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ognition that substantial 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 is only the beginning of an understanding of the cause and cure of inflation. --Milton Friedman, Money mischief, P193
명목적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모든 곳에서 화폐적 현상이라는 인식은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치유를 이해하는 유일한 시작이다. --밀튼 프리드먼 <화폐경제학> 중에서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지속적인 물가상승을 뜻한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불황(stagnation)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경제침체와 물가상승이 동반된 상황을 말한다.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은 ‘초(超)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하며, 통제상황을 벗어나 1년에 수백 % 이상으로 물가상승이 일어나는 경우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1923년 독일에서 일어난 상상을 초월한 물가폭등으로 1921년 신문 1부에 0.3마르크였던 가격이 2년 후인 1923년에는 700만 마르크로 상승했으며, 빵 1파운드가 30억 마르크로 올라 물가가 약 10억배 가량 폭등한 경우가 있다.
세계경제는 1970년대와 1990년대에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물론 인플레이션으로 이득을 보는 자도 있다. 특히 채무자는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부채를 상환하는 데 유리하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은 호리병 속의 지니(genie, 요정)와 같다. 병 안에 있는 한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한번 병 밖으로 빠져나오면 통제하기 어렵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에 아주 제한된 통제력을 갖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기업, 고용주, 근로자, 가계 등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2008년 서브프라임 대출 위기 이후로 미국에서 ‘양적완화(QE:Quantitative Erasing)’ 조치로 달러를 마구 풀어서 지금은 고금리정책으로 달러를 회수하고 있다. COVID19로 인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 더하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인해 세계경제에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 <Essays in Persuasion(설득의 에세이, 1930)>
20세기 최고의 경제학자 John Maynard Keynes(존 메이너드 케인스, 1883~1946)는 케임브리지대학교를 졸업한 후 재무부 공무원시험에서 경제학을 잘못 치러 2등으로 합격, 재무부 인도성에서 외환문제를 다루었다. 금융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그는 <화폐론(1930)> 등을 저술했다. <일반이론(1936)>은 최고의 경제이론서로 칭송받는다.
Lenin was certainly right. There is no subtler, no surer means of overturning the existing basis of Society than to debauch the currency. The process engages all the hidden forces of economic law on the side of destruction, and does it in a manner which not one man in a million is able to diagnose. --P43
레닌은 확실히 옳았다. 사회의 기초를 엎어버리는 수단으로는 통화를 망쳐놓는 것보다 더 미묘하고 확실한 것은 없다. 통화제도를 망가뜨리는 과정은 경제법칙의 숨은 요인들이 파괴의 편에 서게 되고,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Each process, Inflation and Deflation alike, has inflicted great injuries. Each has an affect in altering the distribution of wealth between different classes, Inflation in this respect being the worse of the two. Each has also an effect in overstimulating or retarding the production of wealth, though here Deflation is the more injurious. --P45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똑같이 그 과정에 엄청난 상처를 남겼다. 각 과정은 계층 간 부의 ‘분배’를 바꿔놓았다. 이 점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더 나빴다. 또한 각각의 과정은 부의 ‘생산’을 지나치게 자극하거나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 점에서는 디플레이션이 더 해로웠다.
We see, therefore, that rising prices and falling prices each have their characteristic disadvantage. The Inflation which causes the former means Injustice to individuals and to classes--particularly to rentiers; and therefore unfavorable to saving. --P56
우리는 물가상승과 물가하락이 각각 결정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물가상승을 일으키는 인플레이션은 개인과 계층들에는 불공평을 의미한다. 특히 임대인에게 불리하며 저축에도 불리하게 된다.
Thus Inflation is unjust and Deflation is inexpedient. Of the two perhaps Deflation is, if we rule out exaggerated inflations such as that of Germany, the worse; because it is worse, in an impoverished world, to provoke unemployment than to disappoint the rentier. --P57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불공평하고 디플레이션은 어리석다. 둘 중에서는 아마 독일의 경우와 같은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예외로 한다면 디플레이션이 더 나쁘다. 그 이유는 빈곤해진 세상에서는 불로소득 생활자들을 실망시키는 것보다 실업을 야기하는 것이 더 나쁘기 때문이다.
◆ <The Money Illusion(화폐착각, 1928)>
미국의 경제학자 Irving Fisher(어빙 피셔, 1867~1947)는 예일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근대 경제이론의 개척자로 화폐수량설과 물가지수론을 주장했다. 화폐의 명목가치를 구매력으로 오해하는 현상을 ‘화폐착각’이라 부른다.
If the circulation of money increases relatively to the circulation of goods, the price level will rise. If, on the contrary, it decreases relatively, the price level will fall; that is, whether the butter is thick or thin depends on whether there is much or little butter relatively to the bread. In the first case, there is relatively inflation; in the second, relative deflation. --P35
화폐의 유통량이 재화의 유통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어나면 물가는 올라갈 것이다. 반대로, 화폐 유통량이 재화의 유통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줄면 물가는 떨어질 것이다. 말하자면, 빵에 바르는 버터가 두꺼워지는가 아니면 얇아지는가 하는 문제는 버터의 양이 빵의 크기에 비해 많고 적음에 좌우된다. 첫 번째의 경우에는 상대적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이고, 두 번째의 경우에는 상대적 디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이다.
When the price level rises the rise is due wholly or chiefly to an actual scarcity of the individual goods concerned, and that, when the price level falls, the fall is due wholly or chiefly to an actual superabundance of the individual goods concerned. In other words, the common impression is that a high price level, a so-called “high cost of living,” is not usually due to any absolute inflation; and that a low price level is not usually due to any absolute deflation. But there is no justification whatever for such ideas; they are chiefly due to our old friend the Money Illusion which hides from us the money side of the market. --P39
물가가 오를 때, 물가의 인상은 거의 전적으로 관련 개별 재화가 실제로 희소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또 물가가 내려갈 때, 그 하락은 거의 전적으로 관련 개별 재화가 실제로 넘쳐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물가인상, 즉 ‘높은 생활비’는 언제나 절대적 인플레이션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 낮은 물가는 언제나 절대적 디플레이션 때문이 아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을 뒷받침할 근거는 전혀 없다. 그런 생각은 우리의 오랜 친구인 화폐착각 때문에 생긴다. 말하자면 화폐착각이 시장의 화폐 측면을 보지 못하게 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either case, whether of inflation or deflation, the causes lie in human policies which, for the most part, certainly in peace time, could be modified so as to prevent inflation or deflation if leaders and people understood clearly the nature and function of money and the effects of inflation and deflation. --P53
인플레이션이든 디플레이션이든 그 원인은 인간의 정책에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지도자와 국민이 화폐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효과에 대해 명쾌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인간의 정책은 평화의 시기에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Just as the Money Illusion hides the distinction between money wages and real wages, so it hides a distinction between money interests and real interests. --P73
화폐착각은 화폐임금과 실질임금의 차이를 숨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화폐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를 숨겨버린다.
◆ <Money Mischief(화폐경제학, 1994)>
밀튼 프리드먼(1912~2006)은 미국 시카고경제학파의 대부로서 통화주의 경제학자였다. 미국에서 폴 새뮤얼슨 다음으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제자들 중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12명이나 배출되었다. 이로 인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려면 백인으로, 시카고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해야 한다는 말이 회자되기도 했다.
Whatever its proximate source, inflation is a disease, a dangerous and sometimes fatal disease, a disease that, if not checked in time, can destroy a society, as did in China. The hyperinflation in Russia and Germany after World WarⅠprepared the ground for communism in the one country and nazism in the other. --P192
그 직접적인 원인이 무엇이든 인플레이션은 하나의 질병이며, 그것도 위험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질병이며, 제때에 억제하지 못한다면 중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를 파괴시킬 수 있는 질병이다. 1차대전 후 러시아와 독일의 초인플레이션은 러시아에서 공산주의, 독일에서 나치즘이 등장할 토대를 만들었다.
Inflation is not a capitalist phenomenon. Yugoslavia, a community country, has experienced one of the most rapid rates of inflation of any country in Europe: Switzerland, a bastion of capitalism, one of the lowest. Neither is inflation a communist phenomenon. --P192
인플레이션은 자본주의 현상이 아니다. 공산주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에서 가장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하나를 경험했다. 자본주의의 보루인 스위스는 가장 낮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인플레이션은 공산주의의 현상도 아니다.
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 in the sense that it is and can be produced only by a more rapid increase in the quality of money than in output. The behavior of the quanity of money is the senior partner, the behavior of output the junior partner. --P204
인플레이션은 생산보다는 화폐 수량의 증가에 의해서만 나타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항상 그리고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 화폐의 움직임이 주요 변수이고, 생산량의 움직임은 보조 변수이다.
The cure for inflation is simple to state but hard to implement. Just as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money is the one and only important cause of inflation, so a reduction in the rate of monetary growth is the one and only cure for inflation. --P213
인플레이션에 대한 처방을 말하기는 간단하지만 실행하기는 어렵다. 화폐량의 과도한 증가가 인플레이션의 유일한 중요 원인이듯 화폐증가율의 감소가 인플레이션의 유일한 중요 처방이다.
One reason inflation is so destructive is because some people benefit greatly and others suffer; society is divided into winners and losers. The winners regard the good thing that happen to them as the natural result of their own foresight, prudence, and initiative. --P216
인플레이션이 대단한 파괴력을 발휘하는 하나의 이유는 일부는 큰 이익을 얻고 다른 사람은 손해를 본다는 것이다. 사회가 승자와 패자로 양분된다. 승자들은 자기에게 돌아오는 이익을 자신의 통찰, 신중, 창의성 덕분에 생긴 당연한 결과라고 간주한다.
◆ <The Deficit Myth(적자신화, 2020)>
미국 스토니브룩대학교 경제학 교수인 Stephanie Kelton(스테파니 켈튼, 1969~ ) 여사는 MMT(현대통화이론)의 선도적 전문가이다. MMT는 정부의 적자는 문제가 안 되며, 무한적 화폐발행으로 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며 재정정책을 금융정책의 우위에 둔다. 그러나 기존의 주류 정통경제학자들은 MMT이론을 비판한다.
Uncle Sam doesn't need to come up with dollars before he can spend. The rest of us do. Uncle Sam can't face mounting bills that he can't afford to pay. The rest of us can. Uncle Sam will never go broke. The rest of is could. --P40
연방정부는 돈을 쓰기 전에 달러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다른 부문은 아니다. 연방 정부에 갚지 못할 산더미 같은 빚이란 없다. 하지만 다른 부문은 아니다. 연방정부는 절대 파산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부문은 아니다.
Demand pull inflation occurs when businesses raise prices due to changes in buying habits. Most often, it happens when people are spending faster than the economy can churn out new goods and services. --P47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소비습관이 변해 기업이 가격을 올릴 때 발생한다. 이 현상은 대개 경제가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해내는 속도보다 사람들이 소비하는 속도가 더 빠를 때 나타난다.
The central bank could fight against the natural rate, but it would be fighting a losing and increasingly costly battle. Friedman's argument against the Keynesians was that workers would find themselves in a continual trap, with excessive growth in the money supply causing inflation to rise faster than paychecks. Workers would end up working more(i.e., the unemployment rate would fall) but for lower real pay. --P48
중앙은행은 자연실업률에 맞서 싸울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지는 싸움이자, 갈수록 더 큰 비용을 치러야 하는 싸움이었다. 케인스학파에 맞서 프리드먼은 통화공급량을 과도하게 늘리면 임금보다 물가가 더 빨리 오르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여 노동자들이 끊임없는 함정에 빠질 거라고 주장했다. 노동자들은 일을 더 많이 하면서도(이는 실업률의 하락을 의미한다) 전보다 줄어든 실질임금을 받게 될 것이다.
◆ <The Price of Tomorrow(미래의 가격, 2020)>
캐나다의 저술가, 기업인, 전략조언자인 Jeff Booth(제프 부스, 1969~ )는 20년간 기술분야의 최전선에서 활동해온 선구적 경영자이다. 그는 닷컴 붕괴와 2008년 금융위기, 수많은 기술파괴의 조류를 거치면서 20년 가까이 건설산업을 간소화하겠다는 목표에 따라 기술기업인 빌드다이렉트(BuildDirect)를 운영했다. 저자는 기술의 혁신으로 인플레이션은 종말을 고하고 디플레이션 시대가 온다고 이야기한다.
Technology is deflationary. That is not conjecture. It is the nature of technology. And because technology underpins more and more of the world around us, it means that we are entering into an age of deflation unlike any the world has ever seen. --P1
기술은 디플레이션적이다. 이는 단순한 추측이 아니다. 기술의 본질이다. 기술이 우리의 주변의 세상을 더욱 더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디플레이션의 세계로 들어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Our economic systems were not built for a world driven by technology where prices keep falling. They were built for a pre-technology era when labor and capital were inextricably linked, an era that counted on growth and inflation, an era where we made money from scarcity and inefficiency. That era is over. --P2
우리의 경제시스템은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는 기술에 의해 운영되는 세상에 맞추어 설계된 것이 아니다. 노동과 자본이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이전 시대에 맞추어 설계된 것이다. 그 시대는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의지하고 있었고, 결핍과 비효율성 덕분에 돈을 버는 시대였다. 그 시대는 이미 끝이 났다.
The only thing driving growth in the world today is easy credit, which is being created at a pace that is hard to comprehend. The rise of that credit and corresponding debt is keeping us locked into a system where we are the proverbial frogs in a pot with the heat of the water slowly rising and we do not notice. --P3
오늘날 이 세계에서 성장을 이끄는 유일한 것은 손쉬운 신용거래다. 신용거래는 이해하기 힘든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신용거래와 그에 따른 부채의 증가는 우리가 서서히 오르는 물의 열기로 가득한 냄비 안에 있는 속담 속의 개구리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상황과 같은 처지에 놓여있다.
Technological advances have been hugely beneficial, enhancing our ability to live our lives better. As we are seeing, though, most of our jobs today come from the same inefficiencies and waste that technology replaces over the long term. And all of it is undermining the very basis of our economies: growth and inflation. --P90
기술진보는 엄청나게 이로우며, 우리의 삶을 좋게 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우리가 보듯이 오늘날 대부분의 일자리는 비효율과 낭비로 도출되며, 기술이 이를 장기적으로 대체할 것이다. 그리고 모든 기술은 우리 경제의 기저인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약화시킬 것이다.
◆ <21st Century Monetary Policy(21세기 금융정책, 2022)>
미국에서 연방준비제도(Fed;중앙은행) 의장을 2006~2013년까지 역임한 Ben Bernanke(벤 버냉키, 1954~ )는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정면에서 대응했다. 본서는 연준과 함께 금융정책,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본서의 출간에 맞추어 진행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2년 내에 심각한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고 경고했다.
Indeed, many policymakers now see maintaining financial stability as de facto third element of the mandate because, without it, there is little hope of sustainably achieving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P367
실제로 많은 정책입안자들이 지금은 재정적 안정을 유지하지 않으면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을 지속적으로 달성할 희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재정적 안정성을 사실상 세 번째 요소로 보고 있다.
The future will doubtless reveal new threats. Cyberattacks on the financial system are one worrisome possibility. Rather than speculating about new risks, though, here I’ll compare two types of events that has been historically important and get lots of attention from the public and the media: stock-market bubbles and credit booms and busts. Both, if severe enough, pose risks to the broader economy. --P369
미래는 틀림없이 새로운 위협을 드러낼 것이다. 금융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하나의 우려스러운 가능성이다. 하지만 새로운 위험에 대해 추측하기보다는 역사적으로 중요하고 대중과 언론의 많은 관심을 받는 두 가지 유형의 사건인 주식시장 거품과 신용 호황과 불황을 비교하겠다. 둘 다 충분히 심각하다면 전반적인 경제에 위험을 초래한다.
Notwithstanding, the rise in inflation during the recovery from the pandemic, 21st century monetary policymakers have more often worried about too-low, rather than too-high, inflation. --P406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통화정책 입안자들은 팬데믹에서 회복하는 동안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종종 우려했다.
Keeping inflation well controlled is not only economically beneficial in itself—because it allows markets to function better and facilitates long-term planning, for example—but it is also critical for fostering consistently high levels of employment. --P418
인플레이션을 잘 통제하는 것은 자체로서 경제적으로 유익하다.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은 시장이 잘 기능하고 장기계획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고용을 촉진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The Fed leaders will need to engage even more closely with all Americans —to listen to their concerns, to explain the Fed’s policies, and show that apolitical, independent, and objective policymaking serves the long-run interest of the economy. --P420
연준 지도자들은 미국인들의 우려에 귀를 기울이고 연준의 정책을 설명하며, 정치적이고 독립적이며 객관적인 정책결정이 경제의 장기적 이익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모든 미국인과 더욱 긴밀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
◆ 조만간 인플레이션이 오는 것을 대비해야 한다
세계경제는 COVID19로 인한 양적완화로 통화량 증가와 공급을 초과하는 수요의 증가, 최근 우크라이나와 소련의 전쟁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제학자들의 견해이다.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인 물가상승으로 인해 임금노동자들의 실질구매력 하락으로 고통을 받게 되고 고용이 불안정하며, 증가된 통화량을 화수하기 위한 이자율의 상승으로 가계부채가 세계 1위인 한국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1970년 오일쇼크로 인한 인플레이션 시대와 비교하여 지금은 재생에너지 의존도가 16%로 높아져 세계경제의 원유의존도가 줄었다는 점이다. 전 세계의 에너지 사용량 중 원유 비중은 스태그플레이션이 극심했던 1970년대 말 50%에서 2020년 30% 수준까지 하락했다.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소득이 계속하여 높아질 수 있는 일자리를 찾는 것이 유리하며, 투자의 측면에서는 주식보다는 부동산이나 금처럼 실물자산의 투자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이 현명하다.
경제성장이 부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상쇄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의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중산층의 가처분소득 감소) 등은 서민과 중산층을 위협하여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한다. 그러한 어려운 상황에 대해 지혜를 모아 슬기롭게 대처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