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 미술은 세상을 보는 ‘색다른’ 길이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1.10.11 09:00 | 최종 수정 2021.10.12 09:28 의견 0

Painting is an activity, and the artist will therefore tend to see what he paints rather than to paint what he sees. -Ernst H. Gombrach <Art and Illusion>, P.86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행동이다. 그러므로 미술가는 자기가 보는 대로 그리기보다는 오히려 자기가 그리는 대로 보는 경향이 있게 마련이다.

미술은 미술가가가 세상을 보고 느낀 것을 그려서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미술가도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 환경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사회 현실의 영향을 받아 미술작품을 생산한다. 미술가가 그린 작품은 화가의 손을 떠나 관람자의 눈과 느낌에 의해 새롭게 해석된다. 화가들이 세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는 것처럼 미술을 감상하며 해석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 <Art and Illusion(예술과 환영, 1960)>

Ernst H. Gombrich(에른스트 곰브리치, 1909~2001)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사가였다. 그의 <The Story of Art(서양미술사, 1995)>는 지금까지 최고의 미술사 서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The art pleases by remembering, not by deceiving. The artist cannot copy s sunlight dawn, but he can suggest it. Exactly how he does it in any particular instance is his secrete. --P.38

예술이란 속임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일깨워줌으로서 즐겁게 해주는 것이다. 미술가는 햇빛이 비치는 잔디밭을 그대로 모사할 수 없지만 그것을 암시해 줄 수는 있다. 어떤 특정한 경우에 그가 그 일을 어떻게 해내는가는 그만의 비밀이다.

What a painter inquires into is not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but the nature of our reactions to it. He is not concerned with causes but with the mechanisms of certain effects. His is psychological problem - that of conjuring up a convincing image despite the fact that not one individual shade corresponds to what call “reality.” --P.49

화가가 의문을 갖고 탐구하는 것은 물리적 세계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우리들이 반응하는 것으로서의 자연이다. 그가 문제 삼는 것은 하나의 심리적 문제이다. 즉, 우리가 ‘현실’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그림자 하나조차 일치하지 않은데도 그 속에서 설득력 있는 이미지를 추출해내는 문제이다.

The artist, clearly, can render only what his tool and his medium are capable of rendering. His technique restricts his freedom of choice. --P.65

명백히 미술가는 그의 도구와 매체가 그려낼 수 있는 것만을 그려낼 수가 있다. 그의 기법이 선택의 자유를 구속한다.

The representation, then, is not a replica. --P.110

재현이 복제는 아니다.

Can anything be more deadening to spontaneity and imagination than the learning by rote recommending by these methods? --P.148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방식보다 자발성과 상상력에 더 무서운 적이 어디 또 있을 것인가?

We may also see clouds in a fresh way. If so, we will owe this heightened awareness to the memory of the images created by art. --P.178

우리도 역시 구름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될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의 이처럼 고조된 인식능력은 미술이 창조해냈던 이미지들의 기억 덕분일 것이다.

The whole object and difficulty of the art is to unite imagination with nature. --P.386

예술의 전체적인 목적과 어려움은 자연과 상상력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Indeed, the true miracle of the language of art is not that it enables the artist to create the illusion of reality. It is that under the hands of a great master the image becomes translucent. In teaching us to see the visible world afresh, he gives us the illusion of looking into the invisible realms of the mind - if only we know, as Philostratus says, how to use our eyes. --P.389

미술의 언어가 이룩한 진정한 묘미는 미술가가 실재의 환영을 창조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 아니라 위대한 거장의 손을 거치면 이미지가 투명해진다는 사실이다. 눈에 보이는 세계를 새롭게 보도록 가르치는 과정에서 거장은 보이지 않는 마음의 영역 쪽으로 들여다보는 듯한 환영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The world can never quite look like a picture, but a picture can look like the world. --P.395

세계는 하나의 그림처럼 보일 수 없지만, 하나의 그림은 세계처럼 보일 수 있다.

◆ <History of Beauty(미의 역사, 2008)>

Umberto Eco(움베르토 에코, 1932~2016)는 20세기를 대표하는 기호학자이자 미학자이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소설가이다.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20세기 최고의 지식인이었다. 에코는 ‘미(美)’란 시대마다 달리 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예술작품을 통해서만 그 시대 미의식에 접근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On Ugliness(추의 역사, 2011)>도 명저이다.

Beauty is all that pleases, arouses admiration, or draws the eye. The beautiful object is an object that by virtue of its form delights the senses, especially sight and hearing. --P.41

미는 기쁘게 하거나 경이를 일으키고 시선을 사로잡는 모든 것이다. 미의 대상은 형식의 덕분에 감각, 특히 시각과 청각의 대상이다.

In paeans Beauty is expressed as the harmony of the cosmos, in poetry it is expressed as that enchantment that makes men rejoice, in sculpture as the appropriate measure and symmetry of its elements, and rhetoric phonetic rhythm. --P.41

찬가에서 미는 우주의 조화로 표현되며, 시에서는 사람을 즐겁게 해주는 마법으로, 조각에서는 각 부분의 척도와 균형으로, 수사학에서는 운율로 표현된다.

The use of perspective in painting implies a coincidence of invention and imitation: reality is reproduced with precision, but a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of the observer, who in a certain sense “adds” to the exactitude of the object the Beauty contemplated by the beholder. --P.180

회화에서 원근법의 사용은 창조와 모방의 합치를 의미한다. 현실은 정확히 재현되지만 동시에 관찰자의 주관적 관점에 일치하며, 어떤 의미에서 보는 자에 의해 관조된 미를 대상의 정확성에 ‘덧붙이는’ 것이다.

The idea of “genius” and “imagination” certainly refers to the qualities of those who invent or produce a beautiful thing, while the idea of “taste” denotes more clearly the qualities of those capable of appreciating it. --P.275

‘천재’와 ‘상상력’의 이념은 확실히 아름다운 것을 창조하거나 생산해내는 사람의 능력을 말하는 반면에, ‘취미’의 이념은 미를 감상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A beautiful thing is defined by the way we apprehend it, by analyzing the reaction of the person who pronounces a judgment of taste. The debate about Beauty shifted from the search for the rules for its production or for its recognition to a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that it produces. --P.275

아름다운 것은 미를 이해하는 방식과 취미의 판단을 선언하는 사람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정의된다. 미에 대한 논쟁은 미의 생산이나 인식에 대한 탐구에서 미가 생산하는 결과에 대한 고찰로 옮겨간다.

Art is no longer interested in providing an image of natural Beauty, nor does it aim to procure the pleasure ensuing from the contemplation of harmonious forms. On the contrary, its aim is to teach us to interpret the world through different eyes, to enjoy a return to archaic or esoteric models. --P.417

예술은 더 이상 자연적인 미의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으며, 조화로운 형식의 관조에서 오는 즐거움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예술의 목적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세계를 해석하고 고대 또는 이국적인 모델로의 회귀를 즐기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 <Ways of Seeing(보는 방법, 1972)>

John Berger(존 버거, 1926~2013)는 영국 출신의 소설가로 사회주의 신념을 버리지 않는 미술비평가이자 사진이론가이기도 했다. 36살 때 프랑스로 이주하여 농사를 지으며 생활했다. 버거가 겪은 사회적 경험은 60년 동안의 집필생활에서 항상 변화하는 역사적 상황에 대응한 가장 진실한 지식의 터전이었다.

Seeing comes before words. The child looks and recognizes before it can speak. --P.7

말 이전에 보는 방법이 있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에 앞서 사물을 보고 인지한다.

The way we see things is affected by what we know or what we believes. --P.8

사물을 보는 방법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믿고 있는 것에서 영향을 받는다.

We only see what we look at. To look is an act of choice. --P.8

우리는 단지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만 본다. 보는 것은 일종의 선택 행위이다.

An image is a sight which has been recreated or reproduced. --P.9

하나의 이미지는 재창조되거나 재생산된 시각이다.

The art of any period tends to serve the ideological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P.86

어떤 시기든 예술은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적 이해관계에 봉사하는 경향이 있다.

Money is life. Not in the sense that without money you starve. Not in the sense that capital gives one class power over the entire lives of another class. But in the sense that money is the token of, and the key to, every human capacity. The power to spend money is the power to live. --P.143

돈은 곧 삶이다. 돈이 없으면 굶어죽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자본은 한 계급이 다른 계급의 생활 전체를 지배할 수 있는 힘을 준다는 의미도 아니다. 단지 돈이 모든 인간 능력의 상징, 열쇠가 되고 있다는 의미다. 돈을 쓰는 능력이란 곧 살아가는 능력이다.

Publicity is the life of this culture – in so far as without publicity capitalism could not survive – and at the same time publicity is its dream. --P.154

광고는 이 문화의 생명이고 -광고 없이는 자본주의 사회가 살아남을 수 없을 정도로- 동시에 광고는 이 문화의 꿈이다.

◆ <Meaning in the Visual Arts(시각예술의 의미, 1955)>

Erwin Panofsky(어윈 파노프스키, 1892~1968)는 독일 출신의 유대계 미술사학자로, 독일 나치로 인해 1935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미국 땅에서 하나의 학제로서 미술사학을 뿌리내리게 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10편의 글을 통해 100여개 도판을 이용한 도상해석학을 제시하며 시각예술의 의미를 설명한다.

It is from this ambivalent conception of humanitas that humanism was born. It is not so much a movement as an attitude which can be defined as the conviction of the dignity of man, based on both the insistence on human values(rationality and freedom) and the acceptance of human limitations(fallibility and frailty); from this two postulates result –responsibility and tolerance. --P.2

인간성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인 개념에서 인본주의가 태어난 것이다. 인본주의는 하나의 운동이기보다는 인간의 존엄에 대한 확신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하나의 태도로서 인간적 가치(합리성과 자유)를 주장하고 인간적 한계(오류와 약함)를 용인하는 데 기반을 둔다. 여기에서 두 가지 기본 조건인 책임과 관용이 생겨난다.

Man’s signs and structures are records because, or rather in so far as, they express ideas separated from, yet realized by, the processes of signaling and building. --P.5

인간의 기호와 체계는 기록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신호를 만들고 건설하는 과정과는 구별되고 아직은 실현되지 못한 관념들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Thus, while science endeavors to transforms the chaotic variety of natural phenomena into what may be called a cosmos of nature, the humanities endeavors to transform the chaotic variety of human records into what may be called a cosmos of culture. --P.6

그러므로 과학이 자연적 현상의 혼돈스런 다양성을 이른바 자연의 질서로 바꾸려고 노력하는 반면에, 인문학은 인간 기록의 혼돈스런 다양성을 이른바 문화의 질서로 바꾸려고 노력한다.

Iconology, then, is a method of interpretation which arises from synthesis rather than analysis. And as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motifs is the prerequisite of their correct iconogrsphical analysis, so is the correct analysis of images, stories and allegories the prerequisite of their correct iconological interpretation. --P.32

도상학은 분석이 아닌 종합에서 태어난 해석방법이다. 모티브의 정확한 인지가 도상학적 분석의 전제이듯이 이미지, 일화, 알레고리에 대한 올바른 분석은 도상학적 해석의 전제 조건이다.

Here, particular, in England and in the Germanic countries, we find a genuine ‘Gothic Revival“ - a revival, however, which tried to recapture the past, not, as the Renaissance had done, n a spirit of confident hope, but in a spirit of Romantic yearning. --P.225

오늘날 특별히 영국과 독일계 여러 나라에서 우리는 진정한 고딕의 부흥을 본다. 그러나 그 부흥은 르네상스인이 그랬던 것처럼 확실한 희망의 정신이 아니라 낭만적 동경의 정신에서 과거의 것을 다시 붙잡으려는 시도일 뿐이다.

“To force conscience," Castellio says, "is worse than cruelly to be kill a man. For to deny one's conviction destroys the soul." --P.346

카스텔리옹은 말했다. “양심을 강요하는 것은 사람을 잔인하게 죽이는 것보다 더 나쁘다. 자신의 신념을 부인하는 것은 영혼을 파멸시키기 때문이다.”

◆ <How to See(어떻게 보는가, 2018)>

David Salle(데이비드 살레, 1952~ )는 미국의 화가이다. 저자는 예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우리를 움직이고, 정보를 제공하고, 도전하는지 탐구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저자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조명한다.

Art is more than a sum of cultural signs: It is a language both direct and associative, and has a grammar and syntax like any other human communication. The act of paying close attention to what someone made, in all of its particulars, is what stimulates an authentic, as opposed to a conditioned, response. --P.5

예술은 문화적 기호의 종합 이상이다. 예술은 직접적이고 연상적인 언어이며, 다른 인간의 의사소통과 마찬가지로 문법과 구문을 가지고 있다. 모든 세부 사항에서 누군가가 만든 것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행위는 조건부 반응이 아닌 진정한 반응을 자극하는 것이다.

The paintings of the ‘80s and ’90s developed in two general directions. First, there was the classical; the maximal, large-scale, multipanel works comprised of four fabric, silk screen, cartooning, and every conceivable manner of overpainting and printing. --P.39

80년대와 90년대의 그림은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했다. 첫째, 고전이다. 최대의 대규모 다중 패널 작품은 4개의 천, 실크스크린, 만화, 그리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덧칠과 인쇄로 구성된다.

◆ <The Pursuit of Art(예술의 탐구, 2019)>

Martin Gayford(마틴 게이퍼드, 1952~ )는 영국의 대표적인 미술평론가 겸 작가이다. 오랫동안 여러 매체에 미술비평을 게재했다. 이 책은 선사시대 벽화부터 오늘날 행위예술까지 여러 나라의 현장을 찾아가며 저자가 보고 만나는 다양한 미술작품과 예술가에 대해 안내한다.

Many people have noticed that going for a walk is a way of getting your mental processes working. Just moving your legs starts ideas flowing. But going a great distance to see a work of art does more than that: it channels your attention in a certain direction. --P.8

많은 사람들이 산책을 하는 것이 정신 과정을 작동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다리를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아이디어가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그러나 예술작품을 보기 위해 먼 거리를 가는 것은 그 이상이다. 그것은 당신의 주의를 특정 방향으로 돌린다.

Artists are always in dialogue with each other, with predecessors and also with their contemporaries. That’s how art works, through an unending process of imitation, rejection, response, quotation, and even, as Lucian Freud pointed out, jokes. --P.63

미술가는 항상 선배나 동년배와 대화를 나눈다. 끊임없는 모방, 배제, 응답, 인용, 그리고 심지어 루시안 프로이트가 지적했듯이 농담의 과정을 통해 작품이 만들어진다.

In fact, a great deal of life and art is about serendipity: discovering shapes and forms in the confusion around us, beginning with those prehistoric painters noticing that a mark on the side of a cave looked a bit like a bison. --P.162

사실 대부분의 삶과 예술은 우연에 대한 것이다. 선사시대 화가들이 동굴의 옆에 있는 표시가 들소 같다고 보는 것을 시작으로 인간 주위의 혼란 속에 형체와 형태를 발견한다.

◆ 미술을 통해 세상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곰브리치는 <서양미술사>를 “There really is no such thing as Art. There are only artists(미술이라는 것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미술가들만 있을 뿐이다).”로 시작한다. 미술의 수많은 작품도 시대별, 국가별, 사조별(고전, 낭만, 모던, 탈구조주의, 아방가르드, 순수 등), 작가별, 형태별(정물, 초상, 풍경, 추상)로 분류할 수 있다. 이처럼 미술을 감상하는 방법도 수만 가지이다.

미술(예술)은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창작물이다. 사람은 미술을 감상하며 기쁨과 감흥을 얻어 각자의 삶을 풍성하게 할 수 있다. 관람자는 작품을 보고 나름의 해석과 평가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확장할 수 있고, 무한한 상상력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화가가 치열한 인고의 과정을 거쳐 작품을 창작하듯이 미술 감상도 제2의 창작과정이라고 일컬어진다. 감상자는 화가가 나타내는 인간의 온갖 희로애락과 상상력과 영감으로 표현된 세계의 다양한 창작물의 모습을 보면서 마음으로 많은 감흥을 받는다. 성화에서는 종교적 힘을 느끼기도 한다. 미술은 세상을 보는 ‘색다른’ 길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