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 고슴도치와 여우, 세기의 라이벌-2

_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1.09.06 09:00 | 최종 수정 2021.09.06 10:14 의견 0

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Economists set themselves too easy, too useless a task if in tempestuous seasons then can only tell us that when the storm is long past the ocean is flat again. -John Maynard Keynes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죽는다. 폭풍우가 몰아치는데, 폭풍이 지나가고 많은 시간이 흐르면 바다는 다시 평온해진다는 말만 들려준다면 경제학자는 너무나 안이하고 쓸모없는 일만 하는 셈이다.

20세기 최고의 경제학자로 거시경제학의 태두인 ‘여우형 인간’ 케인스와 평생 동안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을 견지하며 신자유주의 이론을 제공한 ‘고슴도치형 인간’ 하이에크는 서로 라이벌이었다. 시발은 런던정경대학(LSE)이 케인스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트리학파의 새내기 하이에크를 초대하여 1931년 학술지 <이코노미카>에 케인스의 '화폐개혁론'을 비판하는 서평을 게재하도록 하면서부터이다. 이 글을 시발점으로 운명적인 논쟁은 시작되었다.

◆ John Maynard Keynes(존 메이너드 케인스, 1883~1946)

케인스는 케임브리지대학을 졸업하고 치른 공무원 시험에서 수학은 잘했으나 경제학에서 못 미쳐 2등으로 합격한 후 인도성에서 근무했다. 케인스는 나중에 시험관보다 경제학에 조예가 깊은 자신의 답변을 시험관들이 이해 못해 점수가 낮게 나왔다고 말했다. 앨프리드 마셜의 후계자로 케임브리지학파를 형성했다. 제1차 세계대전의 보상문제를 처리하며 독일에 관대할 것을 제안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복수전(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것이라 예견했다. 정부의 경제경책에 대한 재정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을 강조했다.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1936)>

If the Treasury were to fill old bottles with bank-notes, bury them at suitable depths in disused coal-mines which are then filled up to the surface with town rubbish, and then leave it to private enterprise on well-tried principle of laissez-fair to dig the notes up again, there need be no more unemployment. --P.129

재무부가 빈 병을 지폐로 가득 채우고, 이를 폐광에 적당한 깊이로 파묻고 나서 표면을 도시의 쓰레기로 가득 채운다. 자유방임의 원칙에 숙달된 사기업에게 지폐를 다시 파내도록 하면 더 이상 실업은 없을 것이다.

Worldly wisdom teaches that it is better for reputation to fail conventionally than to succeed unconventionally. --P.158

세속적인 지혜는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성공보다는 통상적으로 실패하는 것이 명성에 더 낫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The outstanding faults of the economic society in which we live are its failure to provide for full employment and its arbitrary and inequitable distribution of wealth and incomes. --P.372

우리가 살고 있는 경제적 사회의 두드러진 결함은 완전고용을 이루지 못하고, 소득과 부의 독단적이며 불공평한 분배에 있다.

The ideas of economists and political philosophers, both when they are right and when they are wrong, are more powerful than is commonly understood. Indeed the world is ruled by little else. Practical men, who believe themselves to be quite exempt from any intellectual influences, are usually the slaves of some defunct economist. --P.383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의 이념은 옳거나 틀릴 때에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더 강력하다. 정말로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이밖에 별로 없다. 어떤 지적인 영향으로부터 아주 면제되었다고 스스로 믿는 실용적인 사람은 보통 어느 사망한 경제학자의 노예이다.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평화의 경제적 결과, 1919)>

It was the task of the peace conference to honor engagement and to satisfy justice; but not less to re-establish life and to heal wounds. These tasks were dictated as much by prudence as by the magnanimity which the wisdom of antiquity approved in victors. --P.7

약속을 존중하고 정의를 충족시키는 것이 파리평화회의의 임무였다. 그러나 삶을 재구축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것도 그 못지않게 중요했다. 이 임무는 승자의 아량이라는 원칙에 따라서도 필요했지만 유럽의 미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었다.

In fact, here, as elsewhere, political considerations cut disastrously across economic. In a regime of free trade and free economic intercourse it would be of little consequence that iron lay on one side of a political frontier, and labour, coal, and blast furnaces on the other. But as it is, men have devised ways to impoverish themselves and one another, and prefer collective animosities to individual happiness. --P.47

여기서도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불행하게도 정치적 고려가 경제적 고려를 방해하고 있다. 무역과 경제적 교류가 자유로이 이뤄지는 체계에서는 철이 정치적 국경의 이쪽에 있고 노동과 석탄, 용광로가 다른 쪽에 있다는 사실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진실을 말하자면, 인간은 스스로를 빈곤하게 만들고, 서로를 빈곤하게 만들 방법을 고안해내고, 개인적 행복보다 집단적 증오를 더 선호한다.

Yet the financial problems which were about to exercise Europe could not be solved by greed. The possibility of their cure lay in magnanimity. --P.70

그러나 유럽은 조만간 일어날 재정문제를 탐욕으로 해결할 수 없다. 유럽의 재정문제를 치유할 가능성은 관대함에 있다.

Lenin is said to have declared that the best way to destroy the Capitalist System was to debauch the currency. By a continuing process of inflation, governments can confiscate, secretly and unobserved, an important part of the wealth of their citizens. By this method they not only confiscate, but they confiscate arbitrarily; and, while the process impoverishes many, it actually enriches some. --P.112

자본주의 체제를 파괴하는 최선의 방법은 통화제도를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레닌이 역설한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과정을 통해서 시민들의 부 가운데 상당부분을 은밀히 몰수할 수 있다. 그 과정은 많은 사람을 더 가난하게 만드는 한편으로, 일부는 더 부유하게 만든다.

◆ Friedrick A Hayek(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1899~1992)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영국 국적을 취득하고 미국에 와서 시카고대학 경제학 교수를 역임했다. 케인스의 일반이론이 성공하자 이에 대한 도전으로 <노예의 길>을 썼으나 인기를 얻지 못했다. 경제학자로 케인스에 밀려서 오랫동안 무척이나 고전했다. 197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고,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영국 수상에 의한 1990년대 신자유주의 물결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하지만 생전은 물론 사후에까지 끝내 케인스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The Road to serfdom(노예의 길, 1948)>

We have progressively abandoned that freedom in economic affairs without which personal and political freedom has never existed in the past. Although we had been warned by some of the greatest political thinkers of the nineteenth century, by Tocqueville and Lord Acton, that socialism means slavery, we have steadily moved in the direction of socialism. --P.67

우리는 계속하여 경제문제에서 이러한 자유를 포기하였지만, 이러한 자유가 없었다면 개인적 및 정치적 자유는 과거에 결코 존재하지 않았다. 비록 19세기의 위대한 정치사상가인 토크빌과 액튼 경에게 사회주의는 종속을 의미한다고 경고를 받았지만, 우리는 점진적으로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But notice the difference: while democracy seeks equality in liberty, socialism seeks equality in restraint and servitude. --P.77

그러나 차이를 주목하라. 민주주의는 자유에서 평등을 추구하나, 사회주의는 제약과 예속에서 평등을 추구한다.

In this sense socialism means the abolition of private enterprise, of privat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creation of a system of “planned economy” in which the entrepreneur working for the profit is replaced by a central planning body. --P.83

이런 의미에서 사회주의는 사기업과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를 철폐하고,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을 대신해 중앙계획당국으로 교체하는 ‘계획경제’ 체제의 창설을 의미한다.

It must be the freedom of our economic activity which, with the right of choice, inevitably also carries the risk and the responsibility of that right. --P.133

선택의 자유로 이러한 권리의 위험과 책임을 불가피하게 수행하는 것이 경제적 활동의 자유이어야 한다.

If in the first attempt to create a world of free men we have failed, we must try again. The guiding principle that a policy of freedom for the individual is the only truly progressive policy remains as true today as it was in the nineteenth century. --P.238

만약 자유로운 사람의 세상을 창출하려는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했다면 우리는 다시 시도해야 한다. 개인을 위한 자유의 정책이 진실로 유일한 진보적 정책이라는 지도 원리는 19세기에 진리였듯이 현재에도 진실이다.

<The Fatal Conceit -The Errors of socialism(치명적 자만 -사회주의의 오류, 1988)>

It would seem that no advanced civilization has yet developed without a government which saw its chief aim in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but that again and again the further evolution and growth to which this gave rise was halted by a ‘strong’ government. --P.32

사유재산의 보호를 자신의 중요한 목적으로 삼은 정부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는 어떠한 선진문명도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이 반복적으로 일으킨 진화와 성장은 ‘강력한’ 정부에 의해 중단되었다.

“Where there is no property there is no justice,” is a proposition as certain as any demonstration in Euclid. --P.34

“소유가 없는 곳에서는 정의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명제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논증만큼 확실하다.

Only a confessed immoralist could indeed defend measures of policy on the grounds that ‘ 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P.84

오직 명백히 부도덕한 자만이 ‘결국 우리는 모두 죽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정책에 대한 조치를 옹호할 수 있다.

◆ <Keynes Hayek(케인스와 하이에크, 2015)>

<타임스>의 창간 편집인이자 <뉴욕 선>의 수석 편집자를 지낸 노련한 저널리스트 출신의 저자 Nicholas Wapshott(니컬러스 웝숏, 1952~ )이 1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경제학의 양대 산맥으로 군림해온 운명적인 라이벌, 케인스와 하이에크의 세기의 대결을 생생하게 담아낸 책이다. 논쟁의 세부적인 정황과 개인사 같은 구체적인 부분부터 두 거장의 충돌이 경제사조를 형성하고 시대의 사상과 이념, 정치관으로 확산되는 큰 흐름까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Whatever the merits of the argument between Keynes and Hayek, Keynes held the advantage, even after his death. --P.208

케인스와 하이에크의 논쟁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이었든 우위를 점유한 것이 케인스였다. 심지어 케인스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그랬다.

Although Keynesianism has been declared dead a number of times since the mid -1970s, Friedman's acknowledgements in 1966 that “in one sense, we are all Keynesians now; in another, nobody is any longer a Keynesian” is a more accurate, if teasingly ambiguous, assessment of the state of economics in early twenty-first century. --P.285

1970년 중반 이후로 케인스주의가 수없이 죽었지만, “어떤 의미에서 보면 우리는 모두 케인스주의자들이고, 다른 의미에서 보면 더 이상 케인스주의자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프리드먼의 1966년 발언은 얄궂게도 애매하지만 21세기 초 경제학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평가한 말이다.

Keynes believed state intervention was a suitable means for improving the lives of citizens. Friedman agreed with Hayek that whenever the state intervened in economy, it hampered the free market's ability to create wealth. --P.287

케인스는 국가 개입이 시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수단이라고 봤다. 프리드먼은 하이에크와 같이 국가가 경제에 개입할 때마다 부를 창출하는 자유시장의 능력에 지장을 준다고 생각했다.

Conventional conservatives have regarded Keynes as a dark and evil influence bent on undermining the free economic system. In fact, however, he helped to save the free system at a time when much radical changes in it were being seriously advocated. --P.294

전통적인 보수주의자들은 케인스를 자유경제체제를 훼손하려고 결심한 어두운 악의 세력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사실 훨씬 더 급진적인 변화를 주장하는 심각한 주장이 있을 때, 그 자유경제 체제의 구원을 도왔던 사람이 케인스다.

케인스와 하이에크가 가장 큰 견해 차이를 보인 부분은 불황 원인과 해법에 대한 것이었다. 시장의 자율적 조정을 믿고 정부의 개입 없이 시장이 스스로 균형점을 찾아간다는 하이에크와, 장기적으로 시장이 균형을 찾겠지만 그렇게 되면 장기적으로 모든 것이 죽기 때문에 단기적인 처방으로 정부의 재정정책이 필요하다는 케인스와의 논쟁은 지금도 끝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상황이 변하면 이론도 변화한다는 ‘여우형’ 케인스의 주장이 오로지 오스트리아학파의 이론을 두고 평생 동안 연구한 ‘고슴도치형’ 하이에크와의 싸움에서 언제나 이기는 형국이다. 모든 것이 다변화하는 시대인 21세기에는 다재다능한 ‘여우형’과, 한 가지에 전념하는 ‘고슴도치형’이 통합하는 ‘여우도치형’이 각광을 받을 것이다. 필연적으로 경제학이 해결하지 못한 과제는 심리학 등 인접 학문의 도움을 받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이기 때문에 ‘여우도치형’ 인간이 필요한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