 은제 ‘선(禪) 할끼고? 그래, 도대체 어떤 해골이 눈구멍으로 국시를 먹는단 말이고?”

중암 노스님이 맞받아쳤다.

“아이고, 이 해골바가지야. ‘선’이면 다 ‘선’이냐? ‘선’이라야 ‘선’이지. 그 나이 처묵도록 안직 똥인지 된장인지도 구분 몬한단 말이가? 삼천대천세계가 다 비로자나 전신체인데 그래, 그 국시 다 처묵고 어디다가 대변을 볼라꼬?”

“아이고, 이 중암 해골아. 안직 종종환화(種種幻化) 활발발한 똥이 되어보지도 못한 기가?”

중암 스님이 서암 스님을 노려보았다. 국수를 먹다 두 노인네가 멱살잡이를 할 듯한 기세였다. 그러나 구경만할 뿐인 일각은 점점 흥미로워졌다.

“지랄하고 자빠졌다. 간간자기원각심(看看自己圓覺心)하지 못하고. 내 똥은 성성적적(惺惺寂寂)한데 그 똥은 적적성성(寂寂惺惺)하지 못한 성적등지(惺寂等持)한 똥인가베.”

_그림 : 정운자/시인ㆍ수채화가

“쯧쯧, 일심(一心)만 깨달으면 즉시 불심(佛心)인 것을.”

“저거 봐라. 삼세 모든 부처도 환이고 일대장교도 환이며, 달마서래도 환이고 천하노화상 동암 시님도 환이며, 산하대지와 일월성진이 다 환이거늘, 원각묘심(圓覺妙心)이라 칸다.”

얼추 점심 공양이 끝나갈 쯤이었다. 국수가 갑자기 똥으로 환골탈태하고 있었다.

“이게 뭐꼬?”

순간 서암 스님이 지팡이를 들어 내리치며 물었다.

“똥막대기다.”

중암 스님도 지팡이로 서암 스님의 지팡이를 막고, 비껴치기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내려치며 말했다. 이윽고 두 노장들이 몸을 일으켰다.

“이 해골아. 외견(外見)을 보고 견이라카믄 그건 견이 아닌기라.”

“그 똥(見)은 뭐 볼 거 있나?”

이번에는 서암 스님이 한 걸음 나아가서 한 칼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베어치듯 내렸다.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았다. 일족일도(一足一刀), 그러나 오른쪽으로 피해서 막고 지팡이를 받아쳤다. 그러자 왼쪽으로 전진해서 막으며, 다시 지팡이를 오른쪽으로 찔러쳤다. 그러자 후진해서 지팡이를 일자로 해서 막아 밀어내고는 한 걸음 나가서 후려쳤다. 내려치고 막고, 왼쪽 오른쪽으로 베고, 졸지에 일검발도(一劒發刀)의 진검승부가 펼쳐졌다. 그렇게 중암 스님과 서암 스님의 합(合)이 칠십칠검(七十七劒)까지 갔다.

아름다웠다. 능엄경에 이르기를 ‘지견(知見)에 지견을 내면 곧 무명의 근본이 되고, 지견에 무견(無見)하면 이것이 곧 열반이 된다’ 했던가. 노장들이 국수 값을 해주고 있다는 걸 일각은 알고 있었으므로 두 손으로 합장 배례한 채 넋 나간 듯 멈춰 서서 움직일 줄 몰랐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