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d crossed eighteen mountain ranges, five of which were perennially snow capped, and they crossed twenty-four rivers. They passed through twelve different provinces, occupied sixty-two cities and towns, and broke through enveloping armies of ten, different provincial warlords, besides defeating, eluding, or outmaneuvering the various forces of Central Government troops sent against them. They crossed six different aboriginal districts, and penetrated areas through which no Chinese army had gone for scores of years. -Edgar Snow, Red Star over China, P. 205
홍군은 18개의 산맥을 넘었고, 그 중에 5개 산맥은 만년설로 덮여 있었으며, 24개의 강을 건넜다. 그들이 통과한 성이 12개, 점령한 도시와 마을이 62개, 돌파한 지방군벌군의 포위망이 10개, 그밖에도 그들은 자신들을 토벌할 목적으로 파견된 중앙정부군의 각종 병력을 물리치거나 피하거나 따돌렸다. 그들은 여섯 개의 각기 다른 지역을 횡단했으며, 수십 년 동안 어떤 중국인의 군대도 통과한 적이 없었던 지역을 지나갔다. -에드거 스노, <중국의 붉은 별>
* <중국의 붉은 별(1937년 출간)>은 미국의 신문기자인 에드거 스노(1905~1972)가 1936년 서른한 살의 나이로 중국 산시성 북쪽에 있는 중국 공산당 소비에트지구를 방문해 서방의 신문 기자로서는 처음으로 마오쩌둥을 비롯한 중국혁명의 주요 인물들과 인터뷰해서 중국 공산당을 처음으로 서방에 알렸다, 초기 중국 공산당 활동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나, 동시에 과장되고 오류가 많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The Chinese Communist Party(중국 공산당, CCP)은 1921년 7월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지에서 13명의 대표로 출범하여 100주년을 맞은 2021년에 9,000만 명이 넘는 당원, 200만 명의 당군(군인), 중국 사회를 완전히 지배하는 각종 기구들 지닌 유일한 집권당으로 성장했다. 그간 여러 지도자가 있었지만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으로 이어지는 절대권력자가 ‘역사결의(Historical Resolution)’를 통해 장기 집권해 왔다. 신중국 성립 100주년인 2049년에 시진핑이 추구하는 ‘중국몽(中國夢, China Dream)’을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 <From Rebel to Ruler; One Hundred Years of Chinese Communist Party(반란에서 지배자로; 중국 공산당 100년, 2021)>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의 국제분야(중국분야) 전문가인 Anthony Saich(앤서니 사이치, 1953~ ) 교수의 저서이다. 저자는 중국 공산당이 반란에서 시작하여 지배자로 군림하는 과정과 중국 공산당 100년을 추적한다. 1930년대 일본의 잔혹한 침략이 역설적으로 중국 공산당의 성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된 사실과 함께 경직된 레닌체제를 벗어나 중국 특유의 유연성과 인내성을 가진 당으로 변모하는 과정도 살핀다.
Certainly the use that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has made of neo-Confucianism as eith his predecessor, Hu Jintao, stresses harmony and order within society so that everyone knows their places. xi’s Confucian revival serves clear contemporary political purposes by drawing a line that links the CCP to China’s 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and reinforces the need for strong hierarchical structures and a bureaucracy staffed by those who are sufficiently enlightened, albeit now with the addition of an understanding of Marxism. --P 30
확실히 시진핑(習近平) 총서기는 그의 전임자 후진타오(胡錦濤)처럼 신유교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이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사회 내의 조화와 질서를 강조한다. 시진핑의 유교 부흥은 중국 공산당을 중국의 전통적인 정치문화와 연결하는 것과, 비록 지금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이해가 추가되었지만 충분히 계몽된 사람들로 구성된 강력한 위계구조와 관료제의 필요성을 강화하는 것에 선을 그어서 현대의 명확한 정치적 목적에 부합한다.
One reason for the official praise of the Long March is that historians regard it as a key step in Mao Zedong’s rise to power within the CCP. During some of the forty-four rest days, an important meeting was held at Zunyi in January 1935 that facilitated Mao’s ascent. The second important political event during the LOng March was the increasing tension between Mao Zedong and his troops, on the one side, and those under the command of Zhang Guotao, who had fled the Hubei-Anhui soviet, on the other. --P 94
장정(長征)을 공식적으로 칭찬하는 한 가지 이유는 역사가들이 그것을 중국공산당 내에서 마오쩌둥이 집권하는 핵심단계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44일의 휴식기간 중인 1935년 1월에 쭌이(遵義)시에서 중요한 회의가 열렸고, 이를 통해 마오쩌둥의 승격이 이루어졌다. 장정 동안 두 번째로 중요한 정치적 사건은 한편으로는 마오쩌둥과 그의 군대, 다른 한편으로는 후베이((湖北)-안후이(安徽) 소비에트로 도망친 장궈타오(張國燾) 휘하의 군대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는 것이다.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and the war after 1937 were crucial to the survival of the CCP and ultimate victory, but not because a wave of peasant nationalism swept the party to power. The impact of peasant nationalism was considerable but more diffuse than a mono-causal explanation might suggest. --P 160
1937년 이후에 일본의 중국 침공과 전쟁은 중국 공산당의 생존과 궁극적인 승리에 결정적이었지만, 농민민족주의의 물결이 당을 권력을 잡도록 휩쓸었기 때문만이 아니다. 농민민족주의의 영향은 상당했으며, 단일한 인과관계의 설명이 시사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했다.
What the Cultural Revolution did deliver was a shattered social fabric, with students turning on their teachers and fellow classmates, children encouraged to denounce their parents, workmates fighting one another, leading to ridicule and disrespect of authority in all forms with exception of the holy writ of Mao. --P 233
문화혁명이 가져온 것은 부서진 사회구조였다. 학생들은 교사와 동료에게 등을 돌렸고, 아이들은 부모를 비난하도록 부추겼고, 직장동료는 서로 싸우고, 마오의 경전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권위에 대한 조롱과 경시로 이어졌다.
Xi Jinping has proceeded to concentrate power not only at the center but also around his own person in a way that has not been seen since Deng Xiaoping and perhaps even since Mao Zedong. The challenge to maintain stable economic growth and cement China‘s position within the global and regional communities were daunting. Domestically, China had to avoid the “middle-income trap.” --P 391
시진핑은 덩샤오핑 이후, 어쩌면 마오쩌둥 이후로도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중앙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변에도 권력을 집중해 왔다.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고 세계 및 지역사회 내에서 중국의 위치를 확고히 하려는 도전은 벅찼다. 국내적으로 중국은 '중진국의 함정'을 피해야 했다.
The leadership would stress the dangers of social chaos to keep the middle class supportive and a stronger nationalism to cement patriotic cohesion.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neighbors such as Japan and Taiwan would remain contentious, and they would be exploited to cement patriotic support. This scenario is not encouraging, but it is a quite likely future for China if the CCP fails. --P 466
리더십은 중산층의 지지를 유지하려는 사회적 혼란의 위험과 애국적 결속을 공고히 하려는 강한 민족주의를 강조한다. 미국과 일본, 대만과 같은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애국적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악용될 것이다. 이 시나리오는 고무적이지 않지만 중국 공산당이 실패할 경우 중국의 미래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China's Leaders; From Mao to Now(중국의 지도자들; 마오에서 시진핑까지, 2021)>
미국의 저명한 중국전문가인 조지워싱턴대학교 Davids Shanbaugh(데이비드 삼보, 1953~ ) 교수의 저서이다. <중국의 미래(2016)> 등의 저서가 있다. 이 책은 중국의 지도자인 마오,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Thus, it is not to simple as to describe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as Leninist, however, because there has been a repetitive pattern of oscillation back and forth between periods of relative relaxation and followed by periods of tightening and repression. Beginning three years before Xi Jinping came to power in 2012, the CCP entered its longest stretch of repression and tightened control since the aftermath of the 1989 Tiananmen massacre. --P 24
따라서 중국의 정치체제를 레닌주의자로 묘사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상대적로 완화된 시기를 이어서 긴축과 억압의 시기가 교차하는 반복적인 패턴이 있기 때문이다. 2012년 시진핑이 집권하기 3년 전부터 중국공산당은 1989년 천안문 학살 이후 가장 긴 탄압과 통제에 접어들었다.
Suffice it note here, though, that Mao’s greatest accomplishment was to unify the nation —but his greatest failure was to tear it apart. --P 92
여기서 마오쩌둥의 가장 큰 업적은 국가를 통일한 것이지만, 그의 가장 큰 실패는 국가를 와해시킨 것이라고 적는 것으로 충분하다.
It was Deng who really established China on the path to modernization. While that effort is still a work in progress. Deng deserves the credit for turning the country around after the multiple trauma of the Maoist era, and setting it on the road to becoming a great power. To be certain, the Tiananmen massacre is a stain that will forever tarnish Deng’s legacy, but his accomplishment were many and profound. --P 157
중국을 근대화의 길에 세운 것은 덩샤오핑이었다. 그 노력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시대의 여러 트라우마를 겪은 국가를 전환시켜 강대국으로 가는 길을 마련해 준 공로를 인정받아야 한다. 분명히 천안문 학살은 덩샤오핑의 유산을 영원히 더럽힐 오점이지만 그의 업적은 많고 심오했다.
Chinese often say, “Under Mao the Chinese people stoop up(站起來), under Deng Xiaping the Chinese people became rich(富起來), under Xi Jinping the Chinese people have become strong(强起來). --P 258
중국 사람들은 종종 말한다. 마오쩌둥(毛澤東)이 중국을 일어서게(站起來) 했고, 개혁과 개방의 설계사인 덩샤오핑(鄧小平)이 중국을 부유하게(富起來) 했다면,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중국을 강하게(强起來) 만들었다.
He rules and behaves very much in ways reminiscent of China’s traditional emperors: all-powerful, regal. respected, feared, sycophantically revered, in command of all organs of state power and military forces, the setter of ideological doctrine and interpreter of the past, the visionary of the future, moral exemplar, intolerant of insubordination or dissent, and a ruthless dictator. --P 336
시진핑은 중국의 전통적인 황제를 연상시키는 방식과 유사하게 통치하고 행동한다. 전능하고, 존엄하고, 존경하고, 두려워하고, 아부적으로 숭배하며, 국가권력과 군대의 모든 기관을 지휘하고, 이념적 교리의 수립자이자 과거의 해석가이고, 미래의 선구자, 도덕적 모범자, 불복종이나 반대의견을 용납하지 않는 무자비한 독재자이다.
◆ <How China Loses(어떻게 중국은 상실하는가, 2021)>
캐나다 출신의 덴마크 국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인 Luke Patey(루크 패티, 1954~ )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BRI)’에 대한 영향력과 동아프리카, 남미, 동아시아, 서구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의 진행상황을 상세히 소개하며, 국제사회에서 중국과 주변국가 간의 문제점과 중국의 내부문제(인권문제, 대만, 홍콩, 신장, 티벳 등)도 다루고 있다.
Unlike the incoming American president, Xi wanted to show the over 3,000 influential delegates in attendance at Davos that he was a rational and responsible statesman, and that China was ready to seize the mantle of Globalization and free trade. --P 2
차기 미국 대통령과 달리 시진핑은 다보스에 참석한 3,000명 이상의 영향력 있는 대표에게 자신이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치가이며, 중국이 세계화와 자유무역을 책임질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싶어 했다.
China’s ambitious Belt and Road Initiative, a trillion-dollar grand strategy to connect East Asia to Europe through new ports, railways, digital communications, and finan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operation, has potential to reshape entire regions. --P 6
중국의 야심찬 일대일로 구상(BRI)은 새로운 항구, 철도, 디지털 통신과 금융, 정치, 문화적 협력을 통해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려는 1조 달러 규모의 대규모 전략으로 전체 지역을 재편할 가능성이 있다.
By the centennial of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2049, Xi predicted that China will achieve “the Chinese Dream,”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and become “a global leader in terms of composite national strength and international influence.” --P 9
20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0주년이 되면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중국의 위대한 부흥’인 ‘중화몽’을 달성하고 ‘종합적인 국력과 국제적 영향력’의 관점에서 ‘세계적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The global pushback against China’s assertiveness is a consequence of both Beijing’s strategic missteps and overreach. China’s leaders are ill prepared to accept economic and political compromise with wider world, often viewing it through their own domestic authoritarian lens. They repel rather than attract potential partners to help fulfill strategic goals. --P 15
중국의 주장에 대한 전 세계적인 반발은 중국의 전략적 실수와 지나친 접근의 결과이다. 중국 지도자들은 더 넓은 세계와 경제적, 정치적 타협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종종 자국의 권위주의적 렌즈를 통해 세계를 조망한다. 그들은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와줄 잠재적인 동반자를 끌어들이기보다는 거부한다.
For too long the world has relied on a particular version of the future in its relations with China –a future when China is a liberal market, and a future when China is a democracy. But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ve demonstrated that outsiders are not in control of China’s future. China’s leaders have shown their character. But the rest of the world has the power to push back, bring together big and small, and work with China to abandon its harsher disposition and build a peaceful and prosperous future. --P 270
너무 오랫동안 세계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미래의 특정한 형태에 의존해 왔다. 중국이 미래에 자유시장이 되고 민주주의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21세기의 처음 20년은 외부인이 중국의 미래를 통제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중국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나머지 세계는 뒤로 물러나고, 크건 작건 합치고, 중국과 협력하여 더 가혹한 성향을 버리고 평화롭고 번영하는 미래를 건설할 힘이 있다.
◆ <The World According to Xi;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New China(시진핑에 의한 세상; 새로운 중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2018)>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의 Kerry Brown(케리 브라운, 1967~ ) 중국학 교수는 주중대사관에 근무도 한 중국전문가로, <CEO, 시진핑(2016)> 등 여러 권의 저서를 출판했다. 저자는 시진핑의 인물과 사상 그리고 추구하는 세계의 청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In many ways, the China of today is the creation of Mao and Deng: Mao, who through brute use of violence and force gained power for the communists; and Deng, who reshaped the country and Party’s strategy so that China became sustainable. These two leaders laid the tracks along which the country now travels. --P 4
여러 의미에서 오늘날 중국은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작품이다. 무자비한 폭력과 강압으로 공산당에 권력을 쥐어준 마오쩌둥과, 국가와 당 전략을 재수립하여 중국이 지속 가능할 수 있게 한 덩샤오핑. 두 지도자는 오늘날 중국이 걸어가는 길을 마련했다.
Xi’s role as a Party man gives meaning to his main actions since coming to power in 2012. Unlike his predecessor, his leadership has been political, rather than administrative or economic. --P 41
당원으로서 시진핑의 역할은 2012년 권력을 잡은 이후 그의 주요 행적에 의미를 부여한다. 전임자와 달리 그의 지도력은 행정이나 경제가 아닌 정치적이다.
This group, estimated to range from around half a billion up to three-quarters of a billion people, was Xi’s core audience, the one that he and his government had to speak to, appeal to the aspiration of and remain relevant to. The party needed to dream their dream with them, and for them. It could not lose this group. It if did, it would lose everything. --P 49
약 5억에서 7억5,0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이 중산층은 시진핑의 핵심 지지층으로서, 시진핑과 정부는 그들과 소통하며 열망에 호소하고 관계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 당은 그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을 위해 꿈을 꾸어야만 한다. 이 핵심 지지층을 잃을 수는 없다. 만약 잃는다면 이는 전부를 잃는 것이다.
The more explicit thing Xi Jinping Thought says about China’s international vision is that it desires to be a great power. It was telling that during the 2017 Congres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BRI) was written into the Party Constitution at the same time as Xi Thought. --P 76
시진핑 사상이 중국의 국제적 야망에 대해 명확히 하는 것은 강대국이 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는 2017년 당 대회에서 일대일로 구상(BRI)이 시진핑 사상과 더불어 당헌에 삽입된 것이 말해주고 있다.
Despite the tensions with North Korea, and in the South and East China Seas, the parlous state of the US and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 means that China is too important a country to fail. We are all stakeholders in Xi’s leadership, and in its success. The collapse of China used to be, in the era of Mao, a real likelihood. Today it would bring about Armageddon.--P 133
북한과의 긴장, 그리고 남동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분쟁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의 위태로운 상황은 중국이 실패하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나라가 되었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시진핑의 지도력과 그의 성공에 대해 모두 이해당사자이다. 마오쩌둥 시대 중국은 붕괴할 가능성이 높았다. 오늘날 중국의 붕괴는 아마게돈(엄청난 재앙)을 초래한다.
◆ <The Third Revolution: Xi Jinping and The New China State(제3차 혁명: 시진핑과 새로운 중국, 2018)>
미국의 중국정책 전문가로 스탠포드대학교 후버연구소 선임연구원인 Elizabeth C. Economy(엘리자베스 C. 에코노미, 1962~ )는 중국 공산당을 창립한 마오쩌둥의 제1혁명, 중국을 개혁하고 개방한 덩샤오핑의 제2혁명, 세계적 리더로 서려고 ‘일로일대(BRI)’를 추구하는 시진핑을 제3혁명이라 한다. 시진핑이 세계적 패권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중국과 다른 국가 간의 자본, 정보, 재화의 자유로운 유입을 제한한다. 시진핑의 추구하는 새로운 중국을 조명하고 있다.
At the same time, he has worked to prevent the influx of foreign ideas and influences in education and the media, as well as to limit the influence of foreign NGOs through a new registration system. --P 53
동시에 시진핑은 외국의 사상과 영향력이 교육과 언론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새로운 등록제도를 통해 외국 NGO의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
Beijing's willingness to accept suboptimal technological outcomes in order for Chinese firms to capture the market -as in the case of battery technologies- leads to significant waste of resources and inefficiencies. --P150
배터리 기술의 경우와 같이 중국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차선의 기술 결과를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중국의 의지는 상당한 자원낭비와 비효율을 초래한다.
In each of these areas, however, the very presence of the state and state priorities often undermine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its soft power standing. --P 219
그러나 이러한 각 영역에서 국가와 국가의 우선순위의 존재는 종종 정부의 소프트 파워 지위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약화시킨다.
Finally, the “engage but hedge” approach, which has in one form or another been the dominant U.S. policy toward China since relations were established in 1979, has the virtue of orienting the relationship on a positive trajectory while nonetheless protecting U.S. interests in case China’s intentions are malign. --P 235
마지막으로, 1979년 수교 이래로 미국이 어떤 형태로든 중국에 대한 지배적인 정책이었던 ‘관여하나 위험 분산’의 접근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계를 지향하면서 중국의 의도가 악의적인 경우에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는 장점을 가졌다.
Moreover, China cannot be a leader in a globalized world while at the same time closing its borders to idea, capital, and influences from the outside world. The United States, in partnership with its allies and other partners, must continue to seek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but at the same time be prepared to counter and confront China when Xi's Third Revolution spills over into the rest of the world, undermining the principles underpinning global security and prosperity it purports to uphold. --P 250
더욱이 중국은 세계화된 세계의 리더가 될 수 없으며, 동시에 아이디어, 자본 및 외부 세계의 영향에 대해 국경을 폐쇄할 수 없다. 미국은 동맹국과 기타 동반국가와 공동으로 협력의 기회를 계속 모색해야 하지만, 동시에 시진핑의 3차 혁명이 세계 나머지 지역으로 확산되어 미국이 유지하려는 세계적 안전과 번영을 훼손할 때에 중국에 대항하고 싸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중국이 세계적 패권국가가 되기는 어렵다
중국의 노벨문학상 후보자인 옌롄커(閻連科, 1958~ )는 2018년에 언론과 인터뷰에서 “Living in China is confusing now, Because it can feel like being i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same time(중국에서 산다는 것이 지금은 혼란스럽다. 북한에서 사는 것과 미국에서 사는 것을 동시에 느끼기 때문이다)”이라고 말했다. 중국 국민은 선거를 경험하지 못한 채 감시와 통제가 일상화된 일당독재의 전체주의 국가에 살고 있다.
중국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 공산당이 있을 뿐이다. 중국인들은 어려서부터 중국 공산당의 정신교육을 받고 CCTV등 최첨단 장비에 의한 감시와 통제를 받는 전체주의국가 체제에 살고 있다. 일반 중국인이 중국 국가와 중국 공산당을 구분하고 깨우쳐서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인 정치적 자유,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존중, 인간의 존엄을 중국에서 구현시켜야 한다.
중국이 전통적으로 중시해 온 인간을 가장 공경하는 중국적 가치인 유교 전통이 부활되지 않고는 세계적인 대국이나 세계적인 패권국이 될 수 없다고 생각된다. 경제적 부흥만을 추구하는 국가자본주의(State Capitalism)와 강권통치로는 절대적으로 인류의 환영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 없이 시진핑의 ‘일대일로’와 ‘중국몽’은 이루어질 수 없는 꿈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