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healthy human action, and therefore all healthy thought, must establish a balance between utopia and reality, between free will and determinism. -E.H. Carr, What is history?, P11
건전한 인간의 행동과 사상은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자유의지론과 결정론 사이의 균형 위에 서야 한다. -E. H. 카 <역사란 무엇인가> 중에서
* E. H. 카(1892~1982)는 영국 출신으로, 외교관이자 역사가로 평생을 걸쳐 천착한 연구대상은 소련사였으며, <A History of Soviet Russia(소비에트 러시아사, 전14권, 1950~1978)>로 학문의 금자탑을 이루었다. <위기의 20년>은 국제정치학을 태동의 계기가 된 고전이다.
역사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같은 사건도 어떤 관점에서 해석하느냐에 따라 역사의 의미가 달라진다. 역사란 사실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생각은 19세기 이래 역사학이 추구해왔던 자기인식과 정체성의 핵심이다. 객관적 증거와 사실을 확인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필요하다. 역사를 어느 관점에서 해석하느냐에 따라 특정한 국가, 계급, 인종, 지역의 소유물로 전락할 위험성마저 내포하고 있다. 현재의 정권, 정치가, 역사가가 과거인 역사를 지배하려는 시도는 매우 위험하다. 모든 역사가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을 인정하고 올바른 해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역사와 역사론 및 역사철학 등에 대해 소개할 내용이 많아 3회로 나누어 소개한다.
◆ <Lectur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역사철학강의, 1837)>
독일의 철학자 G. W. F. Hegel(게오르크 헤겔, 1770~1831)은 베를린대학에서 ‘세계사 철학’이라는 반년 단위의 강의를 1822년부터 1831년까지 겨울학기 동안에 총 5번 했다. 이 강의는 헤겔 생전에는 활자로 된 것이 없었다. 헤겔이 죽은 뒤 제자 E. 간스가 헤겔의 원고와 청강생 노트를 근거로 편집한 <역사철학강의>가 1837년에 출간되었다. 헤겔은 생생하고 흥미진진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서 변증법적 원리를 기술하고 있으며, 주관적 정신, 객관적 정신, 절대적 정신과 개인, 민족정신, 세계정신을 설명하고 있다.
The most general definition that can be given, is, that the Philosophy of History means nothing but the thoughtful consideration of it. Thought is, indeed, essential to humanity. It is this that distinguishes us from the brutes. --P 22
역사철학이란 역사에 대한 사유적 고찰 이외에 다른 의미가 없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정의이다. 원래 생각은 인간에게 필수적이다. 이 점에서 우리는 동물과 구별된다.
The only Thought which Philosophy brings with it to the contemplation of History, is the simple conception of Reason; that Reason is the Sovereign of the World; that the history of the world, therefore, presents us with a rational process. --P 22
철학이 역사의 고찰에 야기하는 유일한 사상은 단순한 이상의 개념이다. 이성이 세계를 주관하고, 세계 역사는 우리에게 합리적 과정을 제시한다.
But the next consideration which allies itself with that of change, is, that change while it imports dissolution, involves at the same time the rise of a new life — that while death is the issue of life, life is also the issue of death. This is a grand conception; one which the Oriental thinkers attained, and which is perhaps the highest in their metaphysics. --P 89
그러나 변화의 현상과 결부되어 다음으로 고려할 대상은 변화는 해체를 내포하는 동시에 새로운 삶의 출현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죽음이 삶의 문제이며, 삶은 또한 죽음의 문제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념이다. 동양의 사상가들이 획득한 사상으로 아마도 그들의 형이상학에 최고봉일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World travels from East to West, for Europe is absolutely the end of History, Asia the beginning. --P 121
세계사는 동에서 서로 이동한다. 유럽은 세계사의 끝자락이며, 아시아는 시작이기 때문이다.
The History of the World is the discipline of the uncontrolled natural will, bringing it into obedience to a Universal principle and conferring subjective freedom. The East knew and to the present day knows only that One is Free; the Greek and Roman world, that some are free; the German World knows that All are free. The first political form therefore which we observe in History, is Despotism, the second Democracy and Aristocracy, the third Monarchy. --P 121
세계사는 제어할 수 없는 자연 의지의 훈련이며, 보편적 원칙에 복종하고 주관적 자유를 부여하도록 한다. 동양은 알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황제 한 사람만이 자유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스와 로마 세계는 특정인이 자유인이라고 인식하며, 게르만 세계는 만인이 자유임을 인식한다. 따라서 세계사에서 관찰되는 첫 번째 정치형태는 전제정치이고, 두 번째가 민주제 및 귀족제, 세 번째가 군주제이다.
The Greek World may then be compared with the period of adolescence, for here we have individualities forming themselves. This is the second main principle in human History. Morality is, as in Asia, a principle; but it is morality impressed on individuality, and consequently denoting the free volition of Individuals.--P124
그리스 세계는 청년기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 우리는 스스로를 형성하는 개인이 있다. 개인 형성은 인류사에서 두 번째 근본 원리이다. 도덕이 아시아의 원리라고 한다면, 이는 개성에 영향을 주는 도덕으로 결과적으로 개인의 자유로운 의지를 나타낸다.
The third phase is the realm of abstract Universality (in which the Social aim absorbs all individual aims) : it is the Roman State, the severe labors of the Manhood of History. For true manhood acts neither in accordance with the caprice of a despot, nor in obedience to a graceful caprice of its own; but works for a general aim, one in which the individual perishes and realizes his own private object only in that general aim. --P 125
세 번째 단계는 추상적 보편성의 왕국으로 사회적 목표가 개인의 목표를 흡수한다. 로마제국이 그것인데, 역사의 성인기로 심한 노동에 종사한다. 진정한 장년은 전제군주의 변동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 자신의 우아한 변덕에 복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은 사멸하고, 자기 자신의 사적 이익이 오직 일반적 목표 안에서 실현된다는 일반적인 목표를 위해 일한다.
The German world appears at this point of development — the fourth phase of World-History. This would answer in the comparison with the periods of human life to its Old Age. The Old Age of Nature is weakness; but that of Spirit is its perfect maturity and strength, in which it returns to unity with itself, but in its fully developed character as Spirit. — This fourth phase begins with the Reconciliation presented in Christianity; --P 127
게르만 세계는 세계사의 네 번째 단계인 발전의 이 시점에 등장한다. 이것은 인간 삶의 시기를 노년에 비교하여 해답이 될 것이다. 자연의 노년은 취약이다. 정신의 노년은 성숙이고 강함이다. 그 안에서 스스로 통일로 회귀하지만 정신으로 완전한 발달의 특징 속에 있다. 이 네 번째 단계는 그리스도교 안에서 표상된 화해와 시작한다.
◆ <History; Its Theory and Practice(역사; 그 이론과 실행, 1920)>
이탈리아가 낳은 뛰어난 철학자이자 문예학자이고 역사가이자 정치가이기도 했던 Benedetto Croce(베네데토 크로체, 1866~1952)는 헤겔 철학을 비판하고 현대에 Vico(비코) 철학을 소개했다. 저자는 연대기, 사이비 역사, 보편사 등 역사이론과 시대별 역사 서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The truth is that chronicle and history are not distinguishable as two forms of history, mutually complementary, or as one subordinate to the other, but as two different spiritual attitudes. History is living chronicle, chronicle is dead history; history is contemporary history, chronicle is past history; history is principally an act of thought, chronicle an act of will. Every history becomes chronicle when it is no longer thought, but only recorded in abstract words, which were once upon a time concrete and expressive. --P 19
진실은 연대기와 역사가 역사의 두 형식으로 구별할 수 있거나 상호보완적이거나 하나는 다른 것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상이한 정신적 태도들이다. 역사는 살아있는 연대기이며, 연대기는 죽은 역사이다.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며, 연대기는 과거의 역사이다. 역사는 주로 하나의 사고행위이며, 연대기는 하나의 의지행위이다. 모든 역사는 이것이 더 이상 사고되지 않고, 다만 어느 한 때에 구체적이었고 표현적이었던 추상적인 말들 속에서만 기록될 때는 연대기로 된다.
History is, has been, and always will be the same, what we have called living history, history that is ( ideally) contemporary. --P 46
역사는 현재에도 과거에도 미래에도 항상 같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있는 역사라고 명명한 것, 이념적으로 현대의 역사이다.
To think history is certainly to divide it into periods, because thought is organism, dialectic, drama, and as such has its periods, its beginning, its middle, and its end, and all the other ideal pauses that a drama implies and demands. --P 112
역사를 사유하는 것은 확실히 역사를 시대 구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상은 유기체이고 변증법이자 드라마이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 자신이 시작, 중간, 종말의 시대를 가지며, 하나의 드라마가 내포하고, 요구하는 모든 다른 이상적인 막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The Idea of History(역사의 이념, 1946)>
R. G. Collingwood(콜링우드, 1889~1943)는 영국의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그는 역사적 사실은 순수한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존재할 수도 없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명백한 증거를 기초로 진실을 추구하는 역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역사는 역사가의 의식 속에서 재구성될 뿐이다’라고 했다.
History proceeds by interpretation of evidence: where evidence is a collective name for things which singly are called documents, and a document is a thing existing here and now, of such a kind that the historian, by thinking about it, can get answers to the questions he asks about past events. --P 10
역사학은 증거의 해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증거는 단독적으로 기록이라고 불리우는 사물에 대한 집합 명칭이다. 그리고 기록이란 지금 여기에 현존하면서 역사사가 그것에 관해서 생각하면서 과거의 사건에 대해 제기한 의문에 해답을 줄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이다.
My answer is that history is ‘for’ human self-knowledge. It is generally thought to be of importance to man that he should know himself. --P 10
나의 해답은 역사란 인간의 자기 인식을 위한 것이라는 거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value of history, then, is that it teaches us what man has done and thus what man is. --P 10
역사학의 가치는 인간이 무엇을 했는가를 가르쳐 주고, 그리하여 인간이란 무엇인지를 가르쳐 주는 데 있다.
The only thing he can write about is the events which have happened within living memory to people with whom he can have personal contract. --P 27
역사를 쓸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그가 개인적으로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살아있는 기억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다.
Historical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what mind has done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redoing of this, the perpetuation of past acts in the present. --P 218
역사적 지식은 마음이 과거에 행한 것에 대한 지식이며, 동시에 마음이 과거에 행한 것을 재행위하는 것, 현재에 있어서의 과거 행위의 영속화이다.
Thought is therefore not the presupposition of an historical process which is in turn the presupposition of historical knowledge. It is only in the historical process, the process of thoughts, that thought exists at all; and it is only in so far as this process is known for a process of thoughts that it is one. The self-knowledge of reason is not an accident; it belongs to its essence. --P 227
따라서 사유가 역사적 과정의 전제인 것도 아니며, 거꾸로 역사적 과정이 역사적 지식의 전제인 것도 아니다. 사유가 존재하는 것은 역사적 과정인 사유의 과정에서만 가능하다. 이 과정이 사유의 과정으로 알려진 한에서는 그것이 사유가 된다. 이성의 자기 인식은 우발적 사건이 아니다. 자기인식은 이성의 본질에 속한다.
◆ <The Historian's Craft(역사가의 장인적 기예, 1949)>
본서는 프랑스 아날 학파의 창시자였고, 레지스당트 참가로 독일에 의해 1944년 총살을 당한 Marc Bloch(마르크 블로흐, 1896~1944)의 <Apologie pour l'histoire ou Métier d'historien(역사와 역사가의 직업을 위한 변명)>을 영역한 도서로, 국내에는 <역사가를 위한 변명>으로 소개되어 있다. <봉건사회(1940)>가 저자의 불후의 명저이다.
Christianity is a religion of historians. Other religious systems have been able to found their beliefs and their rites on a mythology nearly outside human time. For sacred books, the Christians have books of history, and their liturgies commemorate, together with episodes from the terrestrial life of a God, the annals of the church and the lives of the saints. --P 4
기독교는 역사가들의 종교이다. 다른 종교 체제는 그 신앙과 의례를 인간의 시간에서 거의 벗어난 미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성서는 역사책들이며, 그들의 예배의식은 하나님의 지상에서의 삶과 교회의 연대기 및 성인의 삶에 관한 이야기로 예배드린다.
If they do not take care, there is danger that badly understood history could involve good history in its disrepute. But should we come to this, it would be at the cost of a serious rupture with our most unvarying intellectual traditions. --P 5
주의하지 않으면 잘못 이해된 역사는 좋은 역사를 불신 속으로 끌어들일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이 지경에 이른다면 우리의 가장 변함없는 지적 전통과의 심각한 단절을 그 대가로 지불하게 될 것이다.
Even were history obliged to be eternally indifferent to homo faber or to homo politicus, it would be sufficiently justified by its necessity for the full flowering of homo sapiens. Yet, even with this limitation, the question is not immediately resolved. --P 10
비록 역사가 작업인이나 정치인에 대해 영원히 무관심해야 한다 하더라도 사색인의 완전한 개화를 위한 필요성에 의해 그 존재가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금방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It would be a grievous error, indeed, to think that the order which historians adopt for their inquires mus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sequence of events. --P 45
실제로 역사가가 연구를 위해 채택한 순서가 반드시 사건의 순서에 입각해야 한다는 생각은 중대한 오류다.
We simply ask both to bear in mind that historical research will tolerate no autarchy. Isolated, each will understand only by halves, even within his own field of study; for the only true history, which can advance only through mutual aid, is universal history. --P 47
우리는 역사적 연구는 경제적 자급자족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싶은 것이다. 고립되어 각자는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조차도 절반만 이해할 뿐이다. 왜냐하면 유일한 참된 역사는 상호협력에 의해서만 발전될 수 있는 보편사인 까닭이다.
If history would only renounce its false archangelic airs, it would help us to cure this weakness. It includes a vast experience of human diversities, a continuous contact with men. Life, like science, has everything to gain from it, if only these contacts be friendly. --P 144
만약 역사가 자신이 거짓된 천사적 태도를 단념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이러한 취약을 교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역사는 인간의 다양성의 광대한 경험이며, 인간들의 끊임없는 접촉이다. 인생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접촉이 우호적이라면 역사로부터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Historical facts are, in essence, psychological facts. Normally, therefore, they find their antecedents in other psychological facts. To be sure, human destinies are placed in the physical world and suffer the consequence thereof. --P 194
역사적 사실이란 본질적으로 심리적인 사실이다. 그러므로 역사적 사실은 일반적으로 다른 심리적인 사실 속에서 자신의 전례를 발견한다. 확실히 인간의 운명은 자연계의 위치하며, 그 결과를 고통받는다.
In a word, in history, as elsewhere, the causes cannot be assumed. They are to be looked for...--P 197
요컨대 역사에 있어서 원인이란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정되는 것이 아니라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 <The Poverty of Historicism(역사법칙주의의 빈곤, 1957)>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국의 철학자 Karl Popper(칼 포퍼, 1902~1994)는 <Open society and its enemies(열린사회와 그 적들, 1945)>로 명성을 얻었다. 포퍼는 우리 사회의 미래가 역사의 필연성에 달려 있다는 마르크스의 역사법칙주의의 사회이론을 비판하고 있다.
I have shown that, for strictly logical reasons, it is impossible for us to predict the future course of history. --P vi
나는 엄격한 논리적인 이유로 역사의 미래 행로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했다.
My proof consists in showing that no scientific predictor—whether a human scientist or a calculating machine— can possibly predict, by scientific methods, its own future results. --P vii
나의 증명은 과학적 예지자도-인간 과학자이건 계산 기계이든-결코 과학적 방법에 의해 미래 과학의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
And we make progress if, and only if, we are prepared to learn from our mistakes; to recognize our errors and to utilize them critically instead of persevering in them dogmatically. --P 87
우리가 ‘우리의 실수를 통해서 배울’ 준비만 되어 있다면, 우리의 오류를 인정하고 그것을 교조적으로 인내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이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에만 우리는 진보한다.
The poverty of historicism, we might say, is a poverty of imagination. The historicist continuously upbraids those who cannot imagine a change in their little worlds; yet it seems that the historicist is himself deficient in imagination, for he cannot imagine a change in the conditions of change. --P 130
역사법칙주의의 빈곤은 상상력의 빈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역사주의자는 자기들의 작은 세계 속에 변화를 상상할 수 없는 사람들을 끊임없이 비난한다. 그러나 역사주의자야말로 상상력이 부족하다. 왜냐하면 그는 변화의 조건 자체가 변화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I wish to defend the view, so often attacked as old-fashioned by historicists, that history is characterized by its interest in actual, singular, or specific events, rather than in laws or generalizations. --P 143
나는 역사주의자가 진부하다는 이유로 자주 공격했던 견해를 방어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역사는 법칙이나 일반화에 대한 관심보다는 오히려 실재하는, 단칭적이거나 특정한 사건에 대한 관심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