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 역사에 르네상스 시대는 있었는가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1.10.04 09:00 | 최종 수정 2021.10.04 18:55 의견 0

So in Renaissance Italy civilization was of few, by the few, and for them. The simple common man, named legion, tilled and mined the earth, pulled the carts or bore the burdens, toiled from dawn to dusk, and at evening had no muscle left for thought. --Will Durant <Renaissance>, P.525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그런 것처럼 문명은 소수의, 소수에 의한, 소수를 위한 것이었다. 다수를 이루는 단순한 보통 사람들은 땅을 갈고 파고, 수레를 끌거나 짐을 짊어지고 새벽부터 밤까지 일을 하느라 저녁이면 생각을 위한 힘이 남아 있지 않았다.

르네상스는 일반적으로 중세와 근세를 이어주는 14~16세기에 고대 그리스 문화의 재생으로 일어난 문예부흥기를 말한다. ‘르네상스(Renaissance)’란 말은 1855년 프랑스 역사학자 미슐레가 처음 학문적으로 사용하였으나, 1860년 스위스 역사학자 부르크하트가 역사적 개념으로 확장했다. 그는 르네상스를 통해 중세의 신비주의, 비합리주의, 집단주의가 세속주의, 합리주의, 개인주의로 태동했다고 보았다. 그런데 오늘날 특정한 르네상스 시기는 없었으며, 시대 분류에서 ‘장기적 중세’에 해당하는 역사적 개념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1954)>

Jacob Burckhardt(야코프 부르크하르트, 1818~1897)는 스위스 출신으로 ‘역사의 세기’라 불리는 19세기 독일어권 역사학자들 중에 손꼽히는 역사가이다. 이 저작은 1860년 처음 발표되었으며, 르네상스를 문화사로 접근하여 서술하고 르네상스가 유럽 근대를 태동시킨 주요 원동력으로 파악했다. 르네상스 연구의 금자탑을 이룬 명저이다.

To discovery of outward world the Renaissance added a still greater achievement, by first discerning and bringing to light the full, whole nature of man. This period, as we have seen, first gave the highest development to individuality, and then led the individual to the most zealous and thorough study of himself in all forms and under all conditions. --P.226

르네상스는 외적 세계의 발견에 처음으로 완전한 인간성을 식별하고 밝혀줌으로써 위대한 업적을 추가했다. 이미 보았듯이 이 시기는 최초로 개인주의를 극도로 발달시켰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모든 단계와 모든 조건 하에서 스스로를 가장 열정적이고 철저히 연구하도록 했다.

The education given to women in the upper classes was essentially the same as that given to men. The Italian, at the time of the Renaissance, felt no scruple in putting sons and daughters alike under the same course of literary and even philological instruction. Indeed, looking at this ancient culture as the chief treasure of life, he was glad that his girls should have a share in it. --P.293

상류층 여성에게 주어진 교육은 근본적으로 남자에게 주어진 것과 대등했다. 르네상스기의 이탈리아인은 아들과 딸에게 문학과 철학적 교육에 있어 같은 수업을 받게 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사실 고전문화를 인생의 최고의 자산으로 보았기에 그의 딸들이 그 문화에 참여하는 것을 즐거워했다.

These modern men, the representatives of the culture of Italy, were born with the same religious instincts as other medieval Europeans. But their individuality made them in religion, as in other matters, altogether subjective, and the intense charm which the discovery of the inner and outer universal exercised upon them rendered them markedly worldly. --P.369

이탈리아 문화의 대표자인 르네상스의 근대인들은 중세인과 마찬가지로 종교적 본능을 타고난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개인주의는 다른 문제와 마찬가지로 종교에서도 그들을 주관적으로 만들었고, 내적 및 외적 세계의 발견이 그들에게 준 강력한 매력이 그들을 현저하게 세속적으로 만들었다.

Echoes of medieval mysticism here flow into one current with Platonic doctrines and with a characteristically modern spirit. One of the most precious fruits of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of man here comes to maturity, on whose account alone the Italian Renaissance must be called the leader of modern ages. --P.416

여기에 중세 신비주의의 반향이 플라톤의 이론과 고유한 근대정신과 같이 하나의 조류가 된다. 세상과 인간의 인식이라는 가장 값진 열매가 성숙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만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현대 시대의 지도자라 불러야 마땅하다.

현재 세계에서 통용되는 가장 고가의 지폐인 스위스 1,000프랑(약 120만원) 화폐의 부르크하르트 초상화.

◆ <The Renaissance(르네상스, 2006)>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개론서로 발행하는 시리즈의 한 권으로, 런던대학교 Jerry Brotton(제리 브리튼, 1969~ ) 교수의 저서이다. 르네상스에 대해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간략하게 쓴 개론서이다.

Today, there is a popular consensus that the term ’Renaissance’ refers to a profound and enduring upheaval and transformation in culture, politics, art, and society in Europe between the years 1400 and 1600. The word describes both a period in history and a more general idea of cultural renewal. --P.9

오늘날 ‘르네상스’란 용어가 1400년과 1600년 사이 유럽에서 문화, 정치, 예술, 사회에서 일어난 심오하고 지속적인 격변과 변혁을 말하는 데 일반적인 합의가 있다. 이 용어는 역사 속의 한 시대와 문화적 부활의 일반적인 이념을 가리킨다.

Michelet, Burckhardt, and Pater created a 19th-century idea of the Renaissance as more of a spirit than a historical period. The achievements of art and culture revealed a new attitude towards individuality and what it meant to be ’civilized’. The problem with this way of defining the Renaissance was that, rather than offering an accurate historical account of what took place from the 15th century onwards, it looked more like an idea of 19th-century European society. --P.13

미슐레, 부르크하르트, 페이터는 르네상스를 역사의 한 시대라기보다는 하나의 정신으로 바라보는 19세기식 개념을 만들어냈다. 예술과 문화에서의 성취가 개인에 대한 새로운 태도와 ‘문명화’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르네상스를 이런 식으로 정의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는데, 15세기부터 계속된 현상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설명을 제시하기보다는 그것을 19세기 유럽 사회의 이상향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The legacy of Renaissance in the 21st century remains as contested as ever. Since the attacks on the USA in September 2001, the rhetoric of the clash of civilization between east and west has taken its lea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Renaissance represented the global triumph of the superior values of western humanity. --P.18

21세기에도 르네상스의 유산은 논란이 되고 있다. 2001년 9월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 이후로 르네상스가 서양 인문학의 우월적 가치들의 세계적인 승리를 나타낸다는 가정에서 동양과 서양 사이의 문명의 충돌이라는 수사로 주도권이 이전되었다.

◆ <The Social History of Art, Volume 1(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권, 1951)>

헝가리 출신으로 20세기를 빛낸 지성 Arnold Hauser(아르놀트 하우저, 1892~1978)는 마르크스주의 예술사학자이다. 저자는 선사시대부터 오늘날 대중영화의 시대까지 인간과 사회와 예술의 관계를 역동적으로 풀어냈다. 예술이 시대와 사회관계 속에 빚어진 산물이라는 ‘예술사회학’의 관점을 선구적으로 펼치며 전 세계 지식인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다.

Our naturalistic and scientific conception of the world is certainly a creation of the Renaissance, but it was medieval nominalism that first inspired the new direction of though in which this conception of the world has its origin. The interest in the individual object, the search for natural law, the sense of fidelity to nature in art and literature – these things do not by any means begin only with the Renaissance. --P.266

세상에 대한 우리의 자연적이고 과학적인 개념은 확실히 르네상스의 산물이지만, 이러한 세계상이 기원하게 된 새로운 생각의 방향에 처음으로 영감을 준 것은 중세의 유명론(唯名論)이었다. 개별적인 사물에 대한 관심, 자연법에 대한 탐구, 예술과 문학에서 자연주의적 감각은 결코 르네상스와 함께 시작된 것이 아니다.

The capitalistic spirit of the Renaissance consists in the profit-motive and the so-called ’middle-class virtues’, acuquisitiveness and industry, frugality and respectability. --P.285

르네상스의 자본주의적 정신은 영리추구와 이른바 ‘중산층의 미덕’, 그리고 소유욕과 근면, 절약과 정직성으로 구성된다.

The Renaissance was not a civilization of small shopkeepers and artisans, nor of a well-to-do, half-educated middle class, but rather the jealously guarded possession of a highbrow and Latinized elite. --P.309

르네상스는 소상공인이나 수공업자의 문화도 아니었고, 부유하고 교양이 없는 중산층의 문화도 아니었다. 오히려 교양 있고 라틴화된 엘리트의 시샘하며 지키려는 소유욕의 문화였다.

The fundamentally new element in the Renaissance conception of art is the discovery of the concept of genius, and the idea that the work of art is the creation of an autocratic personality, that this personality transcends tradition, theory and rules, even the work itself, is richer and deeper than the work and impossible to express adequately within any objective form. --P.326

르네상스의 예술 개념에 근본적인 새로운 요소는 천재 개념의 발견이다. 예술작품은 독자적 인격의 창조이고, 이러한 인격은 전통, 이론, 규칙, 심지어 작품까지도 초월한다는 이념은 작품보다 심원하고 풍부하며, 어떠한 객관적인 형태 안에서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The Renaissance, The story of civilization, Vol. 5(르네상스, 문명이야기 제5권, 1951)>

Will Durant(윌 듀런트, 1885~1981)는 미국의 철학교수이자 저술가로 50년에 걸쳐 세계사를 ‘문명이야기’란 시리즈 11권으로 완성했다. <르네상스>는 그중 제5권으로 1951년에 출간했다. 부제가 ‘A history of civilization in Italy from 1304~1576 A.D.(1304년에서 1576년까지 이탈리아 문명사)’이다.

The present work aims to give a rounded picture of all phases of human life in the Italy of the Renaissance – from the birth of Petrarch in 1304 to the death of Titian in 1576. The term “Renaissance” will in this book refer only to Italy. The word does not properly apply to such native maturations, rather than exotic rebirths, as took place in France, Spain, England. --P.vii

이 책은 1304년 시인 페트라르카의 탄생부터 1576년 위대한 베네치아의 화가 티치아노의 죽음까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 삶의 모든 국면을 전체적 그림으로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르네상스’라는 용어는 이 책에서 이탈리아에 국한한다. 이 말은 이국적 재탄생보다는 프랑스, 스페인, 영국에서 일어난 민족적 성숙에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The simple folk of Italy remained contentedly medieval, while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half drunk with the long-cellared wine of classic culture, moved forward with a noble ardor to create the Renaissance, and modern man. --P.64

이탈리아의 단순한 민중이 여전히 중세에 머물러 있는 동안 중간계층과 상류층은 고대의 문화라는 오래 묵은 포도주에 절반쯤 취해서 고귀한 열정으로 르네상스와 현대인을 창조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갔다.

All these, as well as the greater arts, and the labor and love, chicanery and statesmanship, devotion and war, faith and philosophy, science and superstition, poetry and music, hatreds and humor, of a lovable and volcanic people combined to make the Italian Renaissance, and to bring it to fulfillment and destruction in Medicean Rome. --P.358

이러한 모든 것들과 더 큰 예술, 노동과 사랑, 속임수와 정치수완, 헌신과 전쟁, 믿음과 철학, 과학과 미신, 시와 음악, 증오와 유머, 사랑스럽고 폭발적 사람들이 결합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만들었고, 메디치아 로마에서 르네상스를 완성하고 파괴를 가져왔다.

In every age and nation civilization is the produce,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of a minority. The historian acquainted with the pervasive pertinacity of nonsense reconciles himself to a glorious future for superstition; he does not expect perfect states to arise out of imperfect men; he perceives that only a small proportion of any generation can be so freed from economic harassments as to have leisure and energy to think their own thoughts instead of those of their forebears or their environment. --P.525

모든 시대와 민족에서 문명이란 소수의 산물이며 특권이고 책임이다. 무의미함의 널리 퍼지는 끈덕짐에 익숙해진 역사가는 미신의 찬란한 미래와 스스로 화해한다. 불완전한 인간에게서 완전한 국가들이 나올 거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 어느 세대이든지 오직 적은 비율의 사람들만이 경제적 곤란에서 벗어나 조상이나 환경 대신에 자기만의 사고를 생각할 여가와 에너지를 가질 수 있었다.

◆ <Must We Divide History into Periods?(역사에 시대 구분이 필요한가, 2017)>

Jacques Le Goff(쟈크 르 고프, 1924~2014)는 프랑스 출신의 역사가로 중세사 전문가이며 아날학파(Annales) 제3세대의 대표자이다. <The Birth of Purgatory(연옥의 탄생, 1981)> 등의 저서가 있다.

But Michelet’s Renaissance was not the rebirth or revival of a splendid epoch that now lived on; it marked the end of “that bizarre and monstrous, prodigiously artificial state” - the Christian Middle Ages. Michelet’s pessimism swallowed up an era he had once found reason only to admire. --P.34

그러나 미슐레의 르네상스는 현재 살고 있는 화려한 시대의 부활이나 재생이 아니었다. 이것은 “괴상하고 기이하며 엄청나게 인공적인 상태인 기독교 중세의 종말”을 나타냈다. 미슐레의 비관주의는 그가 이전에 감탄할 만한 이유를 찾던 시대를 함몰시켰다.

Burckhardt concludes his book with a discussion of the general weakening of faith. Atheism is not yet openly avowed, but theism has plainly yielded to unbelief. The effect of the Renaissance has been to produce a general secularization. --P.43

부르크하트는 그의 책을 일반적인 믿음의 약화로 결론지었다. 무신론은 아직 공개적으로 공언되지 않았고, 유신론은 명백히 불신에 굴복했다. 르네상스의 영향은 일반적인 세속화를 양산했다.

In fact, the “Renaissance” was not a specific historical period itself. Rather, we should speak of a“long Middle Age”, which is delimited by the late antiquity (3rd to 7th century) and mid-18th century (publication of Ency-clopaedia in France). Rather than being a separate period itself, the Renaissance is an era when certain traits of the new modern period started to manifest themselves, including phenomena like fashion, colonization, national languages, or dietary customs. --P.105

사실 '르네상스'는 특정한 역사적 시기가 아니었다. 차라리 고대 후기(3~7세기)와 18세기 중반(프랑스에서 백과사전의 출판)으로 제한되는 ‘장기적 중세’라고 불러야 한다. 르네상스는 별개의 시기라기보다는 패션, 식민지, 국어, 식생활 풍습과 같은 현상을 포함하는 신근대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대였다.

◆ 조선에 실학이 없었던 것처럼 역사에서 르네상스란 없다

프랑스 아날학파의 대표적인 역사학자 르 고프는 <서양 중세 문명> '장기적 중세를 위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려대학교 유희숙 교수 역).

역사에서 르네상스란 없다. 다만 고대로의 복귀라는 가면 아래 오랫동안 숨겨져 왔던 변화만 있을 뿐이다. 일련의 르네상스란, 정확하게 말하면 고대에서부터 근대가 완전한 형태를 취한 1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특징이다. 서양사에서는 8~9세기 카롤루스 르네상스, 12세기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는 12~15세기에 시작되고 여타 유럽에서는 15~16세기에 꽃피운 르네상스, 예술과 문학과 신학에 국한된 18~19세기 르네상스(신고전주의, 중세가 고대를 대체한 신고딕주의, 신토마스주의 등)와 같은 여러 르네상스가 있었다. 르네상스란 중세의 종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항시 권위를 과거에서 찾고 황금시대를 옛날에서 추구하는 중세를 특징짓는 현상이다.

같은 관점에서 이야기하자면 조선시대에 실학은 없었다. 실학은 20세기 중엽에 한국 역사학계에서 발생한 역사서술론적인 개념일 뿐이다. 실학의 대표자 다산 정약용이나 정조는 철저한 주자학자(성리학자)였으며, 개혁적이기보다는 보수적이었다. 다산이 내놓은 개혁방안들조차 ‘근대적’ 사회를 지향하지는 않았다.

이처럼 르네상스도 19세기에 만들어진 역사적인 개념일 뿐이다. 결국 르네상스는 장기적 중세에 오랫동안 존재한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인문주의의 부활을 의미한다. 인간의 가치가 새롭게 부활하면서 중세의 신적 가치 질서가 지배하던 세상의 중심으로 인간이 들어가 수백 년간 중심 가치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