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미국 독립혁명과 미국의 탄생-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7.18 00:15 의견 0

Unfortunately for Britain—and fortunately for America—the generation that emerged to lead the colonies into independence w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group of men in history—sensible, broad –mined, courageous, usually well educated, gifted in a variety of ways, mature, and long-sighted, sometimes lit by flashes of genius. It is rare indeed for a nation have at its summit a group so variously gifted as Washington and Benjamin Franklin, Thomas Jefferson, Alexander Hamilton, James Madison, and John Adams. --Paul Johnson,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P128

영국에는 불행하고—따라서 미국에는 운 좋게도—식민지를 독립으로 인도하려고 등장한 세대는 역사상 매우 뛰어난 사람들의 집단이었다. 사려 깊고 넓은 포용심, 용감하며 전반적으로 교양이 높았으며, 여러 가지 천부적으로 재능을 타고났고, 성숙하고 앞을 내다보는 안목이 있었으며, 때로는 천재적인 번득임까지 갖추었다. 워싱턴, 그리고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제퍼슨, 알렉산더 해밀턴, 제임스 매디슨, 존 애덤스 같은 다채로운 인재 집단을 정상부에 가진 나라는 드물었다. -폴 존슨 <미국인의 역사> 중에서

1776년 7월 4일 독립혁명선언서가 채택되기 전 미국 13개 주 식민지는 지역주의에 빠져 단합할 의사도 없었고, 자치를 유지하면서 대서양 건너 영국에 모든 것을 의존했다. 1770년 3월 5일 시민 5명이 사망한 보스턴 대학살 이후 독립혁명이 일어났다. 그 당시 혁명의 아버지들은 대부분 자치주 의회에서 활동하다가 1774년 제1차 대륙회의에서 12개 주 대표 56명이 모였다. 이들은 앞으로의 항로에 대해 다양한 사상을 배경으로 끊임없이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가장 영향을 미친 사상은 존 로크의 자유주의였다. 미국 헌법이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제정되었다는 것이 통설이었다. 그런데 1960년대에 베일린과 그의 제자 고든이 사익보다는 공익(Public good)을 우선하는 공화주의(Republicanism)가 미국 독립혁명과 연방헌법 제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The Founding Fathers)은 17세기 계몽주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선각자들로, 서로 다른 사상과 개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독립혁명이란 대의(大義)를 위해 상호간에 협력했다는 점이 미국 독립혁명의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

◆ 미국은 공화주의에 입각해 건립되었다

_<The Cre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1776~1787(미국 공화국의 창건 1776~1787, 1996)>

저명한 역사학자 버나드 베일린(Bernard Bailyn, 1922~2020) 교수의 제자로 미국혁명사에 독보적인 학자로 명성이 높은 브라운대학교 Gordon Wood(고든 우드, 1933~ ) 교수는 미국 헌법이 공화주의에 바탕을 두고 작성되었다고 주장했다. 1970년에 반크로프트상을 수상한 그의 저서 <미국 공화국의 창건>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학문적 업적은 미국 공화국을 창건하는 과정에서 공화주의가 미국화되어 미국적 공화주의로 변질하였음을 입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드는 미국 정치가 성공적이었던 것은 연방의 창설 과정에서 공화주의에 민주주의가 가미되었기 때문이라고 보며, 따라서 미국 공화주의는 민주적 공화주의였다고 밝힌다.

Republican values were not marginal; they spread everywhere in the culture of the Western world, not just among the English-speaking peoples but on the continent as well. For most educated elites in he eighteenth century, monarchism and republicanism often blended and blurred to the point where the two at times seemed virtually indistinguishable. --Pvii

공화당의 가치는 한계가 없다. 그는 서구문화의 모든 곳에 펴졌으며,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대륙에도 퍼졌다. 18세기에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엘리트들에게 군주제와 공화주의는 종종 혼합되고 흐릿해져서 두 가지가 거의 구별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In essence. republicanism was the ideology of the Enlightenment. In the eighteenth century, to be enlightened was to be interested in antiquity, and to be interested in antiquity was to be interested in republicanism. --Pviii

본질적으로 공화주의는 계몽주의의 이념이었다. 18세기에 계몽된다는 것은 고대에 대한 관심이었고, 고대에 대한 관심은 공화주의에 대한 관심이었다.

Republicanism meant more for Americans than simply the elimination of a king and the institution of an elective system. It added a moral dimension, a utopian depth, to the political separation from England —a depth that involved the very character of their society. “We are now really another people,” exclaimed Paine in 1782. --P47

공화주의는 미국인들에게 단순히 왕을 제거하고 선출직 제도를 설립하는 것 이상을 의미했다. 그것은 영국과의 정치적 분리에 도덕적 차원인 유토피아적 깊이를 더했으며, 그 깊이는 미국 사회의 특성을 포함했다. 토머스 페인은 1782년에 “우리는 이제 완전히 다른 사람이다”라고 주장했다.

To the radical Whigs, rooted in the Commonwealth period of the seventh century, the perfect government was always republican. Since a republic represented not so much the formal structure of a government as it did its spirit, pure Whigs could even describe the English mixed monarchy as ideally a republic. --P49

7세기 영연방 시대에 뿌리를 둔 급진적인 휘그당에게 완벽한 정부는 항상 공화정이었다. 공화국은 정부의 형식적 구조라기보다는 그 정신을 나타냈기 때문에 순수 휘그당은 영국의 혼합 군주제를 이상적인 정부로 묘사하기도 했다.

The sacrifice of individual interests to the greater good of the whole formed the essence of republicanism and comprehended for Americans the idealistic goal of their Revolution. --P53

전체의 더 큰 선을 위한 개인적 이익의 희생은 공화주의의 본질을 형성했고, 미국인들에게 그들의 혁명에 대한 이상주의적 목표로 이해되었다.

Individual liberty and the public good were easily reconcilable because the important liberty in the Whig ideology was public or political liberty. --P61

개인적 자유와 공익은 쉽게 양립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휘그당 이념에서 중요한 자유는 공적자유나 정치적 자유였기 때문이다.

Not surprisingly, then, most Americans set about the building of their new states in 1776 within the confines of this theory of mixed government, for independence and the abolition of monarchy had not altered the basic postulates of the science of politics. --P202

따라서 놀랍지 않게도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독립과 군주제의 폐지가 정치학의 기본 가정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혼합정부 이론의 범위 내에서 1776년에 새로운 국가 건설에 착수했다.

Americans were well aware of the prevailing maxim, made famous by Montesquieu—indeed it was basic to their though in 1778— that only a small homogeneous society whose interests were essentially similar could properly sustain a republican government. --P356

미국인들은 1778년에 몽테스키외가 유명하게 만들어 널리 퍼진 명언을 잘 알고 있었으며, 이는 1778년도에 미국인들의 기본적인 사고였다. 즉, 본질적으로 비슷한 이해관계를 가진 소규모 동질 사회만이 공화정 정부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To the Federalist the move for the new central government became the ultimate act of the entire Revolutionary era; it was both a progressive attempt to salvage the Revolution in the face of its imminent failure and a reactionary effort to restrain its excesses. --P475

연방주의자에게 새로운 중앙정부를 위한 움직임은 전체 혁명시대의 궁극적인 행위가 되었다. 그것은 혁명의 임박한 실패에 직면하여 혁명을 구출하려는 진보적인 시도이자 혁명의 과잉을 억제하려는 반동적 노력이었다.

The America dilemma was to make “such an arrangement of political power as ensures the existence and security of the government, even in the absence of political virtues.” without, however, at the same time destroying republicanism. The task was a formidable and original one: to establish a republican government even though the best social science of the day declared that the people were incapable of sustaining it. --P429

미국의 난제는 정치적 미덕의 부재에서조차도 동시에 공화주의의 파괴 없이 정부의 존재와 안전을 보장하는 정치력의 조정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 과제는 막중하고 독창적인 것이었다. 그 당시 최고의 사회과학이 인민이 공화주의 정부를 지탱할 수 없다고 선언했음에도 공화주의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 건국 아버지들의 활동은 미국 창건에 절대적이었다

_<American Creation(미국의 창건, 2007)>

미국 건국의 아버지인 조지 워싱턴, 토마스 제퍼슨, 존 아담스의 전기를 썼으며, 미국 건국의 역사에 조예가 깊은 역사학자 Joseph Eliis(조셉 엘리스, 1943~ ) 교수는 미국 건국에서 그들의 활약상을 소개하고 있다.

The American founding was a collective enterprise with multiple players who harbored fundamentally different beliefs about what the American Revolution meant. --P16

미국의 건국은 미국 혁명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신념을 품은 여러 참여자들이 합작한 작품이었다.

Washington’s supreme statement of civilian control, of course, would not occur until the end of the war, when he surrendered his sword to the president of congress and rode off into retirement as the American Cincinnatus. But his convictions on this score were present from the very start. It was typical of Washington: so simple, so essential, so unquestioned, yet so crucial. --P37

민간인 통제에 대한 워싱턴의 최고 선언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전쟁이 끝났을 때, 그는 칼을 하원의장에게 넘겨주고 로마의 정치가 신시내티처럼 미국인 신시내터스로 은퇴했다. 그러나 이 이유에 대한 그의 신념은 처음부터 존재했다. 그것은 워싱턴의 전형이었다. 너무 단순하고, 매우 필수적이며,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매우 중요했다.

The truth is that Washington and Adams were the last of the a classical breed, and Jefferson was the first president to point the way to modernity as the vowed—though he was extremely reluctant to admit it —leader of a political party. --P167

진실은 워싱턴과 아담스가 고전적인 종족의 마지막이었고, 제퍼슨은 정당의 지도자를 인정하기를 극도로 주저했지만 맹세한 것처럼 근대화의 길을 제시한 최초의 대통령이었다는 점이다.

Politically, the Louisiana Purchase ws the most consequential executive decision in America history, rivaled only by Harry Truman’s decision on drop the atomic bomb in 1945. --P208

정치적으로 제퍼슨의 프랑스에서 루이지애나 매입은 1945년 해리 트루먼이 원자폭탄을 투하하기로 한 결정에 견줄 만한 미국 역사상 가장 중대한 행정부 결정이었다.

◆ 혁명의 아버지들은 계몽주의의 자식들이었다

_<Revolutionaries(혁명가들, 2010)>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역사학자 Jack Rakove(잭 라코브, 1947~ ) 교수는 어떻게 워싱턴이 전략가가 되었고, 프랭클린은 선구적인 문화외교관이 되었으며, 매디슨은 세련된 헌법사상가, 그리고 해밀턴은 뛰어난 정책입안자가 되었는지, 혁명가인 다수의 건국의 아버지들의 활동을 밝히고 있다.

At the start, we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were at least two generations of 1776:an older cohort who led the colonies into independence(such as the Adames, Washington, Mason, Dickson) and another that came of age with it, “young men of the Revolution”(such as John Jay, Madison, and Alexander Hamilton, who, coincidentally, co-authored The Federalist essays of 1787-1788). --P16

처음에 우리는 1776년에 적어도 두 세대가 있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를 독립으로 이끈 나이든 집단(예: Adames, Washington, Mason, Dickson)과, 그와 함께 성장한 또 다른 사람들로 “혁명의 젊은이들”(John Jay, Madison 및 Alexander Hamilton과 같이 우연히 1787~1788년의 ‘The Federalist 에세이’를 공동 저술한 사람)이다.

Hamilton’s ideas too depended significantly on education and reading, sometimes in the works of authors, such as Hume, whom Jefferson despised. But they were tempered as well by lessons of experience that Jefferson was loath to absorb, least they disrupt the vision he had already formed. --P441

해밀턴의 아이디어도 교육과 독서에 크게 의존했으며, 때로는 제퍼슨이 경멸했던 흄과 같은 작가의 작품에 의존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제퍼슨이 흡수하기를 싫어했던 경험의 교훈을 단련했습니다. 적어도 그가 이미 형성한 비전을 방해하지는 않았다.

If Hamilton can be regarded as America’s Niccob Machiavelli, as one recent biographer had suggested, Jefferson might be called its Thomas More—a utopian without the religious faith that sent More to the stake. --P441

최근 한 전기작가가 제안한 것처럼 해밀턴을 미국의 니코브 마키아벨리로 간주할 수 있다면, 제퍼슨은 토머스 모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모어를 위험으로 내몬 종교적 신념이 없는 이상주의자 말이다.

◆ 미국 혁명은 자유주의와 공화주의가 혼합된 정치형태의 완성이었다

미국의 독립혁명은 영국 정치의 부패로 인한 막대한 세금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하여, 영국의 왕정을 벗어난 미국 독립을 위해 1787년 연방헌법이 제정됨으로써 미국이 탄생하게 되었다. 미국 독립선언문에서 나타나 있듯이 미국 헌법은 국가로부터 개인적인 천부인권의 수호를 규정하여 자유주의 사상을 천명했다. 그러나 사익보다는 공적인 덕과 공익을 앞세우는 공화주의 사상도 함유되어 있었다. 고든의 주장처럼 자유주의적 공화주의 사상이 포함된 것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17세기 계몽주의에 영향을 받은 영국의 서자가 아니라, 미국의 적자로서 일국의 재상이 될 수 있는 뛰어난 재질과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프랑스 혁명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 필적하는 인재가 없어 실패했고, 영국은 뛰어난 인물이 없어 거듭된 실정으로 미국 식민지를 잃었다. 이에 반해 미국 혁명이 성공한 이유는 뛰어난 건국의 아버지들이 대의를 위해 뭉쳤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한 나라의 성공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과 같이 이념과 가치에 대해 끊임없는 논쟁과 격론을 거쳐 합의를 도출하는 협치와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