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 고슴도치와 여우, 세기의 라이벌-1

_이사야 벌린과 E.H. 카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1.08.30 09:00 의견 0

The fox knows many things, but the hedgehog knows one big thing.

여우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고슴도치는 하나의 큰 것을 안다.

-Archilochos(아르킬로코스, 고대 그리스 시인)

<The Hedgehog and the Fox(고슴도치와 여우)>는 Isaiah Berlin(이사야 벌린)이 1953년에 쓴 에세이로,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를 분석하면서 그의 역사관을 조명한다. 벌린은 이 글에서 아리스토텔레스나 셰익스피어처럼 ‘많은 것을 두루 아는 사람’을 ‘여우형’으로, 플라톤이나 단테처럼 ‘중요한 한 가지를 깊이 아는 사람’을 ‘고슴도치형’로 분류했다. 평생에 걸친 라이벌로 지낸 사람으로 ‘여우형’ 이사야 벌린과 ‘고슴도치형’ E.H. 카, 그리고 거시경제학을 창립한 ‘여우형’ 존 케인스와 신자유주의 주창자인 ‘고슴도치형’ F.A. 하이에크가 있다. 두 라이벌들의 이야기를 2회로 나누어 게재한다.

◆ Isaiah Berlin(이사야 벌린, 1909~1997)

이사야 벌린은 유대계로 구 소련 영토였던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에서 부유한 목재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제1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이 리가에 진군하자 부모를 따라 러시아로 이주했다. 1917년 볼셰비키혁명을 경험하고, 1920년 영국에 정착했다. 옥스퍼드대학을 졸업했으며, 영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으로 평가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영국 정보국에 근무하며 모스크바에서 수개월 머무는 동안 러시아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전후에 정치사상을 연구했으며, 정치철학자와 정치이론가로 명성을 얻었다.

<The Hedgehog and the Fox(고슴도치와 여우, 1953년)>

<고슴도치와 여우>는 단독으로 출판된 판본도 있으나, 여기서 인용한 것은 벌린이 1978년에 출판한 <Russian Thinkers(러시아 사상가들)> chapter 2에 수록된 내용이다.

Dante belongs to the first category, Shakespeare to the second; Plato, Lucretius, Pascal, Hegel, Dostoevsky, Nietzsche, Ibsen, Proust are, in varying degree, hedgehogs; Herodotus, Aristotle, Montaigne, Erasmus, Moliere, Goethe, Pushkin, Balzac, Joyce are foxes. --P25

단테는 첫 번째 부류인 고슴도치형에 속하고, 셰익스피어는 두 번째 부류인 여우형에 속한다. 플라톤, 루크레티우스, 파스칼, 헤겔, 도스토예프스키, 니체, 입센, 프로스트는 다양한 고슴도치형에 속한다. 헤로도토스, 아리스토텔레스, 몽테뉴, 에라스무스, 몰리에르, 괴테, 푸슈킨, 발자크, 조이스 등은 여우형이다.

The hypothesis I wish to offer is that Tolstoy was by nature a fox, but believed in being a hedgehog; that his gifts and achievement are one thing, and his beliefs, and consequently his interpretation of his own achievement, another. --P26

내가 제시하는 가정은 톨스토이가 본래 여우였지만 스스로 고슴도치라 믿었다는 것이다. 그의 재능과 그가 이룬 업적은 그의 믿음과 그의 업적에 대한 톨스토이 자신의 해석과는 별개라는 가정이다.

Tolstoy’s purpose is the discovery of the truth, and therefore he must know what history consists of, and recreate only that. History is plainly not a science, and sociology, which pretends that it is, is a fraud; no genuine laws of history have been discovered, and the concepts in current use –‘cause’, ‘accident’, ‘genius’- explain nothing ; they are merely thin disguises for ignorance. --P 41

톨스토이의 목적은 진실의 발견이다. 따라서 역사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지 알아내서 역사를 재창조해야만 했다. 역사는 명백히 과학이 아니다. 사회학도 과학이라고 가장하지만 이는 사기이다. 역사의 진정한 법칙은 발견되지 않았다. 당시에 사용한 개념–‘원인’, ’사건’, ’시대정신’-은 아무것도 설명할 수 없다. 그런 개념은 무지를 감추려는 얄팍한 속임수이다.

He is not, he is remote from being, a hedgehog; and what he sees is not the one, but always, with an ever-growing minuteness, in all its teeming individuality, with an obsessive, inescapable, incorruptible, all –penetrating lucidity which maddens him, the many. --P 84

톨스토이는 고슴도치가 아니었으며, 고슴도치와 거리가 멀었다. 그가 본 것은 하나의 일체가 아니었다. 톨스토이를 미치게 만든 항상 세분화되는 미세한 것들, 충만한 개성, 망상적이고, 피할 수 없는, 부패하지 않고, 모든 것을 관통하는 명료함으로 많은 것을 보았다.

At once insanely proud and filled with self-hatred, omniscient and doubting everything, cold and violently passionate, contemptuous and self-abasing, tormented and detached, surrounded by an adoring family, by devoted followers, by the admiration of the entire civilised world, and yet almost wholly isolated. --P 92

톨스토이는 유별나게 자존심이 강하며, 자기증오로 가득 차고, 모든 것을 아는 동시에 모든 것을 의심했으며, 냉정하면서도 지나치게 열정적이었고, 남을 경멸하면서도 겸손했으며, 고뇌에 시달리면서도 초연했고, 흠모하는 가족에 들러 쌓여 헌신적인 추종자들과 온 문명세계의 존경과 찬사를 받았지만 철저히 소외당했고 언제나 홀로였다.

<Karl Marx(칼 마르크스, 1939년)>

이사야 벌린이 28살에 처음으로 출간한 저서인 <칼 마르크스>는 지금도 최고의 마르크스 평전이자, 그의 사상에 관한 가장 매력적인 입문서이다.

No thinker in the nineteenth century has had so direct, deliberate and powerful an influence upon mankind as Karl Marx. --P1

19세기 사상가 중에 칼 마르크스만큼 인류에게 직접적이고 체계적이며 강력한 영향을 미친 사람은 없다.

He was endowed with a powerful, active, unsentimental mind, an acute sense of injustice, and little sensibility, and was repelled as much by the rhetoric and emotionalism of the intellectuals as by the stupidity and complacency of the bourgeoisie; at first seemed to him, as often as not, aimless chatter, remote from reality and, whether sincere or false, equally irritating; the second at once hypocritical and self deceived, blinded to the salient social features of its time by absorption in the pursuit of wealth and social status. --P3

마르크스는 강력하고 능동적이며 실제적인 마음을 천성적으로 부여받았다. 불의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지녔지만 감상적인 성격이 아니었다. 그는 부르주아의 자기만족과 우둔함만큼이나 지식인의 감상주의와 미사어구를 혐오했다. 그에게 지식인들은 현실과 동떨어지고 진실과 거짓에 관계없이 누구나 동등하게 자극하는 목적 없는 잡담을 하는 사람으로 보였다. 부르주아는 위선적이고 자기 기만적이며, 부와 사회적 지위의 추구에 골몰하여 그 시대의 두드러진 사회적 특징을 볼 수 없는 사람으로 평가했다.

He had little charm, his behavior was often boorish, and he was prey to blinding hatreds, but even his enemies were fascinated by the strength and vehemence of his personality, the boldness and sweep of his views, and the breath and brilliance of his analyses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P3

마르크스는 매력이라고는 거의 없으며 행동도 촌스러웠고 맹목적인 증오에 시달렸다. 하지만 그의 강렬하면서도 정력적인 성격, 자신의 견해에 대한 담대함과 명쾌함, 그리고 시대 상황에 대한 폭넓고 탁월한 분석에는 적들조차 매료되었다.

It set out to refute the proposition that ideas decisively determine the course of history, but the very extent of its own influence on human affairs has weakened the force of its thesis. For in altering the hitherto prevailing view of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to his environment and to his fellows, it has palpably altered the relation itself; and in consequence remains the most powerful among the intellectual forces which are today permanently transforming the ways in which men act and think. --P 208

마르크스 사상은 관념이 역사과정을 결정적으로 결정한다는 명제를 논박하기 위해 출발했다. 그러나 인간사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가 테제의 힘을 약화시켰다. 왜냐하면 마르크스의 사상은 개인이 환경이나 다른 개인들과 맺는 관계에 대해 그때까지 지배적이던 견해에 변화를 일으켰고, 그러한 관계 자체까지 변화시켰다. 결과적으로 오늘날에도 마르크스 사상은 인간의 행위방식과 사유방식에 지속적으로 변화를 주는 지적 힘들 중에서 가장 강력하게 남아있다.

◆ E.H. Carr(E.H. 카, 1892~1982)

영국 출신으로 캠브리지대학교를 졸업하고 런던 주재 모스크바 대사관에서 외교관으로 오랜 생활을 했다. 1936년 외교관을 사임한 후에 학자의 길을 걸었다. 평생을 걸쳐 천착한 연구대상은 소련사였으며, <A History of Soviet Russia(소비에트 러시아사, 전14권, 1950~1978년)>으로 학문의 금자탑을 이루었다. 한국의 군사독재 시절에 그의 전작은 불온서적으로 취급받았다. 그 당시 한국의 사회적 후진성을 보여주는 징표였다.

<What is history(역사란 무엇인가, 1961년)>

<역사란 무엇인가>는 역사를 넘어 인문학의 대표 고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 또는 ‘과거의 사실과 현재의 역사가의 대화’라는 것은 누구에게든 널리 회자되어온, 역사에 대한 E.H. 카의 유명한 정의이다.

The historian and the facts of history are necessary to one another. The historian without his facts is rootless and futile; the facts without their historian are dead and meaningless. --P 30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은 서로 간에 필수적이다. 자신의 사실이 없는 역사가는 뿌리가 없고 쓸모가 없다. 자신의 역사가를 가지지 못한 사실은 죽은 것이며 의미가 없다.

My first answer therefore to the question ‘What is history?’ is that it i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historian and his facts,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P 30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첫 번째 답변은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것이다.

The historian is part of history. The point in the procession at which he finds himself determines his angle of vision over the past. --P 36

역사가는 역사의 일부이다. 자신을 발견하는 행렬 속의 지점에서 과거에 대한 그의 비전의 시각을 결정한다.

The past is intelligible to us only in the light of the present; and we can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 the light of the past; To enable man to understand the society of the past, and to increase his mastery over the society of the present, is the dual function of history. --P 55

과거는 현재를 반추하여야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도 과거를 반추하여만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인간이 과거의 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사회에 대한 지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역사의 이중적 기능이다.

Only the future can provide the ke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ast; and it is only in this sense that we can speak of an ultimate objectivity in history. It is at once the justification and explanation of history that the past throw light on the future, and the future throws light on the past. --P 123

오직 미래만이 과거의 해석에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에서만 역사에서 궁극적인 객관성을 이야기할 수 있다. 과거가 미래를 밝혀주고, 미래가 과거를 밝혀주는 것이야말로 역사의 정당성이자 설명이다.

<Twenty year’s crisis 1919~1939(20년의 위기, 1919 ~1939, 1949년)>

E.H. 카의 <20년의 위기>는 국제정치학을 태생시킨 고전이다. 평생을 소련의 역사 연구에 헌신한 카는 전형적인 ‘고슴도치형’ 인간이라 할 수 있다.

Political thought is itself a form of political action. Political science is the science not only of what is, but of what ought to be. --P 5

정치적 사고는 그 자체로서 정치행위이다. 정치학은 정치 현실에 대한 학문인 동시에 정치적 당위에 대한 학문이다.

The teleological aspect of the science of international politics has been conspicuous from the outset. It took its rise from a great and disastrous war; and the overwhelming purpose which dominated and inspired the pioneers of new science was to obviate a recurrence of this disease of the international body politic. --P 8

국제정치학은 처음부터 목적론적인 측면이 두드려졌다. 그것은 세계대전의 참화에서 비롯되었다. 이 새로운 학문의 창시자들을 지배하고 영감을 준 주체할 수 없는 목적은 국제정치라는 육체에서 전쟁이라는 질병을 재현을 막는 것이었다.

Utopia and reality are thus the two facts of political science. Sound political though and sound political life will be found where both have their place. --P 10

이상과 현실은 정치학의 두 얼굴이다. 건전한 정치사상과 건전한 정치생활은 이 둘이 제자리를 잡을 때 가능하다.

All healthy human action, and therefore all healthy thought, must establish a balance between utopia and reality, between free will and determinism. --P 11

건전한 인간의 행동과 사상은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자유의지론과 결정론 사이의 균형 위에 서야 한다.

The characteristic vice of the utopian is naivety; of the realist, sterility. --P 12

이상주의의 결점은 순진함이다. 현실주의자의 결점은 황폐함이다.

Political science must be based on a recognition of the interdependence of theory and practice,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a combination of utopia and reality. --P 13

정치학은 이론과 실제의 상호의존성을 인정하는 데 기반을 두며, 이는 이상과 현실을 결합할 때만 도달할 수 있다.

Politics are made up of two elements --utopia and reality -- belonging to two different planes which can never meet. There is no greater barrier to clear political thinking than failure to distinguish between ideals, which are utopia, and institutions, which are reality. --P 93

정치란 결코 서로 만날 수 없는 두 개의 판에 떨어져 존재하는 이상과 현실이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향인 이념과 현실인 제도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보다 정치적 사고에 장애가 되는 것은 없다.

Every solution of the problem of political change, whe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 must be based on a comprise between morality and power. --P 209

국내적이든 국제적이든 간에 정치적 변화의 모든 해법은 도덕과 권력 사이의 타협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벌린과 카는 서로 오랫동안 교류했다. 그럼에도 둘은 치열하게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대립한 숙적이었다. 국내에 번역 소개된 Jonathan Haslam(조너선 해슬럼, 1951~ )의 <E.H. 카 평전(2012년, 삼천리 간)>에 벌린과 카의 갈등이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벌린의 견해에 따르면 “카는 역사를 승자의 눈을 통해 보았다. 패배자는 그러한 역사에 뭔가 증언할 수 있는 목격자로서 자격을 상실한 사람일뿐이다.” 특히 벌린이 우려한 것은 카가 쓴 <볼세비키 혁명>의 성공이었다. --P 372

벌린의 전면적인 공격은 1953년 5월 12일 런던정경대학에서 열린 제1회 오귀스트 콩트 기념강좌까지 이어졌다. 카도 거기에 참석하고 있었다. 강연 내용은 1년 뒤에 책으로 출간되었다. 벌린이 내면 깊숙이 가지고 있던 감정, 즉 결정론이 개인의 책임감을 제거한다는 점을 그는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역사적 사건을 판단할 때 도덕적 상대주의를 받아들이는 입장을 벌린은 반대했다. --P 374

대표적인 숙명의 라이벌인 벌린과 카가 역사와 인물, 그리고 진보의 문제를 두고 오랜 기간 치른 사상 전투와 격렬한 논쟁은 지성사에 길이 남을 만하다. 벌린은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해 결정론, 상대주의, 승리사관이라고 비난했고, 카는 벌린이 역사를 선악이나 개인의 행동의 우연한 집적으로 환원하려고 한다고 맞섰다. 벌린은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일원주의적 ‘고슴도치’를 비판하고 회의주의와 자유주의로 무장한 다원주의적 ‘여우’를 찬미했다. 사람들은 보통 ‘여우’보다 ‘고슴도치’를 더 높이 산다. 그러나 냉전의 종식으로 두 사람의 학문적 성과와는 별개로 새롭게 조명을 받는 것은 벌린이기에 ‘여우의 승리’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