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프랑스혁명과 근대 및 보수주의의 탄생 · 1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5.09 09:00 | 최종 수정 2022.05.10 00:37 의견 0

The French Revolution attempted a violent redistribution of wealth by jacqueries in the countryside and massacres in the cities, but the chief result was a transfer of property and privilege from the aristocracy to the bourgeoisie. --Will & Ariel Durant, The Lessons of history, P57

프랑스혁명은 농민반란과 도시학살을 통해 폭력으로 부의 재분배를 시도했지만, 부와 특권이 귀족계층에서 부르주아계층으로 이동한 것이었다. -윌 듀란트 <역사의 교훈> 중에서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 it was the age of wisdom, it was the age of foolishness, it was the epoch of belief, it was the epoch of incredulity, it was the season of Light, it was the season of Darkness, it was the spring of hope, it was the winter of despair, we had everything before us, we had nothing before us, we were all going direct to Heaven, we were all going direct the other way. --Charles Dickens, A tale of two cities, P1

최고의 시간이자 최악의 시간이었다. 지혜의 시대이자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이자 불신의 세기였다. 빛의 계절이자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었으며,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에게 모든 것이 있었고, 우리에겐 아무것도 없었다. 우리 모두 천국으로 가고 있었으나 우리 모두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찰스 디킨슨 <두 도시 이야기> 중에서

*소설 <두 도시 이야기>는 19세기 대표적인 영국 문호인 찰스 디킨슨(1812~1870)이 토마스 칼라일의 <프랑스혁명>을 읽고 감명을 받아 쓴 프랑스혁명을 배경으로 한 역사소설이다. 파리와 런던을 무대로 하여 당시의 시대상과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프랑스혁명은 1789년 7월 14일 파리시민들이 바스티유감옥을 습격하면서 발생하여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799년에 통령(집정)정부를 수립한 후 혁명은 끝났다고 선언한 10년간의 시기를 말한다.

프랑스혁명에 대해 정통파인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은 조지 르페브르와 그 뒤를 이은 알베르 소볼이 아래로부터의 혁명이나 귀족계급과 부르주아계급간의 계급투쟁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수정주의 해석은 알프레드 코반이 1954년의 런던대학 프랑스혁명사 교수 취임 강연에서 ‘프랑스혁명의 신화’라는 제목으로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을 처음으로 비판했다. 1980년대 이후로 수정주의 해석이 마르크스주의 해석을 압도하고 있다.

프랑스혁명의 발생원인은 경제적 원인으로 루이16세의 영불전쟁 및 미국 독립 지원 등으로 인한 막대한 국가부채의 발생과 흉작으로 인한 빵값의 폭등이며, 사회적 및 심리적 원인으로는 계몽주의 여파로 인한 자유의식의 성장이다.

프랑스혁명은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즉, 국민회의(혁명의 승인과 추인), 제헌국민회의(헌법의 승인과 왕권의 포기), 입헌국민회의(인민주권과 자유의 보장 및 대외전쟁), 국민공회(공화정과 공포정치), 테르미도르 반동(공포정치의 종료와 집정정부의 시작), 집정정부와 나폴레옹의 쿠데타이다. 이어 1783년 산악파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한 공포정치 기간에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비롯하여 지롱드파 등 4만명 이상이 처형되었다.

프랑스혁명으로 근대가 시작되었고,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으로 제3신분이 자유와 권리를 쟁취했다. 혁명과정에 우파인 합리주의를 내세운 지롱드파는 상공업유산자와 부르주아지의 이익을 대변했고, 좌파인 산악파는 중간부르주아지와 민중계급(장인, 소상점주, 소비자)의 이익을 대변했다. 프랑스혁명의 영향으로 영국에서 에드먼트 버크가 <프랑스혁명에 대한 성찰>을 발표하면서 보수주의가 탄생하게 되었다.

프랑스혁명에 대해 2회로 나누어 소개한다.

◆ <The Ancient Regime and the Revolution(구체제와 혁명, 1856)>

Alexis de Tocqueville(알렉시스 토크빌, 1805~1859)은 프랑스 출신의 정치가이자 작가이다. 이 저서를 통해 프랑스혁명의 의도가 구체제와의 결별을 위해 일어났지만, 결과적으로는 다시 강력한 중앙집권정부로 회귀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궁극적으로 자기 시대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 역사적인 성찰이 담긴 저작이다. 그의 <미국의 민주주의>는 정치학의 고전이다.

Since the French Revolution did not simply have the aim of changing the former government but of abolishing the old structure of society, it had to attack simultaneously every established power, destroy every recognized influence, blot out tradition, create fresh social customs and habits, somehow drain the human mind of all those ideas upon which respect and obedience had been founded up to that time. --P24

프랑스혁명은 낡은 정부를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낡은 사회구조를 일소하는 것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혁명은 모든 기성권력을 공격하고 모든 인정된 영향력을 파괴하고 전통을 타파하며 새로운 사회적 관습과 습관을 창조했고, 그때까지 존중과 복종심에 기반을 둔 모든 관념들을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일소해야만 했다.

The French Revolution was equally their scourge and their teacher. --P25

프랑스혁명은 군주제의 재앙인 동시에 그들의 스승이기도 했다.

Since it appeared to aim at the regeneration of the human race much more than at the reform of France, it kindled a passion which the most violent of political revolutions had failed to arouse before. --P27

프랑스혁명은 프랑스의 개혁보다는 인류의 갱생을 지향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가장 격렬했던 정치혁명들이 이전에 보여주지 못한 열정을 불러 일으켰다.

But, in France, a quite different revolution had come about i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people; the small farmer had not only ceased to be a serf, he had become a landowner. --P37

그러나 프랑스에서 인민의 사회적 상황에는 또 하나의 혁명이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농민이 단지 농노의 신분에서 해방되었을 뿐만 아니라 토지 소유 농민이 되었다는 점이다.

Only government by one man has, in the long run, the unavoidable effect of making men similar to each other and mutually indifferent to each other’s face. --P89

오직 한 사람에 의한 통치만이 장기적으로 사람들을 서로 닮게 하며, 서로의 운명에 무관심하게 만드는 불가피한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It had been for a long time propelling the French, with a persistent and irresistible force, towards the destruction, to their very foundations, of all that remained of medieval institution and, once the ground was cleared, towards the construction of a society in which men were as alike human beings could envisage. --P203

프랑스인들은 오랫동안 저항할 수 없는 끈질긴 힘으로 중세 제도의 모든 잔재들과 그 기반까지 파괴하고, 일단 기반이 정리되면 인간이 서로 동질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하려고 매진했다.

This nation alone could have given birth to such a precipitate revolution, so radical, so impetuous in its progress, yet so full of retreats, of contradictionary events and contrasting examples. --P206

프랑스만이 이렇게 급진적이고, 그 과정에 과격하나 퇴각과 모순적인 사건 및 대조적인 사례들로 가득 찬 급진적인 혁명을 탄생시킬 수 있었다.

◆ <The French Revolution(프랑스혁명, 1837)>

영국 출신의 Thomas Carlyle(토머스 칼라일, 1795~1881)은 평론가이자 역사가이다. 이상주의적인 사회개혁을 제창하여 19세기 사상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는 <의상철학>, <프랑스혁명사>, <영웅숭배론>, <과거와 현재> 등이 있다. 칼라일은 1834년 <프랑스혁명> 원고를 집필하면서 유일한 초안을 철학자 존 스튜어드 밀에게 읽어보도록 맡겼으나, 밀의 하녀가 원고를 불쏘시개로 태워버려 처음부터 다시 썼다고 한다. 칼라일의 역사서는 찰스 디킨슨의 찬사를 받았다. 문장이 논리적이기보다는 상당히 문학적이고 시적이다.

“Mais?” said poor Louis, “C'est une revolte, Why, that is a revolt!” --“Sire.” answered Liancourt, “it is not a revolt, --it is a revolution,” --P164,

루이16세가 민중들이 바스티유감옥을 함락했다는 소식을 듣고선 “반란인가?”라고 물었으나, 그의 최측근이었던 리앙쿠르가 “아닙니다. 폐하! 혁명입니다”라고 답했다.

For ourselves we answer that French Revolution means here the open violent Rebellion, and Victory, of disimprisoned Anarchy against corrupt worn-out Authority: how Anarchy breaks prison; bursts up from the infinite Deep, and rages uncontrollable, immeasurable, enveloping a world. --P173

프랑스혁명은 여기서 공공연한 폭력적인 반란과 부패한 낡은 권위에 투옥되지 않는 무정부의 승리를 의미한다고 우리 스스로에게 대답한다. 무정부 상태가 어떻게 감옥을 파괴하고 무한한 심연에서 터져 나와 통제할 수 없고 측정할 수 없는 분노로 세상을 휘감는지를.

In general, may we not say that the French Revolution lies in the heart and head of every violent-speaking, of every violent-thinking French Man? How the Twenty five Millions of such, in their perplexed combination, acting and counter-acting may give birth to events. --P175

일반적으로 프랑스혁명은 과격하게 말하고 과격하게 생각하는 모든 프랑스 사람의 가슴과 머리 속에 자리 잡았다고 말할 수 있지 않는가? 이런 2,500만명의 사람들이 복잡한 조합으로 행동하고 반동하며 어떻게 사건을 일으킬 수 있었을까?

Hunger whets everything, especially Suspicion and Indignation. --P198

굶주림은 모든 것을 자극한다. 특히 의심과 분개를.

This is the end of the Reign of Terror; new glorious Revolution named of Thermidor; of Thermidor 9th, year 2; which being interpreted into old slave-style means 27th of July, 1794. Terror is ended; and death in the Place de la Revolution, were the ‘tail of Roberspierre’ once executed. --P691

이것은 공포의 통치의 끝이다. 테르미도르라는 새로운 영광스런 혁명, 혁명력 2년 테르미도르 9일, 이는 1794년 7월 27일을 의미하는 오래된 노예형식으로 해석된다. 공포는 끝났다. 혁명광장에서 벌어진 죽음은 이미 처형된 로베스피에르의 꼬리이다.

◆ <The French Revolution; from its origins to 1793(프랑스혁명; 기원부터 1793년까지, 1937)>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George Lefebvre(조지 르페브르, 1874~1959)는 사회사적인 측면에서 프랑스혁명을 연구하였고, 혁명 과정에서 농민혁명의 의의를 밝힌 공적이 크다. <혁명사 연보>의 책임 편집자로서 학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저서에 <프랑스혁명사>, <혁명적 군중>이 있다. 그는 폭 넓은 연구로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을 완성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프랑스혁명사를 연구한 모든 세대의 어느 누구보다도 탁월한 연구자로 인정받았다. 본서는 프랑스혁명의 시작부터 1793년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The French Revolution was started and led to victory in its first phase by the aristocracy. This fact is of primary importance, but for differing reasons both the Third Estate and the aristocracy took pains to thrust it into the background. The immediate cause of the Revolution was a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with the war in America. --P93

프랑스혁명이 시작되어 귀족에 의해 첫 단계에서 승리로 이어졌다. 이 사실은 가장 중요하지만, 제3신분과 귀족이 서로 다른 이유를 혁명의 배경으로 밀어붙이려 애썼다. 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은 미국에서 전쟁에 기인하는 재정적 위기였다.

We can understand that the king regarded deputies of the Third Estate as rebels and that the nobility considered surrender a humiliation. But if a show of arms failed, the blood spilled would stain both king and aristocracy. --P111

왕이 제3신분의 대리자들을 반역자로 여겼고, 귀족들은 항복을 굴욕으로 여겼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무력 시도가 실패한다면 흘린 피가 왕과 귀족을 더럽힐 것이다.

The lower classes therefore had no reserves left when they faced the brutal prospect of famine after grain crops failed in 1788. The price of bread rose steadily. At the beginning of July, 1789, a pound of bread sold for four sous in Paris—where the government nevertheless sold its imported grains at a loss—and twice as much in some provinces. At that time wage earners considered two sous per pound the highest price they could possibly pay and still subsist, for bread was their staple food and average daily consumption ranged from one and a half pounds per person to two or three for an adult manual labourer. --P113

따라서 하층민들은 1788년 곡물 수확이 흉년으로 기근의 잔인한 전망에 직면할 때 예비비가 남아있지 않았다. 빵의 가격은 꾸준히 올랐다. 1789년 7월 초에 파리에서 4푼(sou:푼)에 팔렸던 1파운드 빵이 정부의 수입곡물을 손실로 팔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지방에서 두 배로 올랐다. 그 당시 임금노동자들은 지불할 수 있고 아직도 생존할 수 있는 1파운드 빵의 최고 가격을 2푼으로 생각했다. 왜냐하면 빵이 주식이기 때문에 평균 일일 소비량이 1인당 1.5파운드에서 성인 육체노동자에게는 2~3파운드였다.

The countryside had joined the towns, but revolution in Paris had even greater effect on rural areas. Agrarian revolt broke out in several regions. In the woodlands of Normandy, in the Hainaut and Upper Alsace, châteaux or abbeys were attacked by those seeking to burn archives and force surrender of manorial rights. --P123

시골은 도시에 합류했지만 파리의 혁명은 농촌지역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농민반란이 여러 지역에서 일어났다. 노르망디의 삼림지대, 에노와 상부 알자스지역에서 성과 수도원이 기록보관소를 불태우고 장서권의 포기를 강요하려는 자들의 습격을 받았다.

The nobility was now struck in its material possessions and not only in its pride by suppression of orders and privileges. As a result, most nobles vowed inexpiable hatred of the revolution. The aristocratic conspiracy was to become a reality, leading to civil war and to an appeal for help from foreign powers. At the same time the Third Estate split. --P130

귀족은 이제 물질적 소유에서 타격을 받았고, 명령과 특권의 억압으로 자존심이 무너졌다. 그 결과 대부분의 귀족들은 혁명에 대해 지울 수 없는 증오를 가졌다. 귀족들의 음모가 현실이 되어 내전으로 이어지고, 외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동시에 제3신분은 분열되었다.

The flight of Louis XV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of the time—for Europe as well as for the Revolution. There was no doubt in France that Europe’s kings opposed the Revolution, yet their involvement in other affairs would have permitted it to continue its work in peace for at least a while longer. The initiative of Louis XVI himself precipitated the conflict that brought his downfall. --P201

루이16세의 도주는 유럽뿐만 아니라 프랑스혁명 시기에 가장 중요한 사건의 하나였다. 프랑스에서 유럽 왕들이 혁명에 반대한 것은 의심하지 않았지만, 다른 문제에 대한 그들의 관여는 적어도 한동안 평화롭게 그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 루이16세 자신의 주도로 그의 몰락을 초래한 갈등을 촉발시켰다.

The policy followed by the Gironde was a series of paradoxes. It tried to restore the liberal regime and spare the king, which presupposed peace, yet it provoked a general war. It could not spare Louis and conclude peace without the agreement of all republicans, yet by lashing out at the Montagnards and sans-culottes it killed any chance for unity. The coalition powers at first won a series of brilliant victories and thereby sealed the fate of this party which had failed to resolve any of its contradictions. --P276

지롱드가 수행한 정책은 역설의 연속이었다. 자유주의체제를 복원하려 했고, 평화를 가져올 것으로 여겨 왕을 살려주려 했으나 전쟁을 일으켰다. 루이 왕을 살리지 못했고, 모든 공화파의 동의 없이 평화를 맺었지만 산악파와 상퀼로트를 몰아붙여서 통합을 위한 모든 기회를 죽여 버렸다. 연합세력은 처음에 일련의 화려한 승리를 거두었지만, 이로 인해 모든 모순을 해결하지 못한 이 당의 운명을 봉인시켰다.

◆ <The French Revolution 1787~1799(프랑스혁명, 1962)>

프랑스 출신의 Albert Soboul(알베르 소볼, 1914~1982)은 프랑스혁명사와 나폴레옹 연구의 전분가이다. 소불이 계급투쟁적 시각으로 완성한 프랑스혁명사는 최고의 대접을 받지만, 수정주의 역사가들이 끊임없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의 역사철학은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된다.

In 1789 France was at that stage of her social development which has since become known as the ancien Regime. Her society remained fundamentally aristocratic; it was based on privilege of birth and wealth from land. But this traditional social structure was now being undermined by the evolution of the economy which was giving added important to personal wealth and was enhancing the power of the middle class. --P27

1789년 프랑스는 구체제라고 알려진 사회적 발달 단계에 있었다. 구체제 사회는 본질적으로 귀족국가였다. 그들의 기반은 출신의 특권과 토지 재산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사회구조는 개인적 재산에 중요성을 주고 부르주아지의 힘을 증대시킨 경제적 변화에 침식당했다.

In the aristocratic society of the Ancien Regime, traditional law distinguished three orders or estates, the clergy, the nobility --both privileged orders-- and the third Estate, which contained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P33

구체제의 귀족사회에서 전통적인 법이 세 가지 계급 또는 지위로, 즉 특권신분인 성직자와 귀족, 그리고 국민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제3신분으로 구분했다.

Since the end of the fifteenth century the third order of society had been referred to as the Third Estate. It represented the vast majority of the nation, or more than 24 million people at the end of the Ancien Regime. --P43

15세기말 이래 세 번째 계급은 제3신분이라 불렀다. 제3신분은 국민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여 구체제 말기에는 그 수가 2,400만명을 넘었다.

The bourgeoisie constituted the most important class within the Third Estate: it directed the course of the revolution and benefited from it. Through its wealth and its culture is occupied the leading position in society, a position which was at variance with the official existence of privileged orders. --P44

부르주아지는 제3신분에서 가장 중요한 계급이었다. 바로 이들이 혁명을 주도했고 이득을 보았다. 부르주아지는 그 부와 교양을 통해 사회에서 제1계급의 지위를 점유했으며, 이는 특권신분들의 공식적 지위와 상충하는 것이었다.

The essential problem with regard to the condition of the popular classes was that of wages and purchasing power. The inequalities of price increases hit different social classes with differ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commodities they bought. Cereals rose more than any other item, and it was therefore the ordinary people who were most savagely affected, given that the rise in population was especially concentrated in the lower social groups and that bread played an enormous part in the popular diet. --P54

대중계급의 조건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는 임금과 구매력에 있었다. 물가상승의 불평등은 구매하는 상품에 따라 다른 강도로 여러 사회계층에 영향을 미쳤다. 곡물이 다른 품목보다 많이 상승하여 보통 사람들이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인구증가가 하층민에서 집중되고, 빵이 대중적 식단에서 막대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렇다.

Seasonable variations brought disastrous results. On the eve of the Revolution the share of the popular budget devoted to the purchase of bread had already reached 58 per cent as a result of general inflation; in 1789 this figure shot up to 88 per cent, leaving only 12 per cent of income for other expenditure. The price rise treated those who were already well-to-do with a certain respect, but for the poor it proved an overwhelming disaster. --P55

계절적 변동은 비극적인 결과를 야기했다. 1789년 혁명 직전에 빵 구입에 사용된 대중예산 몫이 일반적 물가상승의 결과로 이미 50퍼센트에 도달했다. 1789년 이 숫자는 88퍼센트로 치솟았으며, 기타지출로 소득의 12퍼센트만 남겨놓았다. 물가폭등은 여유층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빈민층에게는 엄청난 재앙이었다.

But the basic demand of the people remained the demand for bread. What made the mass of the people into a political force in 1788 and 1789 was the seriousness of the economic crisis which was making their lives more and more difficult. In most towns, the riots of 1789 had their origins in the misery of the people, and their first effect was to bring about a reduction in bread prices. --P57

그러나 사람들의 근본적인 수요는 여전히 빵이었다. 1788~1789년에 인민대중을 정치적 세력으로 만든 것도 그들의 생계를 점점 더 어렵게 만드는 경제위기의 심각성 때문이었다. 1789년 대부분의 도시에서 일어난 폭동은 빈곤이 원인이었고, 그 폭동의 첫 번째 효과도 빵 가격 인하로 나타났다.

In 1788 the crisis in agriculture was the most serious of the whole century: in the winter months food shortage made itself felt and begging became widespread as more and more people faced unemployment. Such people, starving and unable to find work, were one of the elements in the Revolutionary crowds. --P57

1788년 농업위기는 18세기 전체를 통틀어 가장 극심했다. 그해 겨울에 기근이 나타났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실업을 직면하여 구걸했다. 이 굶주리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자들이 혁명군중의 한 축을 이루었다.

The economic and social motives behind that first day of revolution are obvious --it was certainly not a political riot. The popular crowds did not have well-formulated views of political views. It was economic and social forces which acted as the driving power behind the riot. But such popular disturbances did in turn have important political consequences, even if these amounted to no more than shaking the people in power. --P58

최초의 혁명적 봉기 뒤에는 경제사회적인 동기가 분명했지만 확실히 정치적 폭동은 아니었다. 인민대중은 공식화된 정치적 견해를 없었다. 폭동의 원동력이 된 것은 경제적·사회적 세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중의 소요는 권력자들을 뒤흔드는 것일지라도 중대한 정치적 결과를 초래하게 마련이었다.

But Whatever form this municipal revolution assumed, the results were the same everywhere: royal power was whittled away, centralization was overthrown, almost all the intendants abandoned their office, and tax-collection was suspended. As one contemporary phrased it, “There is no longer a King, a parlement, an army, or a police force.” All these former powers fell to the new municipal authorities. --P143

도시혁명의 이러한 양상은 어찌되었든 결과가 어디에서나 동일했다. 왕권은 소멸했고, 중앙집권화는 무너졌으며, 거의 모든 지사들이 자리를 포기했고, 세금징수는 중단되었다. 당시의 표현을 따르면, “국왕, 고등법원, 군대, 경찰이 더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새로운 시 자치체가 모든 구 권력을 이어받았다.

Inasmuch it was an implicit condemnation of both aristocratic society and the abuses of the monarchy, the Declaration of Rights may be said to have acted as ‘the death warrant of the Ancien Regime’. At the same time it derived its inspiration from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and gave expression to the basic ideas of the bourgeoisie, lying the foundations of a new social order which seemed to be applicable not only to France but to the entire human race. --P151

귀족사회와 군주제의 남용에 대한 암묵적인 비난으로 인권선언은 ‘구체제의 사망증서’가 되었다. 그와 동시에 인권선언은 계몽주의의 이념에서 영감을 받아 부르주아지의 기본적 이상을 표현했고, 프랑스만이 아니라 전 인류에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질서의 토대를 놓았다.

Consequently, the work of the French Revolution in fact presents, in its chronological sequence, important contradictory aspects, which increase both its remarkable character and its significance. The origins of bourgeois society and the bourgeois state are deeply rooted in the Revolution. --P552

결과적으로 프랑스혁명의 성과는 사실상 연대순으로 중요한 모순적인 면모들을 드러냈다. 이것이 프랑스혁명의 놀라운 특성과 그 중요성을 증대시킨다. 부르주아 사회와 부르주아 국가의 기원은 프랑스 혁명에 깊이 기반을 두고 있다.

The Revolution destroyed the Ancien Regime's absolutist State, which had been based on the theory of divine right and which had guaranteed the privileges of aristocracy. In its place, it set a liberal and secular State, based on the principles of national sovereignty and civil equality. --P577

혁명은 왕권신수설에 기반을 두고 귀족계급의 특권을 보장하는 구체제의 절대주의국가를 무너트렸다. 그 자리에 국민 주권과 시민적 평등의 원칙에 기반을 둔 자유주의적이고 세속적인 국가로 자리 잡았다.

The french Revolution was perhaps the most striking of all bourgeois revolutions, overshadowing, by the dramatic character of its class struggles, the revolution which had preceded it. --P611

프랑스혁명은 아마도 모든 부르주아 혁명 중 가장 눈부신 혁명이었다. 이는 계급투쟁의 극적인 특징으로 앞서 일어난 혁명을 능가하기 때문이다.

Child of the Enlightenment, the Revolution also focuses its attacks on privilege and tradition, or else inspires the intellect by the enormous efforts it made to organize society on rational foundation. Still admired and still feared, the Revolution lives on in our minds. --P613

계몽주의의 아들로서 프랑스혁명은 특권과 전통에 대한 공격에 전력을 집중했고, 합리적인 토대에 기반을 둔 사회를 조직하기 위해 거대한 노력을 통해 지성에 영감을 주었다. 아직도 찬미의 대상이었건 혹은 항상 두려움의 대상이었건 혁명은 우리의 마음속에 살아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