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 소설 <1984년>과 파놉티콘의 세계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1.09.13 09:00 | 최종 수정 2021.09.13 09:38 의견 0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 -George Orwell <1984>

과거를 지배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한다.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

◆ <1984(1984년, 1949)>

영국의 소설가 George Orwell(조지 오웰, 1903-1950)은 하급 공무원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나 명문학교인 이튼스쿨에 들어갔으나 부유층 아이들로부터 차별과 멸시를 받으며 굴욕의 나날을 보냈다. 이튼스쿨 성적이 좋지 않아 장학금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영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던 버마(미얀마)에서 경찰관 생활을 했다. 하지만 이내 제국주의 경찰에 환멸을 느끼고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때 경험으로 첫 소설 <Burmese days(버마시절, 1935>을 썼다. 오랜 무명생활 끝에 1944년 <Animal Farm(동물농장)>으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49년 전체주의의 폐해와 공포를 그린 소설 <1984년>을 발표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으나 폐결핵으로 단명했다.

소설 <1984년>은 첨단 과학기술이 인간을 억압하고 감시하며, 세뇌하고 지배하는 ‘오세아니아’라는 가공의 전체주의 나라를 풍자한다. 가공의 독재자 ‘빅 브라더스(Big Brothers)’는 ‘텔레스크린(telescreen)’이란 송수신이 가능한 영상장비로 모든 사람의 행동을 감시하고, 사상경찰을 통해 생활과 의식까지도 통제한다. 최고지도자 빅 브라더스와 내부당원, 외부당원, 일반대중인 ‘프롤(prole)’로 나누어진 계급사회에서 국가가 철저히 국민을 통제하고 감시하며 다스리는 ‘파놉티콘(Panopticon)’과 ‘디스토피아(Dystopia)’의 세상을 그린 작품이다. 주인공 윈스턴이 전체주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죽으면서도 자신을 통제한 빅 브라더스를 사랑하는 모습에서 파놉티콘의 전형을 볼 수 있다.

Big Brother Is Watching You, the caption beneath it ran. --P.2

‘빅 브라더스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표어가 포스터 아래 걸려있었다.

The telescreen received and transmitted simultaneously. Any sound that Winston made, above the level of a very low whisper, would be picked up by it; moreover, so long as he remained with the field of vision which the metal plague commanded, he could be seen as well as heard. --P.3

텔레스크린은 수신과 송신이 동시에 가능했다. 윈스턴이 내는 숨죽인 속삭임을 넘어서 모든 소리를 포착했다. 게다가 윈스턴이 금속관이 지시한 사경 범위 안에 머물면 소리뿐만 아니라 행동까지 감지해냈다.

But at any rate they could plug in your wire whenever they wanted to. You had to live did live, from habit that became instinct in the assumption that every sound you made was overheard, and, except in darkness, every movement scrutinized. --P.3

아무튼 그들은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감시의 선을 꽂을 수 있었다. 사람들은 자신이 내는 소리가 모두 도청을 당하고 어두움 속 외에는 모든 움직임이 감시를 당한다는 생각 하에 살아야 했다. 오랜 세월을 그렇게 생활하다 보니 본능적으로 습관이 되어버렸다.

It was terribly dangerous to let your thoughts wander when you were in any public place or within range of a telescreen. The smallest thing could give you away. A nervous tic, an unconscious look of anxiety, a habit of muttering to yourself anything that carried with it the suggestion of abnormality, of having something to hide. --P.62

공공장소나 텔레스크린의 범위 안에서 공상에 잠긴다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일이다. 아주 사소한 일로도 정체가 드러날 수 있다. 신경질적인 경련, 무의식적인 불안한 표정, 혼자 중얼거리는 습관, 조금이라도 비정상적이고 숨기려고 한다는 암시를 주는 것들은 위험을 초래한다.

Freedom is the freedom to say that two plus two make four. If that is granted, all else follows. --P.81

자유는 둘 더하기 둘은 넷이라고 말할 수 있는 자유다. 만약 자유가 허용된다면 그밖에 모든 것도 이에 따르게 된다.

WAR IS PEACE, FREEDOM IS SLAVERY, IGNORANCE IS STRENGTH. --P.104

전쟁은 평화, 자유는 노예, 무지는 힘.

In general you could not assume that you were much safer in the country than in London. There no telescreen, of course, but there was always the danger of concealed microphones by which your voice might be picked up and recognized: besides, it was not easy to make a journey by yourself without attracting attention. --P.117

일반적으로 런던보다 시골이 더 안전하다고 할 수 없었다. 물론 텔레스크린은 없지만, 목소리를 잡아내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이 숨겨 있을 위험성이 높았다. 게다가 남의 관심을 끌지 않고 혼자 여행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The aims of three groups are entirely irreconcilable. The aim of the High is to remain where they are. The aim of the Middle is to change places with the High. The aim of the Low, when they have an aim for it is an abiding characteristic of the Low that they are too much crushed by drudgery to be more than intermittently conscious of anything outside their daily lives is to abolish all distinctions and crate a society in which all men shall be equal. --P.201

이들 세 집단의 목표는 전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 상층 계급의 목표는 현재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중간 계층의 목표는 상위 계층으로 지위를 바꾸는 것이다. 하위 계층이 목표를 가졌다면 -이들은 일상생활 이외에 간헐적으로 다른 것을 의식하는 것보다 더 고된 일로 짓눌린 것이 지속적인 특징이지만- 그것은 모든 차별을 폐지해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The invention of print, however, made it easier to manipulate public opinion, and the film and the radio carried the process further. With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and the technical advance which made it possible to receive and transmit simultaneously on the same instrument, private life came to an end. --P.206

인쇄술의 발명으로 여론조작이 쉬워졌고, 영화와 라디오를 통해 한층 더 과정이 용이해졌다. 텔레비전이 발전하고, 기술 발달을 통해 기계 하나로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해지면서 사생활은 마침내 종말을 맞이했다.

A Party number lives from birth to death under the eye of the Thought police. Even when he is alone he can never be sure that he is alone. Whenever he may be, asleep or awake, working or resting, in his bath or in bed, he can be inspected without warning and without knowing that he is being inspected. --P.210

당원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사상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살게 된다. 혼자 있을 때라도 자신이 혼자 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없었다. 잠을 자든 깨어 있든, 일하든 쉬고 있든, 목욕탕에 있든 침대에 있든 그는 아무런 예고도 없이 감시를 받고, 감시를 받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감시를 받고 있었다.

But it was all right, everything was all right, the struggle was finished. He had won the victory over himself. He loved Big Brother. --P.298

그러나 잘되었다. 모든 것이 잘되었다. 투쟁은 끝났다. 그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 그는 빅 브라더스를 사랑했다.

◆ <The Works of Jeremy Bentham Vol.4 [John Bowring edited](제러미 벤담 전집 4권, 존 보링 편집, 2005)>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 영국의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의 전집 4권에 '파놉티콘'이 나온다. 벤담은 18세기 산업혁명기에 급증하는 죄수를 감시하기 위해 한 명의 간수가 수백 명의 죄수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파놉티콘이라는 건축 양식을 제안했다. 원형 감옥인 파놉티콘에서 죄수는 간수를 볼 수 없으나 간수는 죄수들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 죄수는 간수의 시선을 의식해 규율에 벗어난 행동을 하지 못하고 규율을 내면화하게 되어 스스로 자신을 감시하게 된다. 벤담은 이러한 파놉티콘의 감시체제를 감옥, 학교, 병원, 공장, 교회 등에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파놉티콘 구조도

옛 서대문형무소의 격벽장(隔璧場)은 전체 옥사와 함께 파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진 건축물이다. 평소 수감자들이 운동을 하는 공간으로, 내부에 10개의 격벽을 부채꼴 모양으로 설치해 간수가 한 곳에서 죄수들을 감시하는 동시에 죄수들끼리 서로 정보를 교환하지 못하도록 한 시설이다. [사진 | 유성문 주간]

No matter how different, or even opposite the purpose: whether it be that of punishing the incorrigible, guarding the insane, reforming the vicious, confining the suspected, employing the idle, maintaining the helpless, curing the sick, instructing the willing in any branch of industry, or training the rising race in the path of education: in a word, whether it be applied to the purposes of perpetual prisons in the room of death, or prisons for confinement before trial, or penitentiary houses, or houses of correction, or work-houses, or manufactories, or mad-house, or hospitals, or schools. --P.40

아무리 목표와 다르고 반대되어도 문제가 안 된다. 구제불능을 벌하고, 미친 사람을 보호하고, 사악한 자를 개혁하고, 용의자를 감금하고, 게으른 사람을 고용하고, 힘없는 사람을 유지하고, 병자를 치료하고, 모든 분야에서 의지를 가르치고 교육의 진로에서 제기되는 경쟁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 죽음의 방이라는 영원한 감옥이나 재판 전에 감금되는 감옥, 또는 교도소, 교정시설, 작업장, 공장, 정신병동, 병원, 학교 등의 목적에 적용할 수 있다.

You will please to observe, that though perhaps it is the most important point, that the person to be inspected should always feel themselves as if under inspection, at least as standing a great chance of being so, yet it is not any means the only one. --P.44

아마도 가장 중요한 관점은 감시를 받는 사람이 항상 감시를 받고 있다고 스스로 느끼는 것이고, 최소한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많이 있지만 어떤 측면에서 유일한 방법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 <Discipline and Punishment, The birth of the prison(규율과 처벌, 감옥의 탄생, 1975)>

Michel Foucault(미셀 푸코, 1926-1984)는 프랑스 철학자로 정신의학, 감옥, 성(性)의 역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동성애자로 에이즈로 사망했다.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을 통해 우리가 보이지 않는 거대한 감옥에 수감되어 감시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푸코는 사람들은 항상 누군가로부터 감시를 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스스로 규율에 맞게 행동하고 제어한다고 말한다. <규율과 처벌>은 권력이 어떻게 인간과 신체를 규율하고 감시하며 사람들의 의식을 통제하는지 밝히고 있다.

We should admit rather that power produces knowledge( and not simplyby encouraging in because it serves power or by applying it because it isuseful); that power and knowledge directly imply one another; that there is no power relation without the correlative constitution of a field of knowledge, nor any knowledge that does not presuppose and constitute at the same time power relations. --P.27

우리는 권력이 지식을 생산한다는 점 -단순히 권력을 제공하기에 유용하기에 권유하거나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과 지식은 직접적으로 상호간에 암시한다는 점, 지식의 영역과 상관적인 구성이 없으면 권력관계는 없다는 점, 동시에 권력관계를 구성하고 상정하지 않는 지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차라리 인정해야 한다.

A penal system must be conceived as a mechanism intended to administer illegalities differentially, not to eliminate them all. --P.89

형벌제도는 모든 범죄를 근절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범죄를 그 차이에 따라 관리하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진 메커니즘으로 이해해야 한다.

It is polyvalent in its applications; it serve to reform prisoners, but also to treat patient, to instruct schoolchildren, to confine the insane, to supervise workers, to put beggars and idlers to work. It is a type of location of bodies in space, of distribution of individuals in relation to one another, of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disposition of centres and channels of power, of definition of the instruments and modes of intervention of power, which can be implemented in hospital, workshops, schools, prisons. --P.205

파놉티콘의 적용은 광범위하다. 그것은 죄수를 교화할 뿐 아니라 병자를 간호하고 학생을 교육하며 광인을 감금하고 노동자를 감시하며 걸인이나 태만한 자를 일하게 만든다. 이것은 공간 속의 신체 배치, 개개인 상호간의 배분, 위계질서적 조직, 권력의 중심부와 전달부의 배열, 권력의 도구와 관여방식의 규정 등의 전형이다. 이런 것들은 병원, 작업장, 학교, 감옥에서 이용될 수 있다.

Delinquency is the vengeance of the prison on justice. --P.255

범죄는 정의에 대한 감옥의 복수이다.

That 'nine tenths of murders, thieves and idlers come from what we havecalled the social base'; that it is not crime that alienates an individual from society, but that crime is itself due rather to the fact that one is in society as an alien, that one belongs to the 'bastardized race'. --P.276

살인자, 암살자, 도둑, 비열한 자들 가운데 10분의 9는 우리가 '사회의 밑바닥'이라 이름 붙인 계층에서 생겨난다. 범죄가 개인을 사회로부터 소외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사회 안에서 이방인처럼 소외되어 있기 때문에 범죄가 발생하는 것이다.

The carceral network, in its compact or disseminated forms, with its system of insertion, distribution, surveillance, observation, has been the greatest support, in modern society, of the normalizing power. --P.304

감옥의 조직망은 밀집된 형태이건 분산된 형태이건 통합, 배치, 감시, 관찰 체계를 갖추어서 근대사회에서 규범화 권력의 거대한 토대가 된다.

◆ 파놉티콘의 출현은 언제나 가능하다

소설 <1984년>을 통해 보듯이 극도로 발달한 현대문명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컴퓨터, 스마트폰, CCTV 등 디지털 기계들이 정치적 독재자의 의도에 따라 언제든지 국민들을 억압하는 파놉티콘의 세계로 전락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다.

제러미 벤담은 자신이 고안한 파놉티콘을 영국,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 적용할 것을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미셀 푸코는 감시와 처벌을 통해 현대사회를 하나의 거대한 파놉티콘 감옥으로 보고 있으며, 모두가 눈으로 보이지 않는 감시를 받고 있다고 말한다. 감옥은 권력의 사회통제를 위한 전략적 소산으로, 권력자는 권력을 이용해 주체자의 신체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통제하며, 규율을 통해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복종을 강요한다.

오늘날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장치에 의한 정보자본주의 시대에서 정보를 장악하고 악용하게 되면 전체주의 지도자 빅 브라더스의 출현은 언제나 가능하게 되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늘상 사용하는 문명의 이기들이 우리를 통제하고 감시하는 장치로 손쉽게 이용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현대 정보사회에서 인간이 자신의 주체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권리와 자유를 지킬 것인가에 대한 조지 오웰과 미셀 푸코가 던지는 화두는 여전히 유효하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