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teroglossia, once incorporated into the novel (whatever the forms for its incorporation), is another's speech in another's language, serving to express authorial intentions but in a refracted way. Such speech constitutes a special type of double-voiced discourse. It serves two speakers at the same time and expresses simultaneously two different intentions. --M.M. Bakhtin, The Dialogic imagination, P 324
일단 소설에 통합된 이어성(異語性)은 통합을 위한 어떤 형식이든 다른 사람의 언어로 된 다른 사람의 말이며, 저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지만 굴절된 방식이다. 이러한 말은 이중 목소리를 담은 담론의 특별한 형식을 구성한다. 두 명의 화자에게 동시에 제공되고, 일제히 두 개의 다른 의도를 표현한다. -미하일 바흐친 <대화적 상상력(1981)> 중에서
*미하일 바흐친(1895~1975)은 러시아 출신의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가였다. 반(反) 스탈린주의로 1929년에 체포되어 6년간 유배생활을 했다. 바흐친학파를 형성하고 프로이트주의, 형식주의, 구조주의를 비판하면서 그 과정을 통해 자신들 특유의 패러다임을 확립했다. 특히 언어에 대한 사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학작품 중 소설은 작가가 스스로 체험한 사실이나 상상력에 근거하여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나간 산문체의 문학양식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환경이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치열한 인고의 과정을 감내하며 글을 쓰고, 혹독한 교정과 철저한 검증을 거처 글을 발표한다. 문학이론은 문학작품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이론도 시대별로 다변화하여 아주 많은 이론이 등장했으니, 일반인이 이해하려면 벅차고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학이론을 알게 되면 좀 더 재미있게 문학작품을 읽을 수 있다.
◆ <Marxism and Form(마르크스주의와 형식, 1971)>
현존하는 가장 탁월한 문학 및 문화 비평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미국 듀크대학교 Fredric Jameson(프레드릭 제임슨, 1934~ ) 교수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본서를 통해 아도르노, 벤야민, 마르쿠제, 블로흐, 루카치, 사르트르 등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을 소개하면서 변증법적 사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For it is perfect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Marxism—with the principle that thought reflects its concrete social situation—that there should exist several different Marxisms in the world today, each answering the specific needs and problems of its own socio-economic system. --P xviii
사상이 자신의 견고한 사회상황을 반영한다는 원리와 마르크스주의 정신이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에 오늘날 세계에서 여러 가지 다른 마르크스주의가 존재하며, 각자 자신의 사회경제적 체제의 특정한 요구와 문제에 답변한다.
The sociology of culture is therefore first and foremost, I would like to suggest, a form:no matter what the philosophical postulates called upon to justify it, as practice and as a conceptual operation it always involves the jumping of a spark between two poles, the coming into contact of two unequal terms, of two apparently unrelated modes of being. --P 4
그러므로 나는 문화사회학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하나의 ‘형식’이라고 제안하고 싶다. 문화사회학을 정당화하기 위해 어떤 철학적 전제를 끌어들이든 간에 실천이자 개념 작업으로서 문화사회학은 항상 두 극 사이에 불꽃의 점화, 두 불균형 용어, 명백히 관련 없는 두 개의 존재형식을 등장시키는 것을 뜻한다.
It aims, in other words, not so much at solving the particular dilemmas in question, as at converting those problems into their own solutions on a higher level, and making the fact and the existence of the problem itself the starting point for new research. This is indeed the most sensitive moment in the dialectical process. --P 307
다른 말로 말해서 변증법적 사고는 문제의 특정한 딜레마를 해결하기보다는 그런 문제가 더욱 높은 차원에서 스스로 해결되도록 전환하며, 문제의 존재와 사실 자체를 새로운 탐구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참으로 변증법적 과정에서 가장 예민한 순간이다.
It is therefore falls to literary criticism to continue to compare the inside and the outside, existence and history, to continue to pass judgment on the abstract quality of life in the present, and to keep alive the idea of a concrete future. May it prove equal to the task! --P 416
따라서 내부와 외부 및 실존과 역사를 계속하여 비교하고, 현재 삶의 추상적 특질을 계속하여 심판하며, 구체적 미래라는 이념을 살려나가는 것은 문학비평이 맡아야 할 작업이다. 문학비평이 이런 과제에 동등한 것을 입증하기를!
◆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문학이론 입문, 1983)>
영국의 옥스퍼드대학교 영문학 교수인 Terry Eagleton(테리 이글턴, 1943~ )은 영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문학 및 문화 비평가이다. 저자는 현상학, 해석학, 구조조의와 기호학, 후기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등을 설명한다.
Nevertheless, the Formalists still presumed that ‘making stranger’ was the essence of the literary. It was just that they relativized this use of language, saw it as a matter of contrast between one type of speech and another. --P 6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은 여전히 ‘낯설게 하기’가 문학의 본질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이러한 언어 사용을 상대화시켜 그것을 서로 다른 말의 유형 사이에 대조의 문체로 보았을 뿐이다.
Like religion, literature works primarily by emotion and experience, and so was admirably well-fitted to carry through the ideological task which religion left off. Indeed by our own time literature has become effectively identical with the opposite of analytical thought and conceptual enquiry. --P 26
종교와 마찬가지로 문학은 주로 감동과 경험을 통해 작용한다. 따라서 종교가 중단한 이데올로기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 아주 적합했다. 참으로 우리 시대에 와서 문학은 분석적 사고와 개념적 탐구의 정반대에서 사실상 동일하게 되었다.
Phenomenological criticism is an attempt to appl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literary works. As with Husserl’s ‘bracketing’ of the real object, the actual historical context of the literary work, its author,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readership are ignored; phenomenological criticism aims instead at a wholly ’immanent’ reading of the text, totally unaffected by anything outside it. --P 59
현상학적 비평은 문학작품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려는 시도이다. 실제 대상에 대한 후설의 ‘괄호치기’와 마찬가지로 문학작품의 실제적·역사적 내용, 작가, 생산조건과 독자층은 무시된다. 현상학적 비평은 그 대신 텍스트 외부의 어떤 것에도 완전히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텍스트의 ‘내재적’ 읽기를 목표로 한다.
Indeed, literary theory is less an object of intellectual enquiry in its own right than a particular perspective in which to view the history of our times. Nor should this be in the least cause of surprise. For any body of theory concerned with human meaning, value, language, feeling and experience will inevitably engage with broader, deeper beliefs about the nature of human individuals and societies, problems of power and sexuality, interpretations of past history, versions of the present and hopes for the future. --P 195
실제로 문학이론은 그 자체로서 지적 탐구대상이라기보다는 우리 시대의 역사를 바라보는 특정한 관점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조금도 놀라움의 원인이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적 의미, 가치, 언어, 감정, 경험 등과 관계있는 이론체계는 개인과 사회의 본성에 대해 광범위하고 뿌리 깊은 신념들, 권력과 성의 문제, 과거 역사에 대한 해석, 현재에 대한 설명과 미래에 대한 희망 등과 불가피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I shall end with an allegory. We know that the lion is stronger than the lion-tamer, and so does the lion-tamer. The problem is that the lion does not know it. It is not out of the question that the death of literature may help the lion to awaken. --P 217
필자는 하나의 알레고리로 이 책을 끝내려 한다. 우리들은 사자는 사자 조련사보다 강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사자 조련사도 그 점을 잘 알고 있다. 문제는 사자가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문학의 죽음이 사자가 깨어날 수 있도록 도울 수도 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다.
◆ <A Reader’s Guide to Contemporary Literary Theory(현대 문학이론 안내, 2005)>
영국 선더랜드대학교 영문과 교수를 역임한 Raman Seldon(라만 셀던, 1937~1991) 외 2인 공저이다. 신비평, 러시아 형식주의와 바흐친학파, 구조주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포스트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식민주의, 게이, 레즈비언 등 다양한 문학이론을 소개한 개론서로 인기가 좋아서 판을 거듭하고 있다.
Ideology is not separable from its medium — language. As Voloshinov put it, ‘consciousness itself can arise and become a viable fact only in the material embodiment of sign’. Language, socially constructed sign-system, is itself a material reality. --p 39
사실 이데올로기는 그 매체인 언어와 분리될 수 없다. 이에 대해 볼로시노프(러시아 출신 언어학자 겸 문학이론가)는 “의식 그 자체는 기호들의 물질적 구현 속에서만 생겨나고 존립 가능한 사실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한다. 언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기호체계인 언어이며, 그 자체가 하나의 물질적 현상이다.
Instead of saying that an author’s language reflects reality, the structuralists argue that the structure of language produces ‘reality’. This represents a massive ‘demystification’ of literature, The source of meaning is no longer the writer’s or the reader’s experience but the operations and oppositions which govern language. Meaning is determined no longer by the individual but by the system which governs the individual. --P 78
작가의 언어가 현실을 반영한다고 말하는 대신에 구조주의자들은 언어의 구조가 ‘현실’을 생산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문학에 대한 엄청난 ‘탈(脫) 신비화’이다. 의미의 근원은 이제 작가와 독자의 ‘경험’이 아니고, 언어를 지배하는 작용과 대립이라는 것이다. 의미는 개인이 아니라 개인을 지배하는 체계에 의해 결정된다.
For Marxism the ultimate ground of its theories is the material and historical existence of human societies; whereas for structuralists, the final bedrock is the nature of language. While Marxist theories are about the historical changes and conflicts which arise in society and appear indirectly in literary form, structuralism studies the internal working of systems in a textual emphasis which suspends their historical context and conditions. --P 109
마르크주의에게 이론의 궁극적인 기반은 인간사회의 물질적·역사적 존재이다. 그러나 구조주의에게는 마지막 토대가 언어의 본질이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며, 문학 형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역사적 변화나 갈등에 관한 것인 반면에 구조주의는 역사적 내용과 조건을 유예한 텍스트 강조 속에서 체계의 내적 적용을 연구하는 것이다.
Jacques Derrida has described Western metaphysics as ‘the white mythology which reassembles and reflects the culture of the West: the white man takes his own mythology, Indo-European mythology, his own logos, that is, the mythos of this idiom, for the universal form of that he must still wish to call Reason’, and the methods of deconstruction have proved a major inspiration for postcolonial critics. --P 219
자크 데리다는 서구의 형이상학을 “서구문화를 재정립하고 반영하는 백인의 신화”라고 규정한다. “백인은 그들 자신의 신화, 인도유럽어족의 신화, 그 자신의 <로고스>, 다시 말해 관용구의 ‘신화’들을 그들이 여전히 ‘이성’이라고 부르기를 원하는 보편적 형식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해체론적 방법은 후기식민주의 비평가에게 주요한 영감을 주는 것이 입증되었다.
◆ <Theory of Literature(문학의 이론, 2012)>
예일대학교 영문학과 Paul H. Fry(폴 프라이, 1944~ ) 교수가 오픈예일코스에서 행한 26개의 공개강좌를 정리한 도서이다. 저자는 해석학, 신비평, 구조주의, 해체주의, 포스트모던, 프랑크쿠르트학파, 신역사주의,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퀴어와 젠더 이론 등 20세기 최신 문학이론의 주요 쟁점과 경향을 다양한 읽을 자료를 제시하며 소개하고 있다.
You’ll notice from the contents that we move in these lectures from the idea that literature is formed by language to the idea that literature is formed by the human psyche to the idea that literature is formed by social, economic, and historical forces. --P 4
내용을 보면 이 강의를 통해 우리는 문학이 언어로 형성된다는 생각에서 인간 심리로 형성된다는 생각으로, 다시 사회·경제·역사적 힘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생각으로 옮겨가게 되리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For one thing, literary theory loses something that literary criticism just takes for granted. Literary theory is not concerned with evaluation. Literary theory just takes evaluation, or appreciation, for granted as part of the responsive experience of any reader and prefers, rather, to dwell on question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speculation, as I’ve said. --P 6
문학이론에는 문학비평에서 당연시하는 여러 가지가 빠져 있다. 문학이론은 평가에 관심이 없다. 문학이론은 평가 또는 감상을 모든 독자의 감응적 경험의 일부로 당연하게 받아들이며, 오히려 내가 앞서 언급했던 기술, 분석, 추측에 대한 문제에 대해 설명하기를 선호한다.
Semiotics develops into what is called “ structuralism,” which in turn bequeaths its terminology and its set of issues and frameworks for thinking to deconstr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to French Marxism, and to binary theories of race, colonization, and gender—in other words, to a great deal that we will be studying in the future. --P 96
기호학은 ‘구조주의’라 불리는 것으로 발전했으며, 이는 해체주의, 라캉의 정신분석,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인종, 식민화, 젠더 등의 이원이론, 다른 말로 하면 우리가 장차 공부하게 될 많은 것에 용어와 일군의 쟁점과 사고의 틀을 물려주었다.
◆ <Literary Theory; The Basics(문학이론; 기초, 2014)>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교에서 비교문학을 가르치는 Hans Bertens(한스 베르텐스, 1945~ ) 교수는 신비평, 형식주의, 프랑스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탈신민주의, 생태비평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In fact, for many people involved in literary studies, interpretation and theory cannot be separated at all. They would argue that when we interpret a text we always do so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whether we are aware of it or not, and they would also argue that theory cannot do without interpretation. --P 1
사실 문학연구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해석과 이론은 전혀 분리될 수 없다. 그들은 우리가 텍스트를 해석할 때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든 못하든 항상 이론적 관점에서 해석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론은 해석 없이는 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feminist movement, then, put socio-historical circumstances a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firmly on the map. Feminism was right from the beginning involved in literary studies, and for good reasons. Kate Millet’s trailblazing Sexual Politics(1970), for instance, devotes long chapters to the attitudes towards women that pervade the work of prominent twentieth century author such as D.H. Lawrence(1885~1930) and Henry Miller(1891-1980). --P 82
따라서 페미니스트 운동은 사회·역사적 상황을 문학 산출에 결정적 요인이라고 자리매김한다. 페미니즘은 처음부터 문학연구와 관련된 정당한 이유가 있다. 예를 들면, 케이트 밀러의 선구적인 <성 정치학(1970)>은 영국의 소설가 D.H.로렌스(1885-1930)와 미국의 소설가 헨리 밀러(1891-1980) 같은 주요한 20세기 작가의 작품에 만연한 여성에 대한 태도에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There is no telling which way literary theory will go. It is possible that in the first decade and a half of the new millennium we have witnessed a parting of the ways between those theorists who continue to be inspired by the poststructuralist and related perspective that have their source in Continental philosophy and those who pursue a line that is closer to philosophical realism and to a liberal humanist perspective. --P 238
문학이론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는 말할 수 없다. 새 천년의 첫 10년 반 동안 우리는 후기구조주의와 대륙 철학에 근원을 두고 있는 관련된 관점에서 계속 영감을 받는 이론가들과, 철학적 사실주의와 자유주의적 인본주의에 근접한 경계를 추구하는 자들 사이에 노선의 분리를 목격했다.
◆ <Literary Theory; A Complete Introduction(문학이론; 완전한 입문, 2017)>
영국의 킹스턴대학교 영문학 교수 Sara Upstone(사라 압스톤, 1952~ )은 19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미학, 형식주의,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실존주의, 후기식민주의, 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각 장의 말미에 10개의 객관식 문제도 실어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학생들이 문학이론을 공부하기에 적합한 도서이다.
Perhaps the best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theory is important is that theory has now become integral to how we produce literary criticism. --P xii
아마도 이론이 중요한 이유에 대한 최고의 해답은 지금은 이론이 문학비평을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Jakobson argues that all language functions in terms of both metaphor and metonymy. The first of these relies upon similarity or substitution, whereas the latter relies upon spatial or temporal closeness. --P 63
로만 야콥슨(러시아 출신 문학이론가, 1896~1982)은 모든 언어가 은유와 환유의 용어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전자는 유사성 또는 대체에 의존하는 반면에, 후자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근접성에 의존한다.
Although Said is discussing the Middle East, his work has been used to construct a more general theory of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nd has been applied to many different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texts. --P 169
에드워드 사이드가 중동에 대해 논의했지만 그의 작업은 식민자와 피식민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이론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수많은 다양한 역사적·지리적 텍스트에 적용되었다.
Ethics can be defined as the moral principles that guide behavior or conduct, so, in the context of literary theory, ethics means considering how literature might shape these moral principles. --P 222
윤리는 행위나 행동을 안내하는 도덕적 원칙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문학이론의 텍스트에서 윤리는 문학이 이러한 도덕적 원리를 형성할 수 있는 이유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humanities, the Anthopocene is usually used to denote the profound(and negative) impact of humans on the environment. It signifies a period in which human-centred living has overwhelmed nature and dramatically altered not merely the natural environment but our sense of our own place in the world. --P 254
인문학에서 인류세(人類世)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심오한(그리고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데 보통 사용된다. 인간 중심의 삶이 자연을 압도하고 자연환경뿐 아니라 세상 속에서 우리 자신의 위치에 대한 감각을 극적으로 변화시킨 시기를 의미한다.
◆ 문학이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문학이론은 문학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거나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문학이론은 시대의 조류에 따라 변화하며, 논리적으로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기 때문에 이해가 힘든 것도 사실이다. 문학작품을 이해하는 데는 문학해설서가 이론서보다는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관심 있는 독자에게 추천할 만한 문학해설서로 미국의 저명한 문학비평가인 예일대학교 Harold Bloom(헤럴드 블룸)의 <Genius(세계문학의 천재들, 2002)>과 최근에 출간된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Angus Fletcher(앵거스 플레처) 교수의 <Wonderworks(경이로운 작품들: 문학 작품에 숨겨진 25가지 발명품, 2021)>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일은 문학작품을 읽는 것이다. 문학작품 속에는 다양한 군상과 상상을 초월하는 복잡하고 미묘한 인간관계로 형성된 수많은 사건이 일어나고 전개되어 우리의 상상력에 영감을 주기 때문에 인생을 살찌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