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 1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4.03 09:00 | 최종 수정 2022.04.03 13:42 의견 0

We may take advantage of this pause in the narrative to make certain statements. Orlando had become a woman—there is no denying it. But in every other respect, Orlando remained precisely as he had been. The change of sex, though it alerted their future, did nothing whatever to alter their identity. Their faces remained, as their portraits prove, practically the same. His memory--but in the future we must, for conversation’s sake, say ‘her’ for ‘his’, and ‘she’ for ‘he’--her memory then, went back through all the events of her past life without encountering any obstacle. --Virginia Woolf, Orlando, P98

이야기 중에 잠시 중단된 틈새를 이용해서 몇 가지 해둘 말이 있다. 올랜도는 여자가 되었다-이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그 밖의 모든 점에서는 올랜도가 남자였던 이전과 꼭 같았다. 성의 변화가 비록 그들의 미래를 바꿔놓기는 했으나, 그들의 정체성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 그들의 얼굴은 초상화가 입증하듯이 똑같다. 그의 기억은-그러나 앞으로는 관례대로 ‘그의’ 대신 ‘그녀의’라고, 그리고 ‘그’ 대신 ‘그녀’라고 해야겠지만-당시 그녀의 기억은 아무런 지장 없이 과거의 생애 중에 일어났던 모든 사건들을 되돌아보았다. -버지니나 울프 <올랜도> 중에서

*현대 모더니즘과 ‘의식의 흐름’ 기법을 창시한 페미니즘 문학의 선구자였던 영국의 소설가 Virgnia Woolf(버지니아 울프, 1862~1941)는 1928년 자서전적인 소설 <올랜도>를 3세기에 걸친 시간적 배경을 가진 판타지 형식으로 썼다. 주인공인 귀족이자 시인인 올랜도는 16세기 영국에서 26세의 미소년으로 등장해서 17세기 말경인 30세에 남자에서 여자로 성(性)이 바뀌는 놀라운 사건을 겪는다. 그녀는 그 후 300여 년간 계속 여성으로 살아가며, 1928년에 36세 올랜도의 삶을 기록하며 이야기는 끝난다.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의 원인과 상태를 기술하고, 여성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운동이나 이론이다. 인류는 수렵채집의 원시시대에는 모권(母權)이 중심이 된 시대였다고 한다. 농업이 정착하여 농경사회가 되면서 노동력에 우수한 남성이 가족을 이끄는 가부장제도가 자리를 잡아 여성은 남성에 종속되는 굴절된 삶을 살았다. 19세기에 들어와 동성애자인 버지니아 울프 등 많은 작가나 사상가들이 동성애자의 권리를 옹호하며 남녀평등을 주장했다. 1960년대에 들어 남녀평등과 여권의 신장을 추구하는 페미니즘 운동이 일어났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지금은 남녀해체를 넘어 성정체성을 다원화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페미니즘을 극복하고 폐지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도 있다. 지난 대선에 보았듯이 남녀가 양극화를 넘어서 젠더전쟁으로 확대되어 갈등이 심해지고 있기도 하다. 페미니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내용이 많아 2회에 나누어 연재한다.

◆ <The Second Sex(제2의 성, 1949)>

프랑스 파리에서 출생한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 1908~1986)는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소설가로서도 명성을 떨쳤다. 특히 프랑스 페미니즘의 대표적 인물인 그녀는 여성해방의 ‘제2물결’을 일으켰다. ‘제2의 성’은 ‘제1의 성’이 존재해야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부수적 존재이다. 세상과 인식의 주체는 남성이고, 여성은 주체인 남성의 대상으로만 존재한다. 이런 문화 속에서 여성은 철저히 ‘타자(the other)’일 뿐이다.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와 계약결혼으로 평생을 같이 살았다.

For him she is sex, so she is it in the absolute. She determined and differentiated in relation to man, while he is not in relation to her; she is the inessential in front of the essential. He is the Subject; he is the absolute. She is the Other. --P6

남자에게 여자는 섹스이다. 여자는 남자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고 달라지지만 남자는 여자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 여자는 본질적인 것에 대해서 비본질적인 것이다. 남자는 주체이고 절대이다. 여자는 타자이다.

Man does not merely seek in the sexual act subjective and ephemeral pleasure. He wants to conquer, take, and possess; to have a woman is to conquer her; he penetrates her as the plowshare in the furrows; he makes her his as he makes his the earth he is working; he plows, he plants, he sows; these images are as old as writing; from antiquity to today a thousand examples can be mentioned. “Woman is like the field and man like the seeds” says the Laws of Manu. --P171

남자는 성행위에서 주관적이고 일시적인 쾌락을 추구하지 않는다. 남자는 정복하고 붙잡고 소유하기를 원한다. 여자를 갖는다는 것은 여자를 정복하는 것이다. 쟁기가 밭고랑 속에 파고들 듯 남자는 여자 속에 관통한다. 남자는 자기가 경작하는 토지를 자기의 소유로 하듯 여자를 자기 것으로 만든다. 그는 밭을 쟁기질하고, 나무를 심고, 씨를 뿌린다. 이런 비유는 문자만큼이나 오래 되었다.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수많은 예가 언급된다. “여자는 밭과 같고 남자는 씨앗과 같다”라고 마누법전은 말한다.

One is not born, but rather becomes, woman. No biological, psychic, or economic destiny defines the figure that the human female takes on in society; it is civilization as a whole that elaborates this intermediary product between the male and the eunuch that is called feminine. Only the mediation of another can constitutes an individual as an other. --P283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생물학적·심리적·경제적 운명도 사회 속에서 인간의 여성이 띠고 있는 모습을 규정하지 않는다. 남자와 여자라 불리는 거세된 남자의 중간 산물을 공들여 만들어낸 것이 문명 전체이다. 오직 타인의 개입만이 한 개인을 타자로 구성할 수 있다.

Man even requires her to playact: he wants her to be Other; but every existent, as desperately as he may disavow himself, remains a subject; he wants her to be object: she makes herself object; at the moment she makes herself being, she is exercising a free activity; this is her original treason; the most docile, the most passive woman is still consciousness. --P653

남자는 여자가 연극을 하도록 요구한다. 그는 그녀가 타자이기를 원한다. 그러나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필사적으로 자기를 부인하려고 해도 주체로 존재한다. 남자는 여자를 객체로 만들려고 한다. 여자는 자기를 객체로 만든다. 여자가 스스로 그렇게 되려는 순간에 그녀는 일종의 자유로운 활동을 개시한다. 이것은 그녀의 근본적인 배신이다. 가장 순종적이고 가장 수동적인 여자도 역시 의식적이다.

She was duped by being persuaded she was priceless; in reality she is merely a distraction, a pleasure, company, an inessential article for the man; for her he is the meaning, the justification of her existence; the two objects exchanged are thus not of the same quality. --P758

남자는 여자가 소중하다고 설득하여 여자를 속여 왔다. 사실 여자는 남자에게 하나의 오락이자 쾌락이요 반려이며 비본질적인 재산에 불과하다. 여자에게 남자는 의미이며 여자의 존재를 정당화해준다. 그러므로 두 주체의 교환은 동등한 가치를 지닌 것이 아니다.

This could not be better said. Within the given world, it is up to man to make the reign of freedom triumph; to carry off this supreme victory, men and women must, among other things and beyond their natural differentiations, unequivocally affirm their brotherhood. --P863

이 이상 더 말할 수 없다. 이 주어진 현실 세계에 자유의 승리를 가져오느냐는 우리 인간에게 달려 있다. 이 지고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남녀가 그 자연의 구별을 초월해서 분명한 우애를 확인해야 한다.

◆ <The Feminine Mystique(여성성의 신화, 1963)>

미국의 페미니스트이자 사회심리학자인 Betty Friedan(베티 프리단, 1921~2006)은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에서 심리학을 연구했다. 1963년 <여성성의 신화>를 출간해 현대 여성운동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페미니즘의 고전으로 일컬어진다.

If women were really people—no more, no less—then all the things that kept them from being full people in our society would have to be changed. And women, once they broke through the feminine mystique and took themselves seriously as people, would see their place on a false pedestal, even their glorification as sexual objects, for the putdown it was. --P37

여성들이 더도 덜도 말고 진정한 인간이라면 여성들을 우리 사회에서 온전한 인간이 되지 못하게 만든 모든 것들이 변화되어야 했다. 그리고 여성들이 여성성의 신화를 깨뜨리고 자기 자신을 인간으로서 진지하게 받아들이면 자신들이 위치가 잘못된 기반을 놓인 것을 인식하고, 성적 대상으로서 여성에 대한 찬미조차도 거짓임을 알게 될 것이다.

It’s frightening when you’re starting on a new road that no one has been on before. You don’t know how far it’s going to take you until you look back and realize how far, how very far you’ve gone. --P38

아무도 전에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을 간다는 것은 두려운 것이다. 당신이 돌아보고 얼마나 먼지, 또 당신이 얼마나 왔는지 알게 되기 전까지는 얼마나 멀리 가야할지 알 수 없다.

The feminine mystique says that the highest value and the only commitment for women is the fulfillment of their own femininity. It says that the great mistake of Western culture, through most of its history, has been the undervaluation of this femininity. It says this femininity is so mysterious and intuitive and close to the creation and origin of life that man-made science may never be able to understand it. --P70

여성성의 신화는 여성에게 가장 큰 가치와 유일한 헌신이 자신의 여성다움을 완성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하여 역사를 통해 이런 여성성을 과소평가한 것이 서구문화의 가장 큰 결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런 여성다움은 아주 신비롭고 직관적이며 생명 창조와 기원에 밀접하기 때문에 남성이 만든 학문으로는 결코 이해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The feminine mystique is so powerful that women grow up no longer knowing that they have the desires and capacities the mystique forbids. But such a mystique does not fasten itself on a whole nation in a few short years, reversing the trends of a century, without cause. --P92

여성성의 신화는 너무도 강력하여 여성들은 그 신화가 금지하는 소망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어른이 된다. 그러나 이 신화가 이유 없이 짧은 세월에 전국적으로 확산되거나 한 세기의 추세를 되돌릴 수는 없다.

The feminists had only one model, one image, one vision, of a full and free human being: man. For until very recently, only men (though not all men) had the freedom and the education necessary to realize their full abilities, to pioneer and create and discover, and map new trails for future generations. Only men had the vote: the freedom to shape the major decisions of society. --P106

페미니스트들은 완전하고 자유로운 인간은 오직 하나의 모델, 하나의 이미지, 하나의 비전을 가졌을 뿐이다. 남성이다. 아주 최근까지도 오직 남성만이 (결코 모든 남성이 그렇지는 않지만) 자신의 완전한 능력을 깨닫는 데 필요한 자유와 교육을 받았다. 남성은 미래 세대를 위해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창조하고 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였다. 단지 남성만이 선거권을 가지며, 사회를 움직이는 주요한 결정을 형성할 자유를 가졌다.

Feminism was not a dirty joke. The feminist revolution had to be fought because women quite simply were stopped at a stage of evolution far short of their human capacity. --P109

페미니즘은 저속한 농담이 아니었다. 페미니즘 혁명은 여성이 인간의 능력에 훨씬 못 미치는 진화의 단계에 멈춰 섰기 때문에 쟁취해야 했다.

Perhaps it is only a sick society, unwilling to face its own problems and unable to conceive of goals and purposes equal to the ability and knowledge of its members, that chooses to ignore the strength of women. Perhaps it is only a sick or immature society that chooses to make women “housewives,” not people. --P253

사회가 지닌 문제점들을 직면하려 하지 않고, 사회 구성원의 능력과 지식에 적절한 목적과 목표를 생각하지 못하는 사회는 여성의 강인함을 무시하는 선택을 하는 병든 사회일 것이다. 또한 여성을 인간이 아니라 주부로 만들도록 선택한 사회는 병들거나 아니면 미성숙한 사회일 것이다.

The feminine mystique has succeeded in burying millions of American women alive. There is no way for these women to break out of their comfortable concentration camps except by finally putting forth an effort—that human effort which reaches beyond biology, beyond the narrow walls of home, to help shape the future. --P356

여성성의 신화는 살아있는 수백만의 미국 여성을 매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자신의 안락한 수용소를 부숴버리려는 이런 여성들에게는 미래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생물학을 초월하고 가정의 좁은 벽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노력 이외는 다른 방법이 없다.

What had to be changed was the obsolete feminine and masculine sex roles that dehumanized sex, making it almost impossible for women and men to make love, not war. --P403

우리가 변화시켜야 할 것은 성을 비인간화하여 남성과 여성이 사랑을 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케케묵은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다.

◆ <Sexual Politics(성 정치학, 1969)>

미국의 여성주의 작가이자 활동가이며 교육자인 Kate Millett(케이트 밀렛, 1934~2017)은 양성주의자로, 조각가 요시무라 후미오와 1965년부터 1985년까지 결혼생활을 하면서 여성들과도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제2세대 여성주의에 강한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되며, 1969년에 출간된 컬럼비아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인 <성 정치학>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저서는 성애(sexual love)에 관련한 문학작품을 쓴 D.H.로렌스, 헨리 밀러, 노먼 메일러, 장 주네의 작품을 분석한 문학비평서이면서 여성의 성과 지위에 대해 쓴 글로, 불평등한 성에 뿌리 깊은 가부장제의 해체를 주장한다.

Fundamentalist Christianity constantly thwarts feminism, and fundamentalist Islam has built its entire political program on a new subjection of women. Dictatorships return again and again to a more virulent patriarchy. The length of patriarchy is its greatest strength, its seeming permanence. --Pxxiii

기독교의 근본주의는 끊임없이 페미니즘에 훼방을 놓고 이슬람 근본주의는 여성의 새로운 예속 위에 정치적 프로그램을 세우고 있다. 독재 정권도 더욱 지독한 가부장제로 끝없이 회귀한다. 가부장제의 길이는 가부장제의 거대한 힘이며, 그 보기에 영속성을 가진다.

If one takes patriarchal government to be the institution wherby that half of the populace which is female is controlled by that half which is male, the principles of patriarchy appear to be two fold: male shall dominate female, elder male shall dominate younger. However, just as with any human institution, there is frequently a distance between the real and the ideal; contradictions and exception do exist within the system. --P25

가부장제 정부는 인구의 절반인 남성이 인구의 나머지 절반인 여성을 지배하는 제도라 한다면 가부장제의 원칙은 이중적으로 보인다.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 나이가 많은 남성이 어린 남성을 지배한다. 그러나 민간이 만든 모든 제도가 그러하듯 현실과 이성 사이에는 거리가 존재한다. 즉, 모순과 예외가 체제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In the matter of conformity patriarchy is a governing ideology without peer; it is probable that no other system has ever exercised such a complete control over its subjects. --P33

순응이라는 문제에 있어 가부장제는 필적이 없는 지배 이데올로기이다. 가부장제가 아닌 어떤 체제도 피지배자를 그렇게 완벽하게 지배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Patriarchy’s chief institution is the family. It is botha mirror and a connection with the larger society; a patriarchy unit within a patriarchal whole. Mediating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structure, the family effects control and conformity where political and other authorities are insufficient. As the fundamental instrument and the foundation unit of patriarchy society the family and its role are prototypical. --P33

가부장제의 주요한 제도는 가족이다. 가족은 사회의 거울이자 더 큰 사회와 연관이다. 즉, 전체 가부장제 내부에 있는 가부장제 단위인 것이다. 개인과 사회구조를 매개하면서 가족은 정치적인 권위나 여타의 권위가 불충분한 곳에서 지배와 순응에 영향을 미친다. 가부장제 사회의 근본도구이자 기초단위인 가족과 그 역할은 원형적이라 할 수 있다.

A sexual revolution would require, perhaps, first of all, an end of traditional sexual inhibitions and taboos, particularly those that most threaten patriarchal monogamous marriage: homosexuality, “illegitimacy,” adolescent, pre-and extra-marital sexuality. The negative aura with which sexual activity has generally been surrounded would necessarily be eliminated, together with the double standard and prostitution. --P62

성 혁명이 무엇보다 전통적인 성적 억제와 금기의 종식을, 특히 가부장제적 일부일처를 위협하는 것들, 곧 동성애, 사생아 출산, 청소년의 성행위, 혼전 성행위와 혼외정사의 종식을 요구한다. 이중기준과 매춘과 함께 성적활동이 일반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부정적인 기운도 제거되어야 한다.

It may be that we shall even able to retire sex from the harsh realities of politics, but not until we have created a world we can bear out of the desert we inhabit. --P363

가혹한 현실 정치에서 성을 은퇴시킬 수 있지만, 이는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사막에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낼 때만 가능할 것이다.

◆ <Sister Outsider(시스터 아웃사이더, 2007)>

미국의 흑인인권 운동가이자 페미니스트인 Audre Lorde(오드리 로드, 1934~1992)는 영원한 아웃사이더로서 레즈비언 공동체에서는 흑인으로, 흑인 공동체에서는 레즈비언으로, 페미니스트 공동체에서는 흑인 레즈비언으로 평생을 인종차별과 성차별, 동성애혐오에 맞서 싸웠다.

I was going to die, if not sooner then later, whether or not I had ever spoken myself. My silence had not protected me, Your silence will not protect you. --P23

내가 내 자신을 말했든 말든 조만간 나는 죽을 것이다. 내 침묵이 나를 보호하지 못했고, 당신의 침묵이 당신을 보호하지 못할 것이다.

And because our society teaches us to think in an either/or mode—kill or killed, dominate or be dominated—this meant that he must either surpass or be lacking. I could see the implications of this line of thought. --P76

우리 사회는 우리에게 죽이지 않으면 죽임을 당하거나, 지배하지 않으면 지배당하는 이분법적 방식을 가르치기 때문에 이것은 사람이 능가하거나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나는 이러한 사고방식의 의미를 알 수 있었다.

Because we cannot fight old power in old power terms only. The only way we can do it is by creating another whole structure that touches every aspect of our existence, at the same time as we are resisting. --P103

우리는 오래된 권력 조건에서만 낡은 권력과 싸울 수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리가 저항하는 동시에 우리 존재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전체 방식을 만드는 것이다.

It is learning how to stand alone, unpopular and something reviled, and how to make common cause with those others identified as outside the structures in order to define and seek a world in which we can flourish. It is learning how to take our differences and make them strengths. For the master’s tools will never dismantle the master’s house. --P112

우리는 번성할 수 있는 세상을 찾고 규정하기 위해 어떻게 홀로 서고, 인기 없고 욕을 먹으며 구조 밖에 존재하는 타인들과 공동 대의를 만드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강하게 만드는 법을 배워야 한다. 주인의 도구로는 결코 주인의 집을 무너뜨릴 수 없다.

What we must do is commit ourselves to some future that can include each other and to work toward that future with the particular strengths of our individual identities. And in order to do this, we must allow each other our differences at the same time as we recognize our sameness. --P142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서로를 포함할 수 있는 어떤 미래에 헌신해야 하며, 우리 각자의 정체성에서 나오는 특별한 힘으로 그런 미래를 향해 일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우리의 동일성을 인식하는 동시에 서로의 차이를 허용해야 한다.

As we arm ourselves with ourselves and each other, we can stand toe to toe inside that rigorous loving and begin to speak the impossible—or what has always seemed like the impossible —to one another. The first step toward genuine change. --P175

우리가 스스로 무장하고 서로 무장해 준다면 우리는 이 긴밀한 사랑 안에서 정면으로 서서 불가능한 것 혹은 항상 불가능해 보였던 것을 서로에게 말할 수 있다. 이것이 진정한 변화를 향해 가는 첫걸음이다.

◆ <Men Explain Things to Me(남자는 나를 설득하려 한다, 2014)>

Rebecca Solnit(리베카 솔닛, 1961~ )은 미국의 저술가, 비평가, 역사가, 여권운동가이다. 1980년대부터 환경, 반핵, 인권 방면으로 다양한 현장운동에 참여해 왔다. 본서에서 ‘Masplaing(Man+explaing: 남자+설명하다)’이란 용어를 탄생시켰고, 이는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설명 강박을 비판한 것이다.

We have abundance of rape and violence against women in this country and on this Earth, though it’s almost never treated as a civil rights or human rights issue, or a crisis, or even a pattern. Violence doesn’t have a race. a class, a religion, or a nationality, but it does have a gender. --P21

이 나라와 이 지구에서는 여성에 대한 강간과 폭력이 엄청나게 많지만, 그 사건들이 시민권 문제나 인권 문제로, 혹은 위기로 혹은 하나의 패턴으로 다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폭력은 인종도 계급도 종교도 국적도 없다. 그러나 젠더는 있다.

And feminism made same-sex marriage possible by doing so much to transform a hierarchical relationship into an egalitarian one. Because a marriage between two people of the same gender is inherently egalitarian--one partner may happen to have more power in any number of ways. --P60

그리고 페미니즘은 위계관계를 평등관계로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함으로써 동성 결혼이 가능하게끔 만들어 주었다. 같은 성의 두 사람이 결혼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평등한 관계이기 때문에 한 짝이 여러 방면에서 더 많은 권력을 가질 수 있다.

Merriage equality is a threat: to equality, It's a boon to everyone who values and benefits from equality, It's for all of us. --P60

평등 결혼은 위협이다. 평등에 대한 위협이다. 평등에 가치를 두고, 평등으로 혜택을 입는 모든 사람에게 유익하다. 그것은 우리 모두를 위한 일이다.

Feminism sought and seeks to change the whole human world; many men are on board with the project, but how it benefits men, and in what ways the status quo damage men as well, could bear far more thought. --P150

페미니즘은 인간세상 전체를 변화시키려고 탐구한다. 벌써 많은 남자들이 이 사업에 가담했으나, 이 사업이 어떻게 남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어떤 방식으로 현재의 상태가 남자들에게 피해를 입히는지에 대해서는 훨씬 더 많은 생각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