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easy to feel powerless in the face of a problem as big as climate change. But you’re not powerless. And you don’t have to be a politician or a philanthropist to make a difference. You have influence as a citizen, a consumer,and an employee or employer. --Bill Gates,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 P 218
기후변화와 같이 거대한 문제에 직면하면 개인은 쉽게 무력감을 느낀다. 그러나 당신은 무력하지 않다. 당신은 차이를 만드는 정치인이나 자선사업가가 아니어도 된다. 당신은 시민으로써, 소비자로써, 그리고 고용주 또는 직장인으로써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방법>
UN 산하의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 2018년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에 의하면 지구온난화를 1.5℃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30년에는 2010년 대비 탄소배출을 45% 감축해야 하며, 2050년경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 환경주의자들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온 세상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나무와 숯을 주된 연료로 쓰는 가난한 나라들에게 신재생에너지를 강요하고 화력, 수력발전을 못하게 막고 있다. 개인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한다. 이러한 환경주의자들의 주장이 과연 올바른 정책인가.
◆ <The Politics of Climate Change(기후변화의 정치학, 2011)>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이자 사회이론과 계층론 분야의 권위자인 Anthony Giddens(앤서니 기든스, 1938~ )는 기후변화가 과학적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문제라고 주장한다. 1998년 그가 제시한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에게 영향을 미쳐 좌파의 중도화를 이끌었다. 2004년 영국 노동당 소속의 1대 종신 상원의원이 되었다. 주요 저서로 <사회학>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등이 있다.
More of the same will be needed, not less, if we are seriously be confront problems of climate change. Partly for this reason, I reject one of the core ideas of the green movement-the precautionary principle: ‘Don’t interfere with nature.‘ --P 6
우리가 진정으로 기후변화의 문제에 대응하고자 한다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에서 나는 녹색혁명의 핵심 주장 가운데 하나인 사전예방 원칙, 즉 ‘자연에 관여하지 말라’를 거부한다.
We value nature, because it is larger than ourselves and because it sets our own lives in a much more encompassing context. --P 52
우리는 자연을 높이 평가한다. 자연은 우리 자신보다 훨씬 더 큰 존재이고 우리의 삶을 보다 포괄적인 맥락에서 설정하기 때문이다.
We must also disavow any remaining forms of mystical reverence for nature, including the more limited versions which shift the center of values away form human beings to the earth itself —tackling global warning has nothing to do with saving the earth, which will survive whatever we do. --P 55
우리는 가치의 중심을 인간으로부터 지구 차제로 이전하는 보다 제한적 관점을 포함하여 자연에 대한 신비한 경외감과 같은 잔존하는 형태를 거부해야 한다. 기후온난화를 다루는 일은 지구를 구하는 일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지구는 우리가 어떻게 하든 상관없이 계속 살아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It might seem that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ill intrinsically contribute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Yet the processes and interests promoting division are strong. The melting of the Arctic ice provides a good example. --P 203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국제협력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분열을 조장하는 과정과 이해관계는 강력하다. 북극권의 해빙이 좋은 사례이다.
If ever a problem called for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every country in the world on board, climate change is it. As with the internal policies of states, the ‘how’ matters more than the ‘what’. --P 231
전 세계 모든 국가가 다 참여해야만 하는 다자간 협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다면 기후변화가 바로 그것이다. 각국의 국내 정책에서는 ‘어떻게’가 ‘무엇을’보다 더 중요하다.
◆ <The New Climate War; the fight to take back our planet(새로운 환경전쟁; 지구를 되돌리려는 싸움, 2021)>
펜실베이나아 주립대학교 Michael Mann(마이클 만, 1943~ ) 대기과학 교수는 지구를 회복시키려는 새로운 기후싸움에 대해 말한다. 세계 탄소배출량의 71%를 배출하는 100개의 화석연료회사의 책임 회피와 개인들에 대한 책임전가 캠페인, 연료사업에 대한 2015년 5조 달러의 보조금 지급의 부당성, 탈탄소화 경제의 필요성, 자원재활용, 적게 먹고 적게 비행(飛行)하는 개인의 활동 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The fossil fuel industry loves subsidies and incentives. When they receive th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industry receives about half a trillion dollars globally in explicit subsidies, such as in the form of assiatance to the poor for the purchase of fossil-fuel-generated electricity, tax breaks for capital investment, and public financing of fossil fuel infrastructure. --P 123
화석연료산업은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좋아한다. 이들 산업이 보조금 등을 받을 때 말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이 업계는 화석연료 생성 전력 구매를 위한 빈곤층 지원, 자본 투자에 대한 세금 감면 및 화석연료 기반시설에 대한 조달과 같은 명시적 보조금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5,000억 달러를 받고 있다.
The energy-poverty conceit rests on the flawed premise that lack of access to energy(rather than to, say, food, water, health care, and so on) poses the primary threat to people in the developing world, and, moreover, that fossil fuels are the only visible way to provide that energy. --P132
에너지 빈곤에 대한 효과는 에너지에 대한 접근의 부족(음식, 물, 의료 등보다는)이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에게 일차적인 위협이 되며, 더 나아가 화석연료는 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가시적 방법이라는 흠결된 전제에 기반을 둔다.
We often hear that climate change is a “threat multiplier” when it comes to conflict,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for it heightend the competition that already exists over critical resouces - food, water, space. But that framing applies equally to other domains, including human health. --P 180
우리는 기후변화가 분쟁, 국가안보 및 국방과 관련하여 ‘위협 승수’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왜냐하면 기후변화는 식량, 물, 우주와 같은 중요한 자원에 대해 이미 존재하는 경쟁을 고조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틀은 인간의 건강을 포함한 다른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coronavirus crisis, in fact,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The need for an organized and effective response to a crisis, after all, is one of the fundamental reasons we have governments in the first place. Crises, whether in the near term like COVID-19 or in the long term like climate change, remind us that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protect the welfare of its citizens by providing aid, organizing an appropriate crisis response, alleviating economic disruption, and maintaining a functioning social safety net. --P 247
사실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는 정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위기에 대한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의 필요성은 결국에 우리가 맨 먼저 정부를 갖게 된 근본적인 이유의 하나이다. COVID19와 같은 단기적이든, 기후변화와 같이 장기적이든 위기는 정부가 원조를 제공하고 적절한 위기대응을 조직하며, 경제적 혼란을 완화하고, 살아있는 사회안전망을 유지하여 국민의 복지를 보호할 의무를 가졌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It is all of the things we have talked about—behavioral change, incentivized by appropriate government policy, intergovenmental agreement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that will lead us forward on climate. --P 267
적절한 정부정책, 정부 간 협정, 기술혁신에 의해 장려되는 행동변화가 기후변화에 대해 우리를 선도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전부이다.
◆ <Apocalypse Never; why environmental alarmism hurts us all(대재앙은 없다; 환경경고주의가 우리 모두를 다치게 하는가, 2020)>
Michael Shellenberger(미첼 셀렌버거, 1971~ )는 미국 출신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환경문제에 대한 여러 편의 글과 저서를 출간했다. 저자는 환경보호주의자와 환경보호운동이 잘못된 점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1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거북이와 코끼리 생명을 살리는 것과, 태양광과 풍력발전이 얼마나 저효율이고 자원낭비인 동시에 동물의 생태를 위협하는 환경공해인지를 밝히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환경보호에 대한 상식이 잘못되었다고 뒤흔드는 내용이 많다.
Much of what people are being told about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climate, is wrong, and we desperately need to get it right. I decided to write Apocalypse never after getting fed up with the exaggeration, alarmism, and extremism that are the enemy of a positive, humanistic, and rational environmentalism. --P xiii
기후를 포함하여 환경에 대해 사람들이 말하는 대부분은 잘못되었으며,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절실하다. 긍정적이고, 휴머니즘적이며, 이성적인 환경주의의 적(敵)인 과장되고 경고를 남발하고 극단주의에 질려서 나는 이 책을 쓰기로 결정했다.
Human today produce enough food for ten billion people, a 25 percent surplus, and experts believe we will produce even more despite climate change. --P 6
오늘날 인류는 현재 인구수보다 25퍼센트 많은 100억 명을 부양하기에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식량생산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믿고 있다.
Combs were one of the first and most popular uses for celluloid. For thousands of years, humans had made combs of tortoiseshell, ivory, bone, rubber, iron, tin, silver, lead, reed, wood, glass, and porcelain. Celluloid replaced most of them. By the late 1970s, ivory was no longer used for piano keys. --P 55
빗은 셀룰로이드를 가장 먼저 가장 널리 사용한 제품의 하나이다. 수천 년간 인류는 빗을 거북껍질, 상아, 뼈, 고무, 철, 양철, 금, 은, 납, 갈대, 나무, 유리, 도자기로 만들었다. 셀룰로이드는 이들 대부분을 대체했다. 1970년대 말에 상아는 더 이상 피아노 건반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Solar panels and wind turbines also require far more in the way of materials and produce more in the way of waste. Solar panels require sixteen times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cement, glass, concrete, and steel than do nuclear plants, and create three hundred times more waste. --P 189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은 물질 면에서 더 많은 자원을 요구하고 낭비 면에서 더 많은 자원을 생산한다. 태양광은 시멘트, 유리, 콘크리트, 강철 등의 자원을 원자력보다 16배나 많이 소비하고 300배나 많은 폐기물을 만들어낸다.
It is possible that sea ice’s decline is making the polar bear population smaller than would otherwise be. But even if it were, other factors may be having a large impact. Hunting, for one, killed 53,500 polar bears between 1963 and 2016, an amount twice as large as today’s estimated total population of 26,000. --P 253
북극의 얼음 면적의 감소는 다른 것보다 북극곰의 개체 수를 줄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럴 수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냥이 그렇다. 사냥은 1963년부터 2016년까지 북극곰 53,500마리를 죽였다. 오늘날 남아 있는 북극곰은 26,000마리로 추산되는데, 그 2배에 해당된다.
One pioneering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Germany, where nuclear and bydroelectric dams produce seventy-five and thirty-five times more in energy, espectively, than is required to make them, solar, wind, and biomass produce just 1.6, 3.9, and 3.5 times more. Coal, gas, and oil return about thirty times more energy than they require. --P 191
한 선구적 연구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와 수력발전댐은 각각 건설할 때 투입한 에너지의 75배, 35배를 생산해낸다. 하지만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는 각각 건설할 때 투입한 에너지의 1.6배, 39배, 3.5배만을 생산할 뿐이다. 반면 석탄, 가스, 석유 같은 화석연료는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약 30배를 되돌려준다.
◆ <The Uninhabitable Earth(거주할 수 없는 지구, 2019)>
미국의 칼럼니스트이자 씽크탱크 뉴아메리칸의 연구원인 David Wallace-Wells(데이비드 월러스 웰즈, 1983~ )는 ‘거주할 수 없는 지구’를 2017년 <뉴욕매거진> 7월호에 게재하여 세계적인 반향을 불렀다. 이후에 책으로 출간했다. 21세기 인류사회를 뒤흔들 12가지 기후재난의 실제와 미래를 설명한다.
The U.N. projections are bleaker: 200 million climate refugees by 2050. Two hundred million was the entire world population at the the peak of the Roman Empire, --P 7
유엔의 전망은 암울하다. 2050년에 기후난민이 2억 명에 달한다는 것이다. 로마제국이 전성기를 누릴 때 전 세계인구가 2억 명이었다.
This is what is meant when climate change is called an “existential crisis” - a drama we are now haphazardly improvising between two hellish poles, in which our best-case outcome is death and suffering at the scale of twenty-five Holocausts, and the worst-case outcome puts us on the brink of extinction. --P 29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기후변화가 ‘존재론적 위기’라고 불릴 때이다. 지금은 우연히 두 개의 지옥같은 극단 사이에 만들어진 드라마로 가장 좋은 결과가 홀로코스트 25배 규모의 죽음과 고통이고, 최악의 결과가 인류 멸종 직전까지 나아간다.
After a certain point, though, water won't help, your core temperature rising as your body sends blood outward to the skin, hoping desperately to cool it down. The skin often reddens; internal organs begin to fail. Eventually you could stop sweating. The brain, too, stops working properly. --P 48
특정 시점이 지나면 물도 도움이 안 된다. 몸의 핵심 온도가 오르며 육체는 피를 피부로 밀쳐 내며 필사적으로 몸의 온도가 내려가기를 바란다. 피부는 붉어지며 내장이 망가지기 시작한다. 결국에 땀을 배출할 수 없게 된다. 뇌 역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Recently, researchers estimated that by 2050 as many as 150 million people in the developing world will be at risk of protein deficiency as the result of nutrient collapse, since so many of the world’s poor depend on corps, rather than animal meat, for protein. --P 57
최근에 연구가들은 2050년에 개발도상국에서 1억5,000만 명이 영양 붕괴로 단백질 부족에 처할 위험이 있다고 추정한다. 세계 빈곤층 대다수가 고기 대신 농작물을 통해 단백질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Scientists warn that, even as California is baked into brush by a drier future, making inevitable more and more damaging fires, the probability of unprecedented -seeming rainfalls will grow, too — as much as a threefold increase of events like that which produced the state’s Great Flood of 1862. --P 75
과학자들은 캘리포니아가 건조한 미래에 불타는 덤불로 되고 더 많은 화재를 피할 수 없겠지만 1862년 캘리포니아 대홍수를 만든 재해가 3배나 증가하는 것만큼 전례가 없어 보이는 폭우의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But that is another meaning of the climate kaleidoscope. You can choose your metaphor. You can’t choose the planet, which is the only one any of us will ever call home. --P 228
그러나 이는 기후변화의 변화무쌍한 풍경의 다른 의미이다. 당신의 은유를 선택할 수 있다. 우리 중 누구나 집이라 부를 수 있는 유일한 것인 행성은 선택할 수 없다.
◆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지구재앙을 피하는 방법, 2021)>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인 Bill Gates(빌 게이츠, 1954~ )가 은퇴 후에 공익사업을 펼치면서 지난 10년간 연구한 내용을 정리한 도서이다. 매년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510억 톤을 2050년까지 선진국부터 ‘순제로’로 만들 것 등을 위해 일반 국민들과 정부 및 기업 등이 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There are two numbers you need to know about climate change. The first is 51 billions. The other is zero. Fifty-one billion is how many tons of greenhouse gases the world typically adds to the atmosphere every year. --P3
기후변화에 대해 알아야 할 2가지 숫자가 있다. 첫째는 510억이고 다른 하나는 제로이다. 510억은 세계가 매일같이 대기에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많은 톤수이다.
I believe that things can change. We already have some of the tools we need, and as for those we don’t yet have, everything I’ve learned about climate and technology makes me optimistic that we can invent them, deploy them, and, if we act fast enough, avoid a climate catastrophe. --P 4
사물은 변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이미 변화에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아직 갖추어야 할 기술도 많지만, 우리가 기후와 기술에서 배운 모든 것이 기술을 발명하고 배치할 수 있다는 것에 낙관적으로 만들며, 우리가 빨리 행동한다면 기후재앙을 피할 수 있다.
Making reductions by 2030 the wrong way might actually prevent us from ever getting to zero. Why? Beacuse the things we’d do to get small reduction by 2030 are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things we’d do to get zero by 2050. They’re really two different pathways, with different measures of success, and we have to choose between them. --P 196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를 감축한다는 잘못된 방식이 실제로 제로 달성에 방해가 된다. 왜 그럴까?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은 2050년까지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일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다른 방식은 서로 다른 성공의 척도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 둘 사이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인류 공동의 협력으로 가능하다
지구온난화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산림벌목에 의한 사막화, 쓰레기와 축산 등으로 인한 메탄가스 배출 등이 있으며, 그 영향으로 폭우, 폭염, 산불, 가뭄 등 기후변화가 나타난다.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2015년 Paris Agreement(파리협정)를 체결하여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로 제한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이 제로(0)가 되는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은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30%까지 늘린다고 하지만 태양광, 풍력발전 등 신생에너지가 비효율이며 자연생태계를 위험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기후변화는 지구가 자연적으로 치유하며, 걱정할 것은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신빙하기라는 반대론도 있다.
어쨌든 지구는 무한하다. 다만 지구 표면에 살고 있는 인간이 변할 뿐이다. 인간이 지구에서 거주하는 환경의 편리함보다는 지구 자체의 귀중함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는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깨끗하고 안전한 지구와 함께 살아가는 행동의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The only way of discovering the limits of the possible is to venture a little way past them into the impossible(가능성의 한계를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은 한계를 넘어 불가능으로 나아가는 도전이다). -영국의 SF 작가 아서 클라크(1917~2008)
우리가 살아갈 지구의 환경을 되살리려는 인간의 도전은 아름답고 장엄하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