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ops of mountains are among the unfinished parts of the globe, whither it is a slight insult to the gods to climb and pry into their secrets, and try their effect on our humanity. Only daring and insolent man, perchance, go there. --Henry David Thoreau <The Maine Woods> P. 86
산의 정상은 지구의 미완성 부분에 속하므로 그 곳에 올라가 산들의 비밀을 엿보고 인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시험하는 것은 신들에 대한 가벼운 모욕이다. 오직 대담하고 무례한 인간들만이 아마도 어쩌면 그곳으로 향하리라. --헨리 데비드 소로 <메인 숲(1864)> 중에서
*미국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이며 생태주의자의 효시인 데이비드 소로(1817~1862)가 2년 2개월 동안 월든(Walden) 호숫가의 숲에서 생활하며 기록한 <월든(1854)>은 세계적인 고전이다. 소로가 메인 숲을 3회에 걸쳐 여행하며, 보고 느끼고 경험했던 일들을 기록하고 사후에 출간된 책이 <메인 숲>이다.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 ‘도행지이성(道行之而成)’이란 말이 있다. 뜻은 2가지다. 하나는 ‘도는 행하여 이루어진다’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길은 걸어서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동양인들이 좋아하며 전자의 의미는 추상적이고 사변적이며, 서양인들이 해석하는 후자는 뜻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동·서양의 차이기 대조적이다. 스페인 속담에도 “Traveler, there are no roads. Roads are made by walking(여행자여, 길은 없다. 길은 걸어서 만들어진다)”란 말이 있다. 이처럼 길은 사람과 동물이 걸어서 만들어진다. 요즈음은 둘레길이 인기를 얻고 있다. 길을 걸으며 건강도 좋아질 뿐만 아니라 정신도 확장된다. 걷기를 통해서 인생을 완성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 <Of Walks and Walking Tours(걷기와 걷기여행, 1914)>
저자 Arnold Haultain(아널드 홀테인, 1857~1941)은 영국 출신으로 어려서 영국군 장교인 아버지를 따라 인도에서 지냈다. 신화, 문화, 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자연을 사색하는 인문학자였다. 저자는 걷기에 대해 28개 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For, mark you, the essence of a country walk is that you shall no object or aim whatsoever. The frame of mind in which one ought to set out upon a rural peregrination should be one of absolute mental vacuity. --P 5
시골 걷기의 진수는 어떤 목적이나 목표물이 없다는 데 있다. 시골로 여행을 떠나기 전 갖춰야 하는 마음의 기틀은 완전한 정신적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다.
The lesson I learned was this: nature is vast. Nature knows nothing of time. Nor does nature know anything of Space. It was we who import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 into Nature. --P 91
걷기를 통해 내가 배운 것은 자연은 광대하다는 것이다. 자연은 시간을 알지 못한다. 자연은 공간에 대해서 역시 아무 것도 모른다. 자연에 시공간적 한계를 부여한 것은 우리들이다.
One of the first delights of walking is the pleasure derived from the passing scene--what is the secret of the pleasure derived from a beautiful landscape --or, as a matter of fact, from almost any landscape? For apparently a landscape need not be actually beautiful in order to give pleasure. --P 159
걷기의 첫 번째 즐거움은 스쳐가는 풍경으로부터 나온다. 아름다운 풍경, 아니면 사실은 거의 모든 경치에서 오는 즐거움의 비밀은 무엇인가? 표면상 풍경은 즐거움을 주기 위해 실제로 아름다울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The interest and pleasure of walking are greatly enhanced by noting and being able to account for the thousand and one natural phaenomena which greet the eye even in the shortest stroll. --P 191
걷기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을 크게 강화하는 것은 바로 잠깐 걷는 것만으로도 눈에 마주치는 수천 가지 자연 현상을 설명할 수 있고 알아차리는 것이다.
Nature speaks a cryptic tongue, and unless one has paid some heed to her language her accents are apt to fall upon deaf ears. Nor can anyone translate Nature's language to those unversed in her speech. --P 194
자연은 신비의 언어를 말하며, 자연의 언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자연의 억양을 듣지 못하게 되기 쉽다. 어느 누구도 자연의 언어를 자연의 소리에 숙달하지 않는 사람에게 번역할 수 없다.
◆ <A Walk in the Woods(숲속에서 걷기, 1998)>
미국 출신으로 영국에서 거주하는 만능 작가 Bill Bryson(빌 브라이슨, 1951~ )은 조지아주에서 메인주에 이르는 3,360킬로미터의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친구와 같이 종주에 나선다. 결국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종주하지는 못했지만, 숲을 걸으며 느낀 소감을 쓴 책이다. 영화로도 만들어졌으며, 유명한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연을 맡았다.
The Appalachian Trail was formally completed on August 14, 1937, with the cleaning of a two-miles stretch of woods in a remote part of Maine. Remarkably, the building of the longest footpath in the world attracted almost no attention. --P 41
애팔래치아 트레일은 메인 주의 멀리 떨어진 숲에 3.2킬로미터의 길을 내는 것으로 1937년 8월 14일 공식적으로 완성되었다. 놀랍게도 세계에서 가장 긴 보도의 건설이 아무런 주목을 받지 못했다.
The hardest part was coming to terms with the constant dispiriting doscovery that is always more hill. The thing about being on a hill, as opposed to standing back from it, is that you can almost never see exactly what’s to come. --P 50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리 걸어도 항상 더 많은 봉우리가 있다는 끊임없는 우울한 발견과 타협하는 것이다. 봉우리에 올라서면 뒤돌아서서 바라는 것과, 반대로 앞으로 무엇이 나올지 전혀 볼 수 없다.
Woods are not like other spaces. To begin with, they are cubic. Their trees surround you, loom over you, press in from all sides. Woods choke off views and leave you muddled and without bearings. They make you feel small and confused and vulnerable, like a small child lost in a crowd of strange legs. --P 62
숲은 다른 공간과 다르다. 우선적으로 입체적이다. 나무들은 당신을 에워싸고 위에서 짓누르며 모든 방향에서 압박한다. 숲은 경치를 가로막고 당신을 혼동스럽고 방향을 잃게 한다. 숲은 당신이 왜소하고 혼란스럽고 취약하게 만들어 낯선 다리의 무리 속에서 길을 잃은 아이가 된 것처럼 느끼게 만든다.
All kinds of people have completed thru-hikes. One man hiked it in his eighties. Another did it on crutches. A blind man named Bill Irwin hiked the trail with a seeing-eye dog, falling down an estimated 5,000 times in the process. --P 161
다종다양한 사람들이 종주에 성공했다. 80대의 나이에 종주한 사람도 있고, 목발을 짚고 종주한 사람도 있다. 빌 어윈이라는 시각장애인은 맹도견과 함께 종주에 나섰는데, 중간에 5,000번쯤 넘어지기도 했다.
If there is one thing the AT teaches, it is low-level ecstasy—something we could all do with more of in our lives. So I was happy. --P 179
애팔래치아 트레일이 가르쳐 준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우리 둘 다 삶에서 더 많이 할 수 있는 낮은 수준의 환희이다. 그래서 나는 행복했다.
The Appalachian Trail is the hardest thing, and the Maine portion was the hardest part of the Appalachian Trail. and by a factor I couldn’t begin compute. Partly it was the heat. --P 354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종주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고, 메인주 구간은 애팔래치아 트레일 중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었는데, 내가 계산하지 못한 요인에 의해서 더욱 그러했다. 부분적으로 더위였다.
I had done 870 miles, considerably less than half the AT. All that effort and sweat and disgusting grubbiness, all those endless plodding days, the nights on hard ground — all that added up to just 39.5 percent of the trail. Goodness knows how anyone ever completes the whole thing. I am filled with admiration and incredulity for those who see it through. --P 393
나는 1,392킬로미터를 걸었으며, 애팔래치아 트레일의 절반도 안 되는 거리다. 모든 노력과 땀, 그리고 구역질나는 지저분함, 터벅터벅 걸었던 끝없는 날들, 딱딱한 바닥에서 보낸 밤들, 이 모든 것이 더해서 트레일의 39.5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 선(善)은 누군가 전 구간을 어떻게 종주했는지 알고 있다. 종주한 사람에 대한 존경심과 의구심이 가득 찼다.
Best of all, these days when I see a mountain, I look at it slowly and appraisingly, with a narrow, confident gaze and eyes of chipped granite. We didn’t walk 2,200 miles, it’s true, but here’s the thing: we tried. So Katz was right after all, and I don’t care what anybody says. We hiked the Appalachian Trail. --P 394
무엇보다도 요즘 산을 쳐다볼 때마다 나는 자신감 있는 응시와 쪼아낸 화강암 같은 눈으로 천천히 음미하면서 바라본다. 우리는 3,520킬로미터를 다 걷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기에 한 가지가 있다. 우리는 시도했다. 함께 걸은 카츠의 말이 옳았다. 누가 뭐래도 나는 개의치 않는다. 우리는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걸었던 것이다.
◆ <Wanderlust; A History of Walking(방랑벽; 걷기의 역사, 2002)>
미국의 여권운동가이자 작가인 Rebecca Solnit(리베카 솔닛, 1961~ )의 가장 철학적이고 예술적이며 혁명적인 걷기 행위에 대해 성찰한 책이다. <Men explain things to me(남자는 나를 가르치려 든다)>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Walking shares with making and working that crucial element of engagement of body and the mind with the world, of knowing the world through the body and the body through the world, --P 29
걷기는 몸과 마음이 세상과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를 만들고 작업하며, 세상이 몸을 통하고 몸이 세상을 통해 아는 것을 공유한다.
Pilgrimage is one of the fundamental structures a journey can take—the quest in search of something, if only one’s own transformation, the journey toward a goal— and for pilgrims, walking is work. --P 45
순례는 여행이 가지는 기본 구조의 하나이다. 여행은 무언가를 찾는 탐구이고, 오로지 자신의 변화라면 목표를 향한 여행이다. 순례에서 걷는다는 것은 노동이다.
Mazes, including most garden mazes, have many branchings and are made to perplex those who enter, where a labyrinth has only one route, and anyone who stays with it can find the paradise of the center and retrace the route to the exist. Another metaphorical moral seems built into these two structures, for the maze offers the confusions of free will without a clear destination, the labyrinth an inflexible route to salvation. --P 71
대부분의 정원 미로를 포함하여 미로는 여러 갈래로 갈라지면서 들어가려는 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반면에, 미궁은 오직 하나의 통로만 있어 누구든 머물다 보면 중앙의 낙원에 도달할 수 있고 출구에 도달하는 통로를 추적할 수 있다. 다른 은유적 윤리가 이처럼 두 가지 구조로 구성되는 듯하다. 왜냐하면 미로가 분명한 목적지가 없는 자유의지의 혼란을 제공하는 반면에 미궁은 구원으로 가는 확고한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The history of both urban and rural walking is a history of freedom and of the definition of pleasure. But rural walking has found a moral imperative in the love of nature that has allowed it to defend and open up the countryside. Urban walking has always been a shadier business, easily turning into soliciting cruising.--P 173
도시와 시골 걷기의 역사는 자유의 역사이며, 즐거움을 정의(定義)하는 역사이다. 그러나 시골에서의 걷기는 자연에 대한 사랑을 도덕적 의무로 삼으며, 시골 지역을 개방하고 보호하도록 허용한다. 도시에서의 걷기는 항상 어두운 사업이며, 쉽게 순항을 권유하도록 바뀐다.
The gym is the interior space that compensates for the disappearance of outside and a stopgap measure in the erosion of bodies. The gym is a factory for the production of muscles or of fitness, and most of them look like factories. --P 262
헬스장은 외부의 소멸에 대한 보상을 하는 내부적 공간이며, 육체의 부식에 대한 미봉책이다. 헬스장은 근육과 체력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이며, 대부분 헬스장은 공장처럼 보인다.
Walking has been one of the constellations in the starry sky of human culture, a constellation whose three stars are the body, the imagination, and the wide-open world, and though all three exist independently, it is the lines drawn between them—drawn by the act of walking for cultural purposes—that makes them a constellation. --P 291
걷기는 인간문화에서 밤하늘에 있는 성좌의 하나이다. 성좌의 세 별은 육체, 상상력, 드넓은 세상이다. 세 별은 각각 따로 존재하지만, 그들 사이에 문화적 목적을 위해 걷기 행위에 의해 그어진 선이고 별들을 연결해서 성좌를 만든다.
Constellations are not natural phenomena but cultural impositions, the lines drawn between stars are like paths worn by the imagination of those who have gone before. This constellation called walking has a history. --P 291
성좌는 자연적 현상이 아니라 문화적 설정이다. 별 사이에 그어진 선은 과거에 가본 사람들의 상상력에 의해 닳아진 길과 같다. 길이라 불리는 이러한 성좌는 역사가 있다.
◆ <Wild(와일드, 2013)>
미국 출신의 Cheryl Strayed(셰릴 스트레이드, 1968~ )는 아버지의 가정폭력으로 어머니와 동생과 같이 도피생활을 하다가 결혼 후에 이혼하고 마약도 하는 방황하는 삶을 살았다. PCT(Pacific crest trail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르는 미국 서부의 4285 Km 종주길)를 걷고서 쓴 여행기 <Wild>가 인기를 끌어 작가로 변신했다. 영화로 제작되어 인기를 모았다고 한다.
Fear begets fear. Power begets power. I willed myself to beget power. And it wasn’t long before I actually wasn’t afraid. I was walking too hard to be afraid. I took one step amd then another, moving along at barely more than a crawl. I had’t thought that hiking the PCT would be easy. --P 51
두려움은 두려움을 낳으며, 힘은 또 다른 힘을 낳는다. 나 자신이 힘을 만들려 했다. 그리고 내가 실제로 두려워하지 않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나는 너무 열심히 걸어서 두려워 할 수 없었다. 한 걸음 또 한 걸음을 걸으며 거의 기어가듯이 움직였다. PCT를 걷는 것이 쉽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And the PCT would make me that way. There, I’d walk and think about my entire life. I’d find my strength again, far from everything that had made my life ridiculous. --P 57
PCT는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 거기를 걸으며 나의 전체 삶을 생각했다. 내 인생을 터무니없게 만든 모든 것에서 멀리 떨어져 나의 힘을 다시 찾으려 했다.
I cried and I cried and I cried. I wasn’t crying because I was happy. I wasn’t crying because I was sad. I wasn’t crying because my mother and my father or Paul. I was crying because I was full. Of these fifty-some hard days on the trail and of the 9,760 days that had come before them too. --P 234
나는 울고 또 울고 또 울었다. 행복해서 우는 게 아니었다. 그렇다고 슬퍼서 우는 것도 아니었다. 엄마나 아버지, 폴 때문도 아니었다. 내가 울었던 이유는 내가 충만해졌기 때문이었다. PCT에서의 힘들었던 50여 일과 그 전에 살아왔던 9,760일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I had to keep moving to stay warm. If I stopped for more than five minutes the sweat that drenched the back of my T-shirt turned icy cold. --P 263
나는 따뜻하게 유지하려고 계속 걸었다. 5분 이상을 멈추면 티셔츠 뒤를 흠뻑 적신 땀이 차갑게 식어버렸다.
To know that seeing the fish beneath thee surface of the water was enough. That it was everything. It was my life—like all lives, mysterious and irrevocable and scared. So very close, so very present, so very beloning to me. --P 311
수면 밑에 노는 물고기를 바라보는 것을 아는 것으로 충분했다. 이것이 모든 것이었다. 다른 모든 사람의 인생처럼 나의 삶도 신비로우면서도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고귀한 것이었다. 아주 가깝고 짧은 현재에 나에게 속한 바로 그것.
◆ <On Trails(온 트레일스, 2016)>
Robert Moor(로버트 무어)는 미국의 작가이자 트레일러이다. 미국의 애팔래치아 트레일(AP:Appalachia trail, 3,500Km)을 완주하였고, 지구에서 가장 긴 아트란스 트레일을 개척하고 걸었다. 저자는 동물들(개미, 코끼리, 말 등)이 뛰어난 길 개척능력을 소개하며, 동물과 인간의 길과 자연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다.
On trail, to walk is to follow. Like prostration or apprenticeship, trail walking both requires and instills a certain measures of humanity. --P 10
트레일에서 걷기란 따라가는 것이다. 경배나 도제 생활처럼 트레일 걷기는 어느 정도 겸허함이 필요하고 걸으며 생기기도 한다.
To put it as simply as possible, a path is a way of making sense of the world. --P 14
간단히 표현하자면, 길은 세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When aims differ, trails do too. These overlapping and crisscrossing trails, created by countless living beings pursuing their own ends, form the planet’s warp and woof. --P 25
목표가 다르면, 길 역시 다르다. 수많은 생물이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면서 만들어 낸 이 중첩되고 교차하는 길들이 지구의 날줄과 씨줄을 형성한다.
And studying animals’ wisdom, we have increased our own. That long, slow waitz across continents—as humans and animals clashed, meshed, and, ultimately, began to prop one another up —would in time transform us all. --P 95
동물의 지혜를 연구하여 우리 자신의 지혜를 증가시켰다. 인간과 동물이 충돌하고, 맞물리고, 결국 서로를 지탱하기 시작하면서 대륙 전체에 걸쳐 행해지는 그 길고 느린 왈츠는 시간이 지나며 우리를 모두를 변화시킬 것이다.
Every trail is, in essence, a best guess. An ant does not leave a strong pheromone trail unless it has found food, which means that it has already made a correct calculation of where the food is. The same rule applies to humans —we generally don’t make trails unless there is something on the other end worth reaching. --P 91
모든 트레일은 본질적으로 최선의 추측이다. 개미는 먹이를 발견하지 않는 한 강한 페르몬 트레일을 남기지 않는다. 이것은 개미가 이미 먹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히 계산했다는 뜻이다. 같은 법칙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대개 우리는 저 건너편에 도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있지 않는 한 길을 만들지 않는다.
In the end, we are all existential pathfinders: We select among the paths life affords, and then, when those paths no longer work for us, we edit them and innovate as necessary. The tricky part is that while we are editing our trails, our trails are also editing us. --P 299
결국 우리는 모두 실존적인 길잡이다. 우리는 인생이 허용하는 길들 중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그 길들이 더 이상 우리에게 유익하지 않으면 필요에 따라 고치고 개량한다. 기묘한 부분은 우리가 길을 고치고 있을 때, 그 길 역시 우리를 고치고 있다는 것이다.
The history of life on this planet can be seen as a single path made in the walking of it. We are all the inheritors of that line, but also its pioneers. Every step, we push forward into the unknown, following the path, and leaving a trail. --P 336
이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의 역사는 걸어감으로써 만들어진 단 하나의 길로 볼 수 있다. 우리는 모두 그 길의 후예일 뿐 아니라 그 길의 개척자다. 모든 발걸음마다 미지의 땅으로 들어가고 길을 따라가고 트레일을 남긴다.
◆ <Walking to Listen: 4,000 Miles Across America, One Story at a Time(듣기 위해 걷는다: 미국 4,000마일 걷기, 2017)>
저자 Adrew Forsthoefel(앤드루 포스소펠, 1989~ )은 배낭에 “듣기 위해 걷는다”는 표어를 달고 펜실베이니아주 채즈퍼드에서 캘리포니아주 하프문베이에 이르는 1년간의 걷기 여행을 통해 여러 사람을 만나 이야기 나누며 인생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여행기를 썼다.
When I began my cross-country walkabout, I didn’t know where I was going, how long I’d be gone, or what would happen along the way. I knew how I’d get there, though: I’d walk. And I knew why I was walking. --P xvi
미국 땅을 걸어서 횡단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어디로 갈지, 얼마나 오래 갈지, 가는 길에 무슨 일을 만날지 전혀 알지 못했다. 어떻게 갈 것인지는 알았다, 바로 걸어서. 그리고 왜 걷는지도 알았다.
There were all different kinds of walking: high-walking and howl-walking, groove-walking and daze-walking. Like separate airstreams swirling together in the sky, one would lead into the next. I'd flow through these currents all day, bliss -walking into burn-walking into fury-walking. --P 59
걷기에는 여러 다른 종류가 있다. 높은 산 걷기, 울부짖으며 걷기, 리듬을 타며 걷기, 멍하니 걷기 등이다. 하늘에도 서로 다른 기류가 섞이듯이 걷기도 한 종류가 다른 걷기로 이어졌다. 나는 종일 이 기류들 속을 날아다녔다. 기쁨의 걷기가 불타는 걷기로 이어졌고, 분노의 걷기로 이어졌다.
You‘re walking on the road and you’re walking in your mind. You’re walking through everything that was and everything that is. Everything that will be. Everything that might have been. --P 89
당신은 길을 걸으며 마음속으로 걸어 다닌다. 거기 있었던 모든 것과 거기 있는 모든 것을 지나 걷고 있다. 앞으로 있을 모든 것과 있을지도 모르는 모든 것을 지나 걷고 있다.
Next to beauty-walking, this was the best of them all: weep-walking, when I was feeling more than my thoughts could take and all I could do was cry. I’d never experienced anything like it before the walk, this unexpected, uncontrollable sobbing. --P 346
아름다운 걷기 다음으로 가장 최고는 울며 걷기였다. 내 생각이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감정을 느낄 때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우는 것뿐이었다. 걷기 전에는 이런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흐느낌과 같은 것을 결코 경험할 수 없었다.
I’ll never know who I’d be without you, but I suspect you saved my life in more ways than I can imagine. Truly, I am humbled to have walked with you for a while, and know that I am walking with you still, and will for the rest of my days. --p 371
당신이 없었다면 내가 누군지 절대 알 수 없지만, 당신은 내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방법으로 내 삶을 구원해 주었다. 진심으로 한동안 당신과 함께 걸으면 겸손해지고, 여전히 함께 걷고 있으며, 남은 날들도 함께 계속 걸어갈 것을 안다.
◆ 길을 걸으며 사람은 성숙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철학자와 학자들이 걷기를 예찬했다. 우리 선인들도 경북 봉화 청량산을 자주 오른 퇴계 이황 선생이나 금강산 답사기를 남긴 율곡 이이 선생 등처럼 걷기를 즐겨했다. 서양에도 쾨테, 칸트, 루소, 니체, 키에르케고르, 아인쉬타인등 수많은 사람들이 걷기를 좋아했다. 걷는 것은 단순한 몸과 다리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걸으며 깊은 사색을 하기에 생각이 정리되어 정신이 확장되므로 삶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활력소이다. 모든 병도 걸으면 치유된다고 한다.
길은 사람과 동물이 걸어서 만들어진다. 길을 처음 걸어서 개척하는 사람은 혁신자이자 모험을 즐기는 용감한 사람이고, 스스로 새로운 시작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오늘날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제주도 올레길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어느 곳에나 둘레길이 수없이 많다. 걷기가 그만큼 인기를 얻고 있는 증좌이다. 걷기는 자연과 교감하고, 만나는 사람과 소통하여 공감하는 행동이다. 길은 살아있는 수많은 만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의 하나이다. 결국 길은 사람을 살리고 성숙하게 만든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