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공황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었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5.30 09:00 의견 0

By the middle of 1929 new capital undertakings were already on an inadequate scale in the world as a whole, outside the United States. The culminating blow has been the collapse of new investment inside the United States, which to-day is probably 20 to 30 per cent less than it was in 1928. Thus in certain countries the opportunity for new profitable investment is more limited than it was. ; whilst in others it is more risky. --John Maynard Keynes, Essays in Persuasion, P145

1929년 중반에 새로운 자본사업이 미국을 제외한 세계 곳곳에서 이미 부적절한 규모에 있었다. 결정적인 타격은 미국 내에서 일어난 신규투자의 붕괴였다. 오늘날(1930년) 미국의 신규투자는 1928년에 비교해 20% 내지 30% 감소했다. 따라서 일부 나라에서는 신규투자의 기회가 과거보다 더 제한되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더 위기였다. --존 메이나드 케인스 <설득의 에세이(1931)> 중에서

존 메이나드 케인스(1883~1946)는 20세기 최고의 경제학자로 거시경제학을 창설했으며, 지금까지도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그는 1930년대 불황을 신규투자의 붕괴로 발생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불후의 명작인 <일반이론>을 1936년 발표하여 대공황으로 인한 실업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으로 투자를 활성화하여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세계 10대 경제학자로 추앙받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슘페터는 <경제변동론(1939)>을 통해 경제변동이 호황, 후퇴, 불황, 회복이라는 4가지 과정을 거치며, 각 단계마다 경기의 변화를 주도하는 제 요인을 분석했다, 그는 경기순환 유형을 40개월 주기의 ‘Kitchin Cycle(키친순환)’, 10년 주기의 ‘Jugler Cycle(쥐글라순환)’, 40~60년 주기의 ‘Kontratief Cycle(콘트라티에프순환)’로 구분했다. 그는 혁신과 기업가정신이 경기의 호황을 촉발하지만, 이러한 호황이 과열되어 과잉투자와 신용팽창이 결국 불황을 불러온다고 했다.

공황은 17세기인 1636년 네덜란드에서 튤립 알뿌리 투기로 인한 거품과 1720년 영국 남해회사의 거품, 1929년 미국의 주식 거품으로 인한 대공황, 1985년 일본의 부동산 거품, 1997년 아시아의 주식 및 부동산 거품 등 10대 금융거품 이외도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로 인한 주택 거품 등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공황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었다.

◆ <The Crash 1929(대폭락 1929년, 1955)>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자인 John Kenneth Galbraith(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1908~2006) 교수는 20세기를 대표하는 진보적 경제학자였다. 프랭클린 루즈벨트부터 빌 클린턴까지 민주당 대통령 자문역으로 있으며 민주당 지도자들의 사고와 노선에 많은 영양을 미쳤다. 본서는 1929년 주식폭락이 대공황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The Florida boom was the first indication of the mood of the twenties and the conviction that God intended the American middle class to be rich. But that this mood survived the Florida collapse is still more remarkable. --P6

플로리다의 부동산 호황은 1920년대 분위기를 반영하는 첫 조짐이었으며, 신이 중산층을 부자로 만들려 한다는 확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위기가 플로리다 경기 침체이후에도 살아남았다는 사실은 더욱 놀랍다.

While the winter months of 1928 were rather quiet, thereafter the market began to rise, not by slow, steady steps, but by great vaulting leaps. On occasion it also came down the same way, only to recover and go higher again. --P12

1928년 겨울에는 비교적 평온했지만, 그 후 증시는 느리고 꾸준한 단계가 아니라 단숨의 도약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 가끔 시장은 같은 방식으로 침체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내 회복되고 한층 더 상승했다.

However, there were many ways of making money in 1928. Never had there been a better time to get rich, and people knew it. 1928, indeed, was the last year in which Americans were buoyant, uninhibited, and utterly happy. --P22

1928년에는 여러 가지 돈벌이 방법이 있었다. 그때만큼 부자 되기가 좋았던 시절은 없었다. 사람들은 그것을 잘 알고 있었다. 실제 1928년은 미국인들이 들뜨고 자제할 줄 모르고 아주 행복했던 마지막 해였다.

After the Great Crash came the Great Depression which lasted, with varying severity, for ten years. In 1933, Gross National Product(total production of the economy) was nearly a third less than in 1929. Not until 1937 did the physical volume of production recover to the levels of 1929, and then it promptly slipped back again. --P168

주가 대폭락 이후 엄혹한 대공황이 10년간 지속됐다. 1933년 국민총생산(GNP)은 1929년에 비해 3분의 1이 감소했다. 실물생산액은 1937년이 되도록 192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리고 그 후 또 다시 급락했다.

In 1933 nearly thirteen million were out of work, or about one in every four in labor force. In 1938 one person in five was still out of work. --P168

1933년에는 약 1,300만명, 즉 노동인구 4명 중 1명꼴로 실업자였다. 1938년에는 5명중 1명꼴로 일자리가 없었다.

◆ <Manias, Panics, and Crashes; A History of Financial Crises(광기, 패닉, 붕괴; 금융위기의 역사, 2000)>

미국 MIT대학교에서 1948~1981년까지 경제학과 교수였던 Charles P. Kindleberger(찰스 P. 킨들버거, 1910~2003)는 국제경제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였다. 그는 문화적 경제사가로 불릴 만큼 수리경제학을 경원시했다. 본서는 투기적 광기에서 비롯되는 거품과 금융위기에 대한 고전이다.

Bubbles always implode; by definition a bubble involves a nonsustainable pattern of price changes or cash flows. The implosion of the asset price bubble in Japan led to the massive failure of a large number of banks and other types of financial firms and more than a decade of sluggish economic growth. --P1

거품은 항상 터지기 마련이다. 거품은 그 의미 자체로 지탱할 수 없는 가격변동이나 현금흐름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자산가격 거품의 붕괴로 인해 수많은 은행과 금융기관들의 대대적인 파산사태가 벌어졌고, 이어 10년이 넘는 경제성장의 정체가 뒤따랐다.

Speculation involves buying commodities for the capital gain from anticipated increases in their prices rather than for their use. --P28

투기란 어느 상품을 사용해서 얻는 이익이 아니라 예상되는 가격상승으로 발생하는 자본이득을 얻을 목적으로 상품을 매수하는 행위를 말한다.

Speculation for capital gains leads away from normal, rational behavior to what has been described as a ‘mania’ of a ‘bubble.’ --P29

자본이득을 위한 투기는 사람들을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에서 일탈시켜 ‘광기’나 ‘거품’이라는 표현 말고는 달리 묘사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이끈다.

The standard model of the sequence of events that leads to financial crises is that a shock leads to an economic expansion that then morphs into an economic boom; euphoria develops and then is a pause in the increase in asset prices. Distress is likely follow as asset prices began to decline. The pattern is biological in its regularity. --P90

금융위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의 표준적인 모델은 어떤 충격이 경기확장을 야기하고, 곧이어 확장국면은 경기호황으로 전환된다. 풍요감이 성숙해지고 이어서 자산가격의 상승이 멈추는 현상이 나타난다. 자산가격의 하락이 시작되면 불안국면이 뒤따르기 쉽다. 이 같은 유형은 규칙적으로 되풀이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인 과정이다.

Some bubbles are swindles, some are not. The Mississipi Bubble was not a swindle, the South Sea Bubble was. a bubble generally starts with an apparently legitimate or at least legal purpose. --P190

어떤 거품들은 사기고, 또 사기가 아닌 거품들도 있다. 미시시피 거품은 사기가 아닌 반면, 남해회사 거품은 사기였다. 거품은 일반적으로 명백하게 합당하며, 적어도 합법적인 목적으로 시작된다.

◆ <The Subprime Solution(서브프라임 해결, 2008)>

미국 예일대학교 금융학 교수 Robert J. Shiller(로버트 쉴러, 1946~ )는 행동경제학의 대부이자 사회심리학을 전통 경제학과 결합시켜 버블 형성과 붕괴, 서브프라임 사태 등 굵직한 경제현상을 정확히 예측하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로 주목받아 왔다. 2013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대표적인 저서로 <야성적 동물>, <비이성적 과열>, <내러티브 경제학> 등이 있다.

The subprime crisis was essentially psychological in orgin, as are all bubbles. The crisis was not caused by the impact of a meteor or the explosion of a volcano. Rather it was caused by failure to anticipate quite obvious risks- by “irrational exuberance” at the prospects for profits, if one bought into the concept of an ever-expanding bubble. --P24

서브프라임 위기는 본래 모든 버블처럼 근본적으로 심리적인 것이다. 위기는 화산의 폭발이나 유성의 충돌로 발생하지 않는다. 차라리 이는 아주 명백한 위험을 예측하는 데 실패하여 일어났다. 만약 보다 확대된 버블 개념을 수용한다면 이익에 대한 전망에서 이상과열로 인해 발생된 위험 말이다.

Psychological, epidemiological, and economic theory all point to an environment in which feedback of enthusiasm for speculative assets, or feedback of price increases into further price increases, can be expected to produce speculative bubbles from time to time. --P47

가격상승이 한층 더한 가격상승을 피드백하거나 투기적 자산에 대한 열망이 피드백하는 환경에 대한 모든 관점에서 심리학적, 역학적, 경제적 이론은 때때로 투기적 버블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re used to be tremendous instability in the banking sector. For example, there were severe U.S. banking crises in 1797, 1819, 1857, 1873, 1893, 1907, and 1933. Those problems were largely fixed by a number of institutional changes over the years, notably the creation of the Federal Reserves System in 1913 and the New Deal reforms of the early 1930s. --P116

지금까지 미국은 수차례 금융위기를 겪었다. 예를 들면 1797년, 1819년, 1837년, 1857년, 1873년, 1893년, 1907년, 그리고 1933년에 심각한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그러한 위기들은 수년에 걸친 제도 수정으로 대부분 해결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1913년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설립과 1930년대 초 뉴딜 개혁정책이다.

The key to long-term economic success is rightly placed confidence in market. In contrast, bubbles are the result of misplaced confidence. --P171

장기적인 경제성공의 열쇠는 시장에 올바르게 신뢰를 두는 것이다. 반대로 버블(거품)은 잘못된 신뢰의 결과이다.

◆ <This Time is Different(이번에는 다르다, 2009)>

천재 경제학자로 추앙받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교수인 Kenneth S. Regoff(케네스 로코프, 1953~ )와 메릴랜드대학교 경제학 교수인 Carmen M. Reihart(카르맨 라이하트, 1955~ )여사의 공저이다. 저자는 전 세계를 망라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모아 800여 년간 60여 나라에서 일어난 호황과 불황을 파헤치고, 호황과 불황 속에 숨겨진 금융 흐름의 일정한 패턴을 찾아낸다. 바로 과도한 부채로 이루어진 호황은 언제나 금융위기로 끝난다는 것이다.

Our immersion in the details of crises that have arisen over the past eight centuries and in data on them ha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most commonly repeated and most expensive investment advice ever gives in the boom just before a financial crisis stems from the perception that “this time is different.” --P xxxiv

800년 동안 일어난 금융위기 사건들을 집중 분석하여 내린 최종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금융위기 직전에 경제호황이 발생하고, 반복되는 가장 값비싼 투자 조언은 “이번엔 다르다”였다는 점이다.

Indeed, political disunity is often a key driver of sovereign defaults and financial crises. The fact that the U.S. subprime crisis became much worse in the run-up to the country 2008 election is quite typical. Preelection posturing and postelection uncertainty routinely exacerbate the challenge of developing a coherent and credible policy response. --P53

국가채무 불이행 및 금융위기의 주요 원인은 정치적 분열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금융위기가 2008년 선거 떄문에 더 악화되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선거 전 가식과 선거 후 불확실성 때문에 일관성 있고 신뢰할 만한 정책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점점 낮아진다.

An even stronger regularity in the literature on modern financial crisis is that countries experiencing sudden large capital inflows are at high risk of experiencing a debt crisis. The preliminary evidence here suggests that the same is true over a much broader sweep of history, with surges in capital inflows often preceding external debt crises at the country, regional, and global levels since 1800, if not before. --P79

현대 금융위기에서 발생되는 규칙적인 패턴 가운데 하나는 갑작스러운 자본유입을 경험하는 국가들이 부채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1800년 이래 자본유입이 급증한 후에는 지역, 국가 등을 막론하고 해외부채위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는 것을 역사가 말해준다.

The lesson of history, then, is that even as institutions and policy makers improve, there will always be a temptation to stretch the limits. Just as an individual can go bankrupt no matter how rich she starts out, a financial system can collapse under the pressure of greed, politics, and profits no matter how well regulated it seems to be. --P292

역사가 우리에게 말하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정책기관과 정책수립자들이 아무리 규제안을 강화해도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시장의 유혹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다. 오래도록 부를 유지한 사람이 파산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금융시스템 역시 아무리 잘 규제된 것처럼 보일지라도 탐욕과 정치와 이익의 압력에 붕괴될 수 있다.

◆ <Crisis Economics(위기경제학, 2011)>

Nouriel Roubini(누리엘 루비니, 1959~ )는 미국 뉴욕대학교 경제학자이다.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미리 예견한 몇 사람 중의 한명으로 유명해졌다. 저자는 경제위기는 언제나 존재했다고 말하고 있다.

Crises, we argue, are neither the freak events that modern economics has made them seem nor the rare ‘black swan’ that other commentators have made them out to be. Rather, they are commonplace and relatively easy to foresee and to comprehend. Call them white swans. --P7

위기는 현대 경제학자들이 보게 만든 기이한 사건도 아니고, 다른 해설자들이 알아보게 된 보기 드문 ‘흑조’도 아니다. 차라리 위기는 일상적이며 상대적으로 예측하고 이해하기 쉽다. 위기를 ‘백조’로 부르자.

Most crises begin with a bubble, in which the price of a particular asset rises far above its underlying fundamental value. This kind of bubble often goes hand in hand with an excessive accumulation of debt, as investors borrow money to buy into the boom. --P17

대부분 위기는 거품으로 시작하며, 거품은 특정한 자산의 가격이 그 본질적인 가치보다 올라가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거품은 투자가가 호황에 사려고 돈을 빌리는 것처럼 종종 과다한 부채의 축적을 동반한다.

As a consequence, the money supply sharply contracted between 1929 and 1933, leading to a severe liquidity and credit crunch that turned a stock market bust into a banking crisis and eventually into as severe economic depression. --P23

그 결과로 1929년과 1933년 사이에 통화공급은 급격히 위축되어 심각한 유동성과 신용경색을 초래했으며, 주식시장을 은행위기로 변모시키고, 결국에 심각한 경제불황으로 변했다.

Crises, as we have seem, are as old and ubiquitous as capitalism itself. They arose hand in hand with capitalism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and like the plays that Shakespeare first staged at this time, they have remained with us ever since, in much the same form. --P267

위기는 우리가 보는 것처럼 자본주의 자체처럼 오래되었고 어디에나 존재한다. 위기는 17세기 초에 자본주의와 협력하여 일어났다. 이 시기에 셰익스피어가 처음 무대에 올린 연극처럼 위기는 거의 같은 모양으로 지금까지 우리와 함께 머문다.

Crises cannot be abolished; like hurricanes, they can only managed and mitigated. --P275

위기는 없어지지 않는다. 허리케인처럼 오로지 관리되고 완화될 뿐이다.

◆ <Aftershock(애프터쇼크, 2011)>

미국 클린턴 정부의 노동부장관을 역임한 UC버클리대학교 Robert B. Reich(로버트 라이시, 1946~ ) 교수는 진보주의 경제학자로서 위기가 반복되는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슈퍼자본주의>, <자본주의 구하기>, <부유한 노예들>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By the 2000s, before the Great Recession, the typical American worker put in more than 2,200 hours a year - 350 hours more than the average European worked, and more hours even than the typically industrious Japanese. --P62

대불황이 전인 2000년대에 전형적인 미국인 노동자는 1년에 2,200시간 이상 일했다. 이는 평균 유럽인들이 일하는 것보다 350시간 더 많이 일했고, 전형적인 부지런한 일본인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일했다.

Almost 10 percent fewer people were killed on America's highways in the burst year of 2009 than in the boom year of 2007. The salient reason for these statistics is much simpler. When the economy slows, fewer people take to the roads. Fewer people on the highways means fewer highway accidents and deaths. --P88

호황기인 2007년보다 금융공황인 2009년에 미국 고속도로에서 사망한 사람들이 거의 10% 감소했다. 이러한 통계에 두드러진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경제가 둔화되면 사람들은 도로 사용이 적다. 고속도로에 사람이 감소하면 고속도로 사고와 사망이 적음을 의미한다.

The stock market crash of 1929 caused an increase in suicides, and the suicide rate rose as the Great Depression wore on. In 1929, there were 15.3 suicides for every hundred thousand people; by 1930, 17 per hundred thousand; by 1932, 18.6. --P90

1929년 주식시장의 붕괴는 자살의 증가를 초래했고, 대공황이 경과하면서도 자살률이 증가했다. 1929년에 10만 명당 15.3명, 1930년에는 17명, 1932년에는 18.6명이 되었다.

We are the only wealthy nation that does not ensure that all citizens have coverage; as of 2010, some 45 million people were without insurance. --P137

미국은 모든 국민의 의료보호를 보장하지 못하는 유일한 부자국가이다. 2010년에만 4,500만 명의 미국인들이 의료보험이 없다.

None of us can thrive in a nation divided between a small number of people receiving an ever larger share of the nation's income and wealth, and everyone else receiving a declining share. --P146

소수가 국가의 소득과 부에서 많은 몫을 받고, 다수가 줄어드는 몫을 나누어 갖는 나라에서는 누구도 번영할 수 없다.

◆ <Crashed(붕괴; 금융위기 10년, 세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2019)>

영국 출신으로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인 Adam Tooze(애덤 투즈, 1967~ )는 현대경제사 연구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꼽힌다. 저서로는 <The Deluge(엄습: 1차대전과 세계질서의 재편)> 등이 있다. 본서는 현대 자본주의 체제와 글로벌 경제의 한복판에서 벌어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의 역사를 다룬다.

Tuesday, September 16, 2008, was the “day after Lehman.” It was the day global money markets seized up. At the Federal Reserve Board in Washington. DC, September 16 began with urgent plans to sluice hundred of billions of dollars into the world’s central banks. --P1

2008년 9월 16일 화요일은 이른바 “리먼브라더스 사태 다음 날”이었다. 이날은 전 세계 글로벌 화폐시장들이 멈춰 섰다.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에서는 9월 16일 전 세계 중앙은행에 수백억 달러의 긴급자금을 지원하는 계획을 서둘러서 발표했다.

In fact, the crisis was not merely American but global and, above all, North Atlantic in its genesis. And in a contentious and problematic way it had the effect of recentering the world financial economy on the United States as the only state capable of meeting the challenge it posed. --P5

실제로 2008년의 금융위기는 단지 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의 위기였으며, 다만 그 근원지가 북대서양 국가들이었다. 금융위기는 또한 논쟁적이고 문제가 있는 방식으로 미국을 세계금융경제의 중심지로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미국은 자신이 만들어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유일한 국가였다.

Most at risk in 2008 was South Korea, whose famous corporate export champion, the Chabal—Daewoo, Hyundai,Samsung —and their glant steel plants, shipyards and car factories suffered a shuddering blow. --P256

2008년에 가장 위기에 몰린 나라는 한국이었다. 유명한 수출전문 기업집단, 즉 대우, 현대, 삼성 같은 재벌들과 거대한 규모의 제철소, 조선소, 자동차 공장들은 갑작스런 충격으로 커다란 고통을 겪었다.

What set South Korea apart in Asia, and gave it a vulnerability akin to that of Eastern Europe or Russia, was the global integration of its financial system. --P256

아시아지역에서 한국을 유별나게 하고 동유럽이나 러시아와 유사한 취약성을 준 것은 한국의 금융시스템이 전 세계와 하나로 엮여 있었기 때문이다.

Six years on from the crisis, Trump’s enthusiasm for an acivist, engaged, “strong” presidency remained. What had changed was his attitude to Obama, which had curdled from admiration to vituperative animosity. --P571

금융위기로부터 6년, 트럼프의 행동주의자, 참여하는 “강력한” 대통령에 대한 열정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변한 것이 있다면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태도로, 감탄에서 냉혹한 적대감으로 바뀌어 있었다.

◆ 경제위기는 인간의 공포로 야기되었다

인류의 역사상 크게 공황이 일어난 10대 경제위기를 포함하여 최근에 일어난 2008년 서브프라임 부동산 위기는 모두 인간의 불안한 심리상황이 초래한 경제적 위기였다. 인간이 합리적이지 않고 충동에 의해 의사결정을 한다는 사실은 최근에 발달한 행동주의 경제학으로 수없이 입증된 바 있다. 고전경제학의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는 시장은 자율적으로 균형을 찾기 때문에 정부의 시장개입을 반대해 왔다. 1929년 대공황 이후로 경제위기 때마다 구원투수의 역할은 정부의 시장에 대한 개입이었다.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확대로 불황과 경제적 위기가 해결되었다. 이런 점에서 고전경제학에 대한 케인스 경제학의 승리라 할 수 있다.

1929년 대공황은 히틀러를 낳아서 제2차 세계대전을 초래했고, 2008년 부동산 모기지로 인한 금융위기 10년은 트럼프를 낳아 미국이 정치적 위기를 겪었다. 포퓰리즘을 동반한 정치가가 경제공황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경제적 불안과 공황은 정치적 위기를 동반한다. 잘못하면 국가 간 전쟁으로 이어진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

사람은 남의 경험에서 배우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자신이 직접 위기를 경험해야 교훈을 얻는다. 옛날에 비해 경제위기를 대처하는 인간의 능력도 향상되었다. 미래를 예측하는 수리경제학의 발전과 컴퓨터공학을 이용한 경제상황의 시뮬레이션 예측으로 미리 대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인간의 합리적 판단과 심리가 어느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